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AI tools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대한민국의 모든 전철역을 승강장 구조별로 나눈 문서이다. 기존 승강장 문서에서 승강장 목록이 과도하게 길어짐에 따라 분리되었다.
가장 기본적이고 보편적인 승강장 구조이기에 모든노선마다 무조건 한 역 이상 있고 대한민국 전체에서 가장 많은 역이 보유한 승강장 구조이다.
● 수도권 전철 1호선: 보산(102), 덕계(106), 녹양(108), 회룡(111), 망월사(112), 도봉(114), 방학(115), 녹천(117), 월계(118), 신이문(121), 제기동(125), 신설동(126), 동묘앞(127), 동대문(128), 종로5가(129), 종로3가(130), 종각(131), 시청(132), 가산디지털단지(P142), 독산(P143), 금정(P149)[1], 당정(P151), 세마(P158), 오산대(P159), 진위(P161), 평택지제(P164), 봉명(P170), 쌍용(P171), 탕정(P173)
●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입구(202), 을지로3가(203), 을지로4가(204), 동대문역사문화공원(205), 신당(206), 상왕십리(207), 왕십리(208), 한양대(209), 뚝섬(210), 용답(211-1), 신답(211-2), 용두(211-3), 신설동(211-4), 건대입구(212), 구의(213), 강변(214), 잠실나루(215), 잠실(216), 잠실새내(217), 종합운동장(218), 선릉(220), 역삼(221), 강남(222), 교대(223), 서초(224), 방배(225), 사당(226), 낙성대(227), 신대방(231), 구로디지털단지(232), 대림(233), 도림천(234-1), 양천구청(234-2), 신정네거리(234-3), 문래(235), 영등포구청(236), 당산(237), 합정(238), 신촌(240)
● 수도권 전철 3호선: 주엽(310), 정발산(311), 마두(312), 대곡(314), 화정(315), 원당(316), 원흥(317), 삼송(318), 불광(322), 무악재(325), 옥수(335), 압구정(336), 신사(337), 잠원(338), 고속터미널(339), 남부터미널(341), 양재(342), 매봉(343), 도곡(344), 학여울(346), 대청(347), 일원(348), 가락시장(350), 경찰병원(351), 오금(352)
● 수도권 전철 4호선: 진접(405), 오남(406), 풍양(407), 별내별가람(408), 당고개(409), 상계(410), 노원(411), 창동(412), 쌍문(413), 수유(414), 미아(415), 미아사거리(416), 성신여대입구(418), 혜화(420), 충무로(423), 숙대입구(427), 삼각지(428), 신용산(429), 이촌(430), 동작(431), 이수(432), 선바위(435), 경마공원(436), 대공원(437), 과천(438), 정부과천청사(439), 인덕원(440), 평촌(441), 범계(442), 수리산(445), 대야미(446), 반월(447), 한대앞(449)[2], 중앙(450), 고잔(451), 초지(452), 정왕(455)
● 수도권 전철 5호선: 개화산(511), 김포공항(512), 송정(513), 마곡(514), 발산(515), 우장산(516), 까치산(518), 신정(519), 목동(520), 오목교(521), 양평(522), 영등포구청(523), 영등포시장(524), 신길(525), 여의도(526), 애오개(530), 행당(539), 왕십리(540), 마장(541), 답십리(542), 아차산(545), 광나루(546), 천호(547), 길동(549), 굽은다리(550), 명일(551), 고덕(552), 강일(554), 미사(555), 하남풍산(556), 하남시청(557), 하남검단산(558), 둔촌동(P549), 올림픽공원(P550), 방이(P551), 오금(P552), 개롱(P553), 거여(P554), 마천(P555)
● 서울 지하철 6호선: 증산(617), 디지털미디어시티(618), 월드컵경기장(619), 마포구청(620), 망원(621), 합정(622), 공덕(626), 한강진(631), 버티고개(632), 약수(633), 청구(634), 안암(639), 고려대(640), 월곡(641), 돌곶이(643), 석계(644), 태릉입구(645), 화랑대(646)
