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AI tools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일반위상수학에서 분해 가능 공간(分解可能空間, 영어: separable space)은 가산 집합이 조밀 집합일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위상 공간이다.
위상 공간 의 밀도(密度, 영어: density) 는 속의 조밀 집합의 최소 크기인 기수이다. (기수 위의 순서는 정렬 순서이므로 이는 항상 존재한다.)
밀도가 이하인 위상 공간을 분해 가능 공간이라고 한다.[1]:192 즉, 분해 가능 공간은 가산 조밀 집합을 갖는 공간이다.
모든 제2 가산 공간은 분해 가능 공간이다.[1]:192
제1 가산 공간인 위상군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1]:195
거리화 가능성을 가정한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두 위상 공간 , 사이의 연속 함수 및 조밀 집합 이 주어졌을 때, 그 상 는 치역 속의 조밀 집합이다. 따라서
이다. 특히, 분해 가능 공간의 연속적 상은 분해 가능 공간이다.[1]:194
위상 공간 의 열린집합 및 조밀 집합 가 주어졌을 때, 는 의 조밀 집합이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특히, 분해 가능 공간의 열린집합은 분해 가능 공간이다.[2]:Theorem 16.4b 분해 가능 공간의 열린집합이 아닌 부분 집합은 분해 가능 공간이 아닐 수 있다. 다만, 분해 가능 거리화 가능 공간의 모든 부분 집합은 분해 가능 공간이다.
및 무한 기수 가 주어졌다고 하자. 휴잇-마르체프스키-폰디체리 정리(영어: Hewitt–Marczewski–Pondiczery theorem)에 따르면, 만약
라면,
이다. 특히, 개 이하의 분해 가능 공간들의 곱공간은 분해 가능 공간이다.[1]:194[2]:109, Theorem 16.4c 곱위상 대신 상자 위상을 사용하는 경우 이 명제들은 더 이상 성립하지 않는다.
휴잇-마르체프스키-폰디체리 정리의 증명:[3]:81, Theorem 2.3.15
편의상 라고 하자. (나머지 경우는 이 경우에서 연속적 상을 취한다.) 크기가 이하인 조밀 집합 들의 곱집합 는 조밀 집합이다. 따라서, 의 크기 이하의 조밀 집합을 찾으면 족하다. 이제, 가 크기 2의 이산 공간이라고 하고, 가 개의 크기 의 이산 공간 들의 곱공간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전사 연속 함수
가 존재한다. 따라서 에서 크기 이하의 조밀 집합을 찾으면 족하다. 곱공간 는 크기 이하의 기저 를 가진다 (예를 들어, 표준적인 기저의 크기는 이다). 이제,
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한 개의 서로소 집합들의 집합 가 존재하는 원소
들의 집합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가 조밀 집합이며, 이므로 이다.
모든 비이산 공간은 분해 가능 공간이므로, 분해 가능성은 집합의 크기에 상한을 가하지 않는다. 그러나 추가 조건을 가한다면 다음과 같은 상한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분해 가능성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크기 관련 상한들을 함의한다.
이는 실수 값 연속 함수는 이를 조밀 집합에 국한한 함수로부터 결정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규 분해 가능 공간 속의 닫힌집합이 이산 공간을 이룬다면, 이는 항상 가산 집합이다.
임의의 위상 공간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을 만족시키는 분해 가능 공간 및 단사 함수 를 찾을 수 있다.[4]:49
(실수 또는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특히, 모든 유클리드 공간 및 L2 공간 는 분해 가능 공간이다. 유클리드 공간의 경우 은 가산 조밀 집합을 이룬다. 힐베르트 공간은 힐베르트 차원에 의하여 완전히 분류되므로, 이는 분해 가능 힐베르트 공간의 목록이다.
임의의 위상 공간 에 대하여 다음이 자명하게 성립한다.
따라서, 가산 개의 점을 갖는 위상 공간은 분해 가능 공간이다.
이산 공간 속의 조밀 집합은 전체밖에 없으므로, 이산 공간 의 밀도는 그 집합의 크기와 같다.
특히, 가산 이산 공간은 분해 가능 공간이지만, 비가산 이산 공간은 분해 가능 공간이 아니다. 비이산 공간에서 공집합이 아닌 모든 부분 집합은 조밀 집합이다. 따라서, 비이산 공간 의 밀도는 다음과 같다.
따라서, 모든 비이산 공간은 자명하게 분해 가능 공간이다.
휴잇-마르체프스키-폰디체리 정리는 랠프 필립 보애스 주니어(영어: Ralph Philip Boas Jr., 1912~1992),[5] 에드윈 휴잇(영어: Edwin Hewitt, 1920~1999),[6] 에드바르트 마르체프스키(폴란드어: Edward Marczewski, 1907~1976, )[7]가 독자적으로 증명하였다. E. S. 폰디체리(영어: E. S. Pondiczery)는 보애스가 이 논문에서 사용한 필명이며, 인도의 지명 퐁디셰리에서 유래한다.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