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move ads
결(結, 산스크리트어: saṃyojana, bandhana)은 사(使, 산스크리트어: anuśaya) 등과 함께 번뇌의 여러 다른 이름 가운데 하나이다.
saṃyojana의 번역 | |
---|---|
한국어 | 결, 속박, 결박, 계박 |
영어 | bondage, fetter, shackle, tie up, join together, link, restrain, shackles of the afflictions |
산스크리트어 | saṃyojana, bandhana |
팔리어 | samyojana, saŋyojana, saññojana |
중국어 | 結(T) / 结(S) (한어 병음: jié) |
티베트어 | kun tu sbyor ba |
불교 용어 목록 |
결(結)은 번뇌가 유정을 괴로운 과보[苦果]가 생겨나는 상태에 묶어버리는[結] 작용을 한다는 뜻을 강조하는 명칭이다.[1][2] 결(結)은 흔히 속박(束縛) · 결박(繫縛) · 계박(繫縛)의 뜻으로 해석되고 있다.[3][4][5]
2결(二結) · 3결(三結) · 4결(四結) · 5결(五結) · 9결(九結) · 10결(十結) · 98결(九十八結) · 108결(百八結) 등으로 구분한다.[4][6][7][8][9]
이들 여러 결(結)들 가운데 특정한 것들은 성문4과(聲聞四果)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즉, 고타마 붓다의 가르침에 따르면, 아래와 같이 특정한 번뇌들이 단멸되거나 조복되면 해당되는 과(果)가 증득된다.[10][11][12][13]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집론》 제4권과 《잡집론》 제6권에 따르면,
현대의 불교사전들 일반에 따르면,
결(結, 산스크리트어: saṃyojana)은 '내면에 깃든 악한 성향'을 가리킨다는 현대 학자의 견해도 있다.[35][36]
초기불교 경전인 《증일아함경》 제16권과 《잡아함경》 제34권, 그리고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인 《아비달마구사론》 제21권 등에 따르면,[6][39][40][41][42][43][44]
초기불교 경전인 《잡아함경》 제21권과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인 《아비담감로미론(阿毘曇甘露味論)》 상권 등에 따르면,[6][49][50][51][52]
대승불교 경전인 《광찬반야경(光讚般若經)》 제2권에 따르면,[6]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의 논서들인 《성실론(成實論)》 제10권, 《비바사론(鞞婆沙論)》 제2권, 《대승의장(大乘義章)》 제5권 등에 따르면,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인 《아비달마발지론》 제3권과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49권에 따르면,[5][6][66][67][68][69]
초기불교 경전인 《중아함경》 제56권과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인 《아비달마발지론》 제3권,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49권, 《아비달마구사론》 제21권 등에 따르면,[70][71][72][73][74][43][44][75]
초기불교 경전인 《장아함경》 제8권 〈중집경〉과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인 《아비달마발지론》 제3권,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49권, 《아비달마구사론》 제21권 등에 따르면,[78][79][80][81][82]
초기불교 경전인 《잡아함경》 제18권,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인 《아비달마품류족론》 제1권, 《아비달마발지론》 제3권,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인 《변중변론》 상권,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6권 등에 따르면,[6][86][87][88]
성문4과와 10결의 조복과 단멸 |
||||
10결의 조복과 단멸 | ||||
인간계에 |
||||
청정한 곳에 |
||||
더 윤회하지 |
||||
출처: Ñāṇamoli & Bodhi (2001), 《Middle-Length Discourses》, pp. 41–43. |
초기불교 경전인 팔리어 대장경의 《앙굿타라 니까야》 제10권 제13경에 따르면,[7][93]
10결(十結, 영어: ten fetters)은 5하분결(五下分結)과 5상분결(五上分結)을 합하여 통칭하는 말이며, 《앙굿타라 니까야》 제10권 제13경에 기술된 순서대로 나열하면 아래 목록과 같다.
남방 상좌부 불교의 논서인 《법집론(法集論)》(Dhamma Sangani 1113-34)에 따르면, 10결(十結, 영어: ten fetters)은 다음의 10가지 번뇌를 말한다.[8][106]
98결(九十八結)은 98수면(九十八隨眠)을 말한다.[107][108][109] 98근본번뇌(九十八根本煩惱) · 98사(九十八使) 또는 98혹(九十八惑)이라고도 한다.[110]
98결 즉 98수면 또는 98근본번뇌는,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번뇌론에서 6수면 즉 6근본번뇌를 3계 5부로 분별하였을 때 얻어진 모든 근본번뇌들을 말하는데, 아래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총 개수가 98가지이다. 즉, 98결은 설일체유부의 교학을 따를 때, 3계의 모든 근본번뇌를 말한다.[111][112] 한편,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번뇌론에 따르면 총 128가지 근본번뇌가 있는데, 128근본번뇌(百二十八根本煩惱) · 128사(百二十八使) 또는 128혹(百二十八惑)이라고는 부르지만 128결(百二十八結)이라고 부르지는 않는다.[113][114]
3계 5부 | 욕계 | 색계 | 무색계 | ||
---|---|---|---|---|---|
견소단·견혹· 분별기·미리혹 (88) |
견고소단 | 탐 · 진 · 만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10) | 탐 · 만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9) | 탐 · 만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9) | 28가지 |
견집소단 | 탐 · 진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7)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6)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6) | 19가지 | |
견멸소단 | 탐 · 진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7)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6)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6) | 19가지 | |
견도소단 | 탐 · 진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8)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7)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7) | 22가지 | |
수소단·수혹·사혹· 구생기·미사혹 (10) | 수도소단 | 탐 · 진 · 만 · 무명 (4) | 탐 · 만 · 무명 (3) | 탐 · 만 · 무명 (3) | 10가지 |
36가지 | 31가지 | 31가지 | 98가지 |
108결(百八結)은 108번뇌(百八煩惱)를 말한다. 108결업(百八結業)이라고도 한다. 108결 즉 108번뇌의 구성 방식에 대해서는 3가지 견해가 있다.[9][115][116][117][118][119]
대승불교의 중관학파의 논서 《대지도론》 제8권과 대승불교 일반의 논서 《대승의장》 제6권에 따르면,[107][108][120]
대승불교 경전인 《명도오십교계경(明度五十校計經)》과 대승불교의 천태종의 논서인 《지관보행전홍결(止觀輔行傳弘決)》 제5권의 5에 따르면,[116][118][123][124][125]
대승불교의 천태종의 논서인 《지관보행전홍결(止觀輔行傳弘決)》 제5권의 5에 따르면,[115][116][118]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title=, |출판사=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F]or those who are arahants, free of taints, who have accomplished and completed their task, have laid down the burden, achieved their aim, severed the fetters binding to existence, who are liberated by full knowledge, there is no (future) round of existence that can be ascribed to them.... [T]hose monks who have abandoned the five lower fetters will all be reborn spontaneously (in the Pure Abodes) and there they will pass away finally, no more returning from that world.... [T]hose monks who have abandoned three fetters and have reduced greed, hatred and delusion, are all once-returners, and, returning only once to this world, will then make an end of suffering.... [T]hose monks who have abandoned three fetters, are all stream-enterers, no more liable to downfall, assured, and headed for full Enlightenment.' (Nyanaponika, 2006)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