● 서울 지하철 7호선: 도봉산(710), 공릉(716), 태릉입구(717), 먹골(718), 중화(719), 상봉(720), 면목(721), 사가정(722), 용마산(723), 중곡(724), 군자(725), 어린이대공원(726), 건대입구(727), 자양(728), 강남구청(730), 학동(731), 논현(732), 반포(733), 고속터미널(734), 내방(735), 이수(736), 남성(737), 숭실대입구(738), 상도(739), 장승배기(740), 신대방삼거리(741), 신풍(743), 대림(744), 남구로(745), 가산디지털단지(746), 철산(747), 광명사거리(748), 천왕(749), 상동(756), 삼산체육관(757), 굴포천(758), 부평구청(759), 산곡(760), 석남(761)
● 수도권 전철 8호선: 별내별가람(801), 별내(803), 다산(805), 동구릉(806), 구리(807), 장자호수공원(808), 암사역사공원(809), 암사(810), 천호(811), 강동구청(812), 몽촌토성(813), 잠실(814), 석촌(815), 송파(816), 가락시장(817), 문정(818), 장지(819), 남위례(821), 남한산성입구(823), 단대오거리(824), 신흥(825), 수진(826), 모란(827)
● 서울 지하철 9호선: 공항시장(903), 신방화(904), 양천향교(906), 증미(908), 등촌(909), 염창(910), 신목동(911), 선유도(912), 여의도(915), 샛강(916), 노량진(917), 노들(918), 흑석(919), 구반포(921), 신반포(922), 고속터미널(923), 사평(924), 언주(926), 선정릉(927), 삼성중앙(928), 봉은사(929), 종합운동장(930), 삼전(931)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금릉(K330), 야당(K328), 탄현(K327), 풍산(K325), 곡산(K323), 가좌(K315)[3], 홍대입구(K314), 서강대(K313), 공덕(K312), 효창공원앞(K311), 용산(K110), 이촌(K111), 한남(K113), 옥수(K114), 응봉(K115), 청량리(K117)[4], 중랑(K119), 양원(K122), 구리(K123), 양정(K125), 도심(K127), 오빈(K134)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서울숲(K211), 압구정로데오(K212), 강남구청(K213), 선정릉(K214), 선릉(K215), 한티(K216), 구룡(K218), 개포동(K219), 대모산입구(K220), 수서(K221), 가천대(K223), 태평(K224), 모란(K225), 야탑(K226), 이매(K227), 서현(K228), 수내(K229), 정자(K230), 미금(K231), 보정(K234), 구성(K235), 신갈(K236), 상갈(K238), 청명(K239), 영통(K240), 매탄권선(K242), 수원시청(K243), 매교(K244), 수원(K245), 오목천(K247), 어천(K248), 사리(K250), 중앙(K252), 고잔(K253), 초지(K254), 정왕(K257), 달월(K259), 소래포구(K261), 호구포(K263), 원인재(K265), 연수(K266), 학익(K268), 인하대(K269), 숭의(K270), 신포(K271)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계양(I110), 귤현(I111), 임학(I113), 계산(I114), 경인교대입구(I115), 갈산(I117), 부평구청(I118), 부평시장(I119), 부평(I120), 동수(I121), 부평삼거리(I122), 간석오거리(I123), 인천시청(I124), 예술회관(I125), 인천터미널(I126), 문학경기장(I127), 선학(I128), 원인재(I130), 동춘(I131), 캠퍼스타운(I133), 테크노파크(I134), 지식정보단지(I135), 인천대입구(I136), 센트럴파크(I137), 송도달빛축제공원(I139)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전체 역사 모두 상대식 승강장
● 인천국제공항철도: 공덕(A02), 홍대입구(A03), 마곡나루(A05), 계양(A07), 운서(A11), 공항화물청사(A12)
● 신분당선: 신사(D04), 신논현(D06), 강남(D07), 양재(D08), 매헌(D09), 청계산입구(D10), 판교(D11), 정자(D12), 미금(D13), 동천(D14), 수지구청(D15), 성복(D16), 상현(D17), 경기대(D19)
● 수도권 전철 경춘선: 중랑(K119), 신내(P122), 갈매(P123), 별내(P124), 금곡(P127), 천마산(P129), 대성리(P131), 상천(P133), 굴봉산(P135), 백양리(P136)
● 수도권 전철 경강선: 판교(K410), 성남(K411), 이매(K412), 삼동(K413), 경기광주(K414), 초월(K415), 신둔도예촌(K417), 이천(K418), 세종대왕릉(K420)
● 수도권 전철 서해선: 전체 역사 모두 상대식 승강장
