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창공원앞역
한국철도공사 경의중앙선, 서울지하철 6호선의 전철역 중 하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효창공원앞역(孝昌公園앞驛, Hyochang Park station)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동과 용문동에 있는 서울 지하철 6호선과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은 이 역부터 가좌역까지 지하 구간이다.
용산선에서 이 역이 1929년 처음 개업할 때의 역명은 원정역(
한때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명이 효창공원앞(용산구청)역이었으나, 용산구청이 2010년 4월 8일자로 이태원동 녹사평역 인근으로 이전하면서 같은 해 5월 27일 개정되어 병기역명이 폐지되었다. 구 용산구청 건물은 현재 용산구보건소로 사용 중이다.
용산역에서 구 효창역까지를 연결하는 효창선이라는 일종의 회차선이 1978년 ~ 2010년초까지 존재하였는데, 현재 선로는 철거되었으며 그 부지에는 경의선숲길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역사
- 용산선
- 1929년 9월 20일 : 용산선 용산~세교리 간 개통과 함께 원정역(元町驛)으로 영업 개시 (용산 기점 1.2 km)[2]
- 1948년 1월 : 효창역(孝昌驛)으로 역명 개정[3]
- 1969년 4월 10일 : 경의선배치간이역에서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4]
- 1974년 8월 15일 : 폐지[5]
- 1978년 6월 23일 : 경의선 신호장으로 영업 재개 (용산 기점 1.8 km)[6]
- 1984년 3월 1일 : 경의선 배치간이역으로 승격[7]
- 2004년 7월 1일 : 경의선 선로 철거 및 가좌역 방향 철도 단절
- 2009년 8월 1일 : 경의선 용산 기점 1 km 선로 철거
- 2000년 12월 15일: 6호선 응암역~상월곡역 구간 개통과 함께 효창공원앞(용산구청)역 영업개시
- 2010년 5월 27일: 6호선 역명을 효창공원앞역으로 변경
- 2012년 9월 24일 : 경의중앙선 지하 역사 착공
- 2014년 12월 27일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전 구간 개통, 역사 공사가 지연되어 무정차 통과
- 2015년 7월 6일 : 경의중앙선 효창공원앞역으로 역명 개정 및 사용개시 고시 (용산 기점 1.5 km)[8]
- 2016년 4월 30일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개통과 함께 여객 영업 개시에 따라 환승역이 됨
역 구조
6호선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승강장은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두 노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6개가 있다.
6호선 승강장
공덕 ↑ |
하 상 | |
↓ 삼각지 |
경의·중앙선 승강장
↑ 용산 |
2 | | 1 |
공덕 ↓ |
1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서강대 · 금촌 · 파주 · 문산 방면 |
---|---|---|
2 | 용산 · 이촌 · 회기 · 용문 · 지평 방면 |
역 주변
이용객 변동
6호선의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0년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17일간, 용산선의 2016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6년 4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 246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6호선 | 승차 | 2,818 | 5,428 | 7,326 | 8,201 | 8,339 | 8,111 | 7,840 | 7,757 | 7,758 | 7,899 | [9] | ||||
하차 | 2,705 | 5,439 | 7,345 | 8,240 | 8,295 | 8,047 | 7,686 | 7,580 | 7,489 | 7,633 | ||||||
승하차 | 5,523 | 10,867 | 14,671 | 16,441 | 16,634 | 16,158 | 15,526 | 15,336 | 15,247 | 15,533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6호선 | 승차 | 8,042 | 8,229 | 8,279 | 8,259 | 8,376 | 8,114 | 7,623 | 7,296 | [9] | ||||||
하차 | 7,742 | 7,973 | 8,119 | 8,054 | 8,097 | 7,828 | 7,277 | 6,831 | ||||||||
승하차 | 15,784 | 16,202 | 16,398 | 16,313 | 16,473 | 15,942 | 14,900 | 14,127 | 14,124 | 14,136 | ||||||
경의·중앙선 | 승차 | 미개통 | 1,954 | 2,384 | 2,655 | 2,900 | 3,488 | 3,524 | 2,718 | 3,034 | [10] | |||||
하차 | 2,076 | 2,466 | 2,691 | 2,934 | 3,444 | 3,694 | 2,799 | 3,111 |
사진
- 경의중앙선 대합실
- 6호선 대합실
- 환승통로
- 4번 출구
- 6번 출구
인접한 역
서울 지하철 6호선 | ||
---|---|---|
626 공덕 응암 순환 |
● 서울 지하철 6호선 | 628 삼각지 신내 방면 |
용산선 | ||
K312 공덕 문산 방면 문산 방면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본선 완행 중앙선 급행 |
K110 용산 지평 방면 용문 방면 |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