함수해석학에서 르베그 공간(Lebesgue空間, 영어: Lebesgue space) 또는 Lp 공간(영어: Lp-space)은 절댓값의 제곱이 르베그 적분 가능한 가측 함수들의 동치류들로 구성된 노름 공간이다.
측도 공간 및 음이 아닌 확장된 실수 가 주어졌다고 하고, 가 (보렐 시그마 대수를 갖춘)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라고 하자. 그렇다면, 르베그 공간 는 -위상 벡터 공간이며, 그 정의는 의 값에 따라 다음과 같다.
Lp (0 < p ≤ ∞)
및 가측 함수 에 대하여 다음 기호를 정의하자.
그렇다면, 를 다음과 같은 집합으로 정의하자.
여기서 는 두 측도 공간 사이의 가측 함수의 집합이며, 의 경우 보렐 시그마 대수를 갖춘 것으로 여긴다.
는 에 대한 벡터 공간을 이루며, 부분 공간
으로 몫공간을 취한 것을 르베그 공간 라고 한다.[1]:43, §II.2[2]:31, §1.43; 35, §1.47
이 위에는 "열린 공"들
을 기저로 하는 위상을 줄 수 있다. (물론, 이라면 이는 거리 공간이 아니므로 엄밀히 말해 열린 공이라고 일컬어질 수 없다.)
만약 이라면, 는 위의 완비 노름을 이루며, 는 -바나흐 공간을 이룬다. 그러나 만약 이라면 이는 (기호와 달리) 일반적으로 노름이 되지 못한다.
L0
인 경우, 은 모든 가측 함수 의 (동치류의) 공간이다. 즉, -벡터 공간 에
를 정의하였을 때
이다.
이 경우, 측도 수렴 위상을 부여하여 균등 공간이자 (균등 위상을 부여한) 위상 벡터 공간으로 만들 수 있다. 즉, 이 경우 유사 거리 함수의 족
을 통해 균등 공간 구조를 부여한다.
민코프스키 부등식
만약 일 경우, 는 민코프스키 부등식에 따라 노름을 이룬다.
만약 일 경우, 는 다음과 같은, 더 약한 부등식을 만족시킨다.[3]:816
증명:
임의의 두 음이 아닌 실수 에 대하여
가 성립함은 미적분학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다.
바나흐·힐베르트 공간일 조건
임의의 측도 공간 및 및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리스-피셔 정리 영어: Riesz–Fischer theorem) 만약 라면 는 -바나흐 공간이다.
- 만약 라면 는 -반사 바나흐 공간이다. (그러나 또는 인 경우 이는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 만약 일 경우 는 -힐베르트 공간이다. (그러나 의 크기에 따라 이는 분해 가능 공간이 아닐 수 있다.)
- 만약 이며 일 경우 는 가환 C* 대수이다. 만약 가 추가로 시그마 유한 측도를 갖추었다면, 이는 가환 폰 노이만 대수를 이룬다.
연속 쌍대 공간
임의의 측도 공간 및 및 에 대하여, 의 연속 쌍대 공간은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이 동형 사상은
이다. 특히, 일 경우 는 스스로의 연속 쌍대 공간이 되며, 따라서 이 경우 힐베르트 공간을 이룬다.
그러나 의 연속 쌍대 공간은 (선택 공리를 가정하면) 일반적으로 보다 훨씬 크다. 반면, 만약 가 시그마 유한 측도를 갖추었다면, 이다.
포함 관계
임의의 두 확장된 실수
가 주어졌다고 하자. 또한, 측도 공간 위에 다음과 같은 두 조건을 생각하자.
- ㈎
- ㈏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동치가 성립한다.[4]
- ㈎
- ㈏
- ㈎와 ㈏가 동시에 성립
대표적인 측도 공간에서 위 두 조건이 성립하는지 여부는 다음과 같다.
자세한 정보 ... 닫기
Bourbaki, Nicolas (1981). 《Espaces vectoriels topologiques (chapitres 1 à 5)》. Éléments de mathématique (프랑스어). Mas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