● 의정부 경전철: 발곡(U110), 회룡(U111), 범골(U112), 경전철의정부(U113), 의정부시청(U114), 흥선(U115), 의정부중앙(U117), 동오(U118), 새말(U119), 경기도청북부청사(U120), 효자(U121), 곤제(U122), 어룡(U123), 송산(U124), 탑석(U125)
● 용인 경전철: 강남대(Y111), 지석(Y112), 어정(Y113), 동백(Y114), 초당(Y115), 삼가(Y116), 시청·용인대(Y117), 명지대(Y118), 김량장(Y119), 운동장·송담대(Y120), 고진(Y121), 보평(Y122), 둔전(Y123), 전대·에버랜드(Y124)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전체 역사 모두 상대식 승강장
● 서울 경전철 신림선: 샛강(S401), 대방(S402), 서울지방병무청(S403), 보라매(S404), 보라매병원(S406), 당곡(S407), 서원(S409), 서울대벤처타운(S410), 관악산(S411)
● 김포 도시철도: 양촌(G100), 마산(G102), 장기(G103), 운양(G104), 걸포북변(G105), 사우(G106), 풍무(G107), 고촌(G108), 김포공항(G109)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장기주차장(M02), 합동청사(M03), 파라다이스시티(M04), 워터파크(M05), 용유(M06)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다대포해수욕장(101), 다대포항(102), 낫개(103), 신장림(104), 장림(105), 동매(106), 신평(107), 하단(108), 당리(109), 사하(110), 괴정(111), 동대신(114), 토성(115), 자갈치(116), 남포(117), 중앙(118), 부산역(119), 초량(120), 부산진(121), 좌천(122), 범일(123), 서면(125), 부전(126), 양정(127), 시청(128), 연산(129), 교대(130), 동래(131), 명륜(132), 온천장(133), 부산대(134), 장전(135), 구서(136), 두실(137), 남산(138), 범어사(139), 노포(140)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중동(202), 해운대(203), 동백(204), 벡스코(205), 센텀시티(206), 민락(207), 광안(209), 금련산(210), 남천(211), 경성대·부경대(212), 대연(213), 못골(214), 지게골(215), 문현(216), 부암(220), 가야(221), 동의대(222), 개금(223), 냉정(224), 주례(225), 감전(226), 사상(227), 덕포(228), 모덕(229), 모라(230), 구남(231), 구명(232), 덕천(233), 수정(234), 화명(235), 율리(236), 동원(237), 금곡(238), 증산(240), 부산대양산캠퍼스(241), 남양산(242), 양산(243)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망미(302), 배산(303), 물만골(304), 연산(305), 거제(306), 종합운동장(307), 사직(308), 남산정(311), 숙등(312), 구포(314), 강서구청(315), 체육공원(316)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동래(402), 수안(403), 충렬사(405), 명장(406), 서동(407), 반여농산물시장(409)
● 부산-김해 경전철: 전체 역사 모두 상대식 승강장
● 동해선 광역전철: 거제(K112), 교대(K113), 안락(K115), 부산원동(K116), 재송(K117), 센텀(K118)[5], 벡스코(K119), 신해운대(K120)[6], 오시리아(K122), 기장(K123)[7], 좌천(K125), 서생(K127), 남창(K128)[8], 개운포(K131)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설화명곡(115), 화원(116), 대곡(117), 진천(118), 월배(119), 상인(120), 월촌(121), 송현(122), 서부정류장(123), 대명(124), 안지랑(125), 현충로(126), 영대병원(127), 교대(128), 명덕(129), 반월당(130), 중앙로(131), 대구역(132), 칠성시장(133), 신천(134), 동대구역(135), 동구청(136), 아양교(137), 동촌(138), 해안(139), 방촌(140), 용계(141), 율하(142), 신기(143), 반야월(144), 각산(145)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다사(217), 