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AI tools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이론물리학에서 위상 끈 이론(位相끈理論, 영어: topological string theory)는 끈 이론의 단순한 종류의 하나이다.[1] 이 경우, 끈의 세계면 위에 존재하는 이론은 통상적인 끈 이론과 달리, 국소적인 자유도를 갖지 않는다. 정확히 말하자면, 위상 끈 이론의 세계면 이론은 2차원 위튼형 위상 양자장론을 이룬다. A형과 B형 두 종류가 있으며, 이들은 서로 거울 대칭에 의하여 연관된다.
위상 끈 이론의 세계면 이론은 2차원 초등각 장론이다. (이는 일반적인 끈 이론의 초대칭과 다르다.) 이 경우 R대칭은 U(1)V×U(1)A이다. 이 두 성분 가운데 하나를 로런츠 대칭 SO(2)=U(1)E과 대응시켜, 위상적 뒤틂(topological twist)을 가하여 위튼형 위상 양자장론을 만들 수 있다. U(1)V로 뒤틀면 A-모형(영어: A-model), U(1)A로 뒤틀면 B-모형(영어: B-model)을 얻는다.
만약 세계면 이론이 등각 대칭을 갖지 않는다면 U(1)A 대칭은 깨지게 된다. 이 경우는 오직 A-모형만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녁 공간이 (칼라비-야우 다양체이 아닌) 켈러 다양체인 시그마 모형의 경우, 오직 A-모형만이 존재한다.
반대로, 과녁 공간이 이고 초퍼텐셜을 가진 란다우-긴즈부르크 모형(영어: Landau–Ginzburg model)의 경우, 초퍼텐셜이 특수한 형태가 아니라면 U(1)V 대칭이 고전적으로 깨지게 된다. 이 경우는 오직 B-모형만을 정의할 수 있다.
A-모형과 B-모형은 거울 대칭에 의하여 서로 연관된다.
성질 | A-모형 | B-모형 |
---|---|---|
뒤트는 대칭 | U(1)V | U(1)A |
과녁 공간의 조건 | (일반화) 켈러 다양체 | 복소다양체 |
매장 사상 의 국소화 조건 | 정칙 함수 | 상수 함수 |
초대칭 D-막 | 특수 라그랑주 부분다양체(영어: special Lagrangian submanifold) | 정칙 부분다양체 |
손지기 환(chiral ring) | (a,c) 환 | (c,c) 환 |
란다우-긴즈부르크 모형의 손지기 환 | 자명함 | (초퍼텐셜 를 가진 차원 란다우-긴즈부르크 모형)[1]:§16.4.2 |
시그마 모형의 손지기 환 | 양자 코호몰로지(quantum cohomology) (벡터 공간으로서 드람 코호몰로지 와 같지만 환 연산이 다름. 큰 부피 극한에서는 드람 코호몰로지로 수렴)[1]:§16.4.1 | 접다발의 외대수 다발의 돌보 코호몰로지 [1]:§16.4.3 |
정칙 변칙의 존재 여부 | 없음 | 있음 (BRST 불변 관측가능량이 모듈러스 공간 위에서 정칙함수가 아닐 수 있음) |
관련된 범주 | 후카야 범주(Fukaya category) | 연접층의 범주 |
이 콤팩트 칼라비-야우 다양체라고 하고, 가 콤팩트 리만 곡면(=세계면)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위에 2차원 시그마 모형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으로 포함하여 쓸 수 있다. (나머지 성분들은 보조장이거나, 및 의 도함수로 구성된다.) 이들은 R대칭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전하를 갖는다.[2]:(5.23)
장 | U(1)V 전하 | U(1)A 전하 | 스핀 |
---|---|---|---|
0 | 0 | −1 | |
0 | 0 | +1 | |
−1 | −1 | −½ | |
+1 | −1 | −½ | |
−1 | +1 | +½ | |
+1 | −1 | +½ | |
0 | 0 | 0 | |
+1 | +1 | +½ | |
−1 | −1 | +½ | |
+1 | −1 | −½ | |
−1 | +1 | −½ |
즉, 초장 는 로런츠 스칼라이자 모든 R대칭에 대하여 중성이다. 기호에서 윗첨자 ±는 뒤틀기 전 로런츠 스핀을 나타내며, 아랫첨자 ±는 로런츠 스핀의 반대 부호이다.
이 시그마 모형의 두 가지 위상 뒤틂은 각각 다음과 같다.[2]:(5.50), (5.67)
뒤틂 | ||||
---|---|---|---|---|
뒤틀기 이전 | 스핀 +½, | 스핀 +½, | 스핀 −½, | 스핀 −½, |
A뒤틂 | 스핀 +1, | 스핀 0, | 스핀 0, | 스핀 −1, |
B뒤틂 | 스핀 +1, | 스핀 0, | 스핀 −1, | 스핀 0, |
A모형의 관측 가능량들은 수학적으로 그로모프-위튼 불변량(영어: Gromov–Witten invariant)이라는 이름으로 엄밀히 정의되며, 이는 양자 코호몰로지(영어: quantum cohomology)를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초)끈 이론은 낮은 에너지에서 (초)중력 유효 이론을 이룬다. A형 위상 끈 이론의 유효 이론은 켈러 중력(영어: Kähler gravity)이라고 불리며,[3] 특수한 경우 천-사이먼스 이론으로 해석할 수 있다.[4] B형 위상 끈 이론의 유효 이론은 고다이라-스펜서 중력(영어: Kodaira–Spencer gravity)이다.[5]
고파쿠마르-바파 쌍대성(영어: Gopakumar–Vafa duality)에 따르면, 코니폴드 위의 열린 끈 A모형은 U(N) 천-사이먼스 이론의 큰 극한과 같다.[6] 이는 라제시 고파쿠마르와 캄란 바파가 발견하였다.
A모형 위상 끈 이론은 4차원 또는 5차원 초대칭 게이지 이론의 프리퍼텐셜(영어: prepotential)을 계산하는 데 쓰인다. B모형 위상 끈 이론은 4차원 초대칭 게이지 이론의 초퍼텐셜(영어: superpotential)을 계산하는 데 쓰인다.
A모형 계산은 또한 BPS 블랙홀의 베켄슈타인-호킹 엔트로피를 계산하는 데 쓰인다.[9]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