대실(218), 강창(219), 계명대(220), 대공원(238), 고산(239), 신매(240), 정평(242), 임당(243), 영남대(244)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전체 역사 모두 상대식 승강장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신흥(102), 오룡(108), 용문(109), 탄방(110), 시청(111), 정부청사(112), 갈마(113), 월평(114), 갑천(115), 유성온천(116), 구암(117), 현충원(118), 월드컵경기장(119), 노은(120), 지족(121)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소태(101), 학동·증심사입구(102), 남광주(103), 금남로5가(106), 양동시장(107), 돌고개(108), 농성(109), 화정(110), 쌍촌(111), 운천(112), 상무(113), 김대중컨벤션센터(114), 공항(115), 송정공원(116) 광주송정역(117), 도산(118), 평동(119)
상대식 승강장 다음으로 보편적이고 간단한 구조이기에 역 개수도 상대식 승강장 다음으로 많다.
● 수도권 전철 1호선: 석계(120), 회기(123)[9], 청량리(124), 서울역(133), 남영(134), 서동탄(P157-1), 천안(P169)[10], 아산(P172)[11]
● 서울 지하철 2호선: 시청(201), 삼성(219), 서울대입구(228), 봉천(229), 신림(230), 홍대입구(239), 이대(241), 충정로(243)
● 수도권 전철 3호선: 대화(309), 백석(313), 지축(319), 구파발(320), 연신내(321), 녹번(323), 홍제(324), 독립문(326), 경복궁(327), 안국(328), 종로3가(329), 을지로3가(330), 충무로(331), 동대입구(332), 약수(333), 금호(334), 교대(340), 대치(345)
● 수도권 전철 4호선: 길음(417), 한성대입구(419), 동대문(421), 동대문역사문화공원(422), 명동(424), 회현(425), 서울역(426), 사당(433), 남태령(434)
● 수도권 전철 5호선: 화곡(517), 여의나루(527), 마포(528), 공덕(529), 충정로(531), 서대문(532), 광화문(533), 종로3가(534), 을지로4가(535), 동대문역사문화공원(536), 청구(537), 신금호(538), 장한평(543), 군자(544)
● 서울 지하철 6호선: 응암(610), 상수(623), 광흥창(624), 대흥(625), 효창공원앞(627), 삼각지(628), 녹사평(629), 이태원(630), 신당(635), 동묘앞(636), 창신(637), 보문(638)
● 서울 지하철 7호선: 마들(712), 노원(713), 중계(714), 하계(715), 보라매(742), 까치울(751), 부천종합운동장(752), 춘의(753), 신중동(754), 부천시청(755)
●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901), 당산(913), 국회의사당(914), 석촌고분(932), 석촌(933), 송파나루(934), 한성백제(935), 올림픽공원(936), 둔촌오륜(937)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대곡(K322)[12], 가좌(K315)[13], 신촌(P314), 왕십리(K116)[14], 회기(K118)[15]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왕십리(K210)[16], 도곡(K217), 복정(K222), 한대앞(K251)[17], 인천(K272)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작전(I116), 신연수(I129)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대티(112), 서대신(113), 중앙(118), 범내골(124)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장산(201), 수영(208),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217), 서면(219), 양산중앙(244)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수영(301), 미남(309), 만덕(310), 덕천(313), 대저(317)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미남(401), 낙민(404), 금사(408), 석대(410), 영산대(411), 윗반송(412), 고촌(413), 안평(414)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성서산업단지(221), 이곡(222), 용산(223), 죽전(224), 감삼(225), 두류(226), 내당(227), 반고개(228), 청라언덕(229), 반월당(230), 경대병원(231), 대구은행(232), 범어(233), 수성구청(234), 만촌(235), 담티(236), 연호(237), 사월(241)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문화전당(104), 금남로4가(105)
● 수도권 전철 1호선: 동두천(101), 동두천중앙(103), 지행(104), 덕정(105), 양주(107), 의정부(110), 도봉산(113), 창동(116), 회기(123)[19], 개봉(143), 오류동(144), 온수(145), 역곡(146), 소사(147), 부천(148), 중동(149), 송내(150), 부개(151), 부평(152), 백운(153), 동암(154), 간석(155), 주안(156), 도화(157), 제물포(158), 도원(159), 동인천(160), 금천구청(P144), 석수(P145), 관악(P146), 안양(P147), 명학(P148), 군포(P150), 의왕(P152), 성균관대(P153), 수원(P155), 병점(P157), 오산(P160), 서정리(P163), 평택(P165), 성환(P166), 직산(P167), 두정(P168), 배방(P174), 신창(P177)
● 수도권 전철 4호선: 산본(444), 상록수(448), 안산(453), 신길온천(454), 오이도(456)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문산(K335), 파주(K334), 월롱(K333), 금촌(K331), 운정(K329), 백마(K324), 능곡(K321), 행신(K320), 강매(K319), 서빙고(K112), 청량리(K117)[20]도농(K124), 덕소(K126), 팔당(K128), 운길산(K129), 양수(K130), 신원(K131), 국수(K132), 아신(K133), 양평(K135), 원덕(K136), 용문(K137)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오리(K232), 죽전(K233), 기흥(K237), 망포(K241), 고색(K246), 야목(K249), 한대앞(K251)[21], 안산(K255), 신길온천(K254), 오이도(K258), 월곶(K260), 인천논현(K262), 남동인더스파크(K264), 송도(K267)
● 인천국제공항철도: 디지털미디어시티(A04), 검암(A08), 영종(A10)
● 수도권 전철 경춘선: 망우(K121), 퇴계원(P125), 사릉(P126), 평내호평(P128), 마석(P130), 청평(P132), 가평(P134), 강촌(P137), 김유정(P138), 남춘천(P139), 춘천(P140)
● 수도권 전철 경강선: 곤지암(K416), 부발(K419)
● 동해선 광역전철: 부전(K110), 거제해맞이(K111), 동래(K114), 센텀(K118)[22], 신해운대(K120)[23], 송정(K121), 기장(K123)[24], 일광(K124), 월내(K126), 남창(K128)[25], 덕하(K130), 태화강(K132)
대한민국에서 매우 드문 형태의 승강장 구조이다.
● 수도권 전철 1호선: 광운대(119), 용산(135), 대방(137), 신길(138), 화서(P154)[26]
선로가 하나뿐이라 열차운행에 있어서 매우 제약이 큰지라 대한민국 내에서도 굉장히 드문 형태의 승강장 구조이다.
● 서울 지하철 6호선: 역촌(611), 불광(612), 독바위(613), 연신내(614), 구산(615), 신내(648)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임진강(K337), 운천(K336), 서울(P313), 지평(K138)
● 의정부 경전철: 차량기지임시역(U126)
● 수도권 전철 5호선: 방화(510), 상일동(553)
● 서울 지하철 6호선: 상월곡(642), 봉화산(647)
● 서울 지하철 7호선: 수락산(711), 청담(729), 온수(750)
혼합식 승강장 치고는 대한민국에서 보편적인 편이다.
● 수도권 전철 1호선: 가능(109), 인천(161), 세류(P156), 송탄(P162)
●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논현(925), 중앙보훈병원(938)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상봉(K120), 망우(K121)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