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見, 산스크리트어: dṛṣṭi, darśana, 팔리어: diṭṭhi, 영어: view)은 심려(審慮: 심사숙고)하고 결탁(決度: 확인 판단)하는 것, 또는 심려결탁을 통해 형성된 견해(見解: 일반 사전적인 뜻은 어떤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자기의 의견이나 생각[1]), 의견(意見), 주장(主張)을 말한다. 즉, 견(見)의 본질적 성질심려(審慮: 심사숙고)와 결탁(決度: 확인 판단)이다.[2] 음역하여 날라사낭(捺喇捨囊) 또는 달리슬치(達利瑟致)라고도 한다.[3]

부파불교대승불교 모두 견(見)이 (慧), 즉 반야(般若) 또는 지혜(智慧), 즉 판단작용 또는 식별력의 일종이라고 본다.[2][4]

견(見)은 바른 견해나 주장인 정견(正見)과 진리에 어긋나는 잘못된 견해나 주장인 부정견(不正見) · 악견(惡見) 또는 사견(邪見)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지만, 불교에서는 5견(五見)의 경우처럼 흔히 후자의 부정견(不正見) · 악견(惡見) 또는 사견(邪見)을 가리키는데 사용된다.[3]

견의 분류에는 2견 · 4견 · 5견 · 7견 · 8견 · 10견 · 62견 등이 있다. 대표적인 분류로는 8견(八見)을 들 수 있다. 《구사론》에 따르면, 견은 유신견(有身見) · 변집견(邊執見) · 사견(邪見) · 계금취(戒禁取) · 견취(見取)의 5염오견(五染汚見: 5종의 그릇된 견해) 또는 5견(五見)과 세간정견(世間正見) · 유학정견(有學正見) · 무학정견(無學正見)의 3정견(三正見: 3종의 바른 견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을 통칭하여 8견(八見)이라 한다.[5][6][7] 여기서 특기할 사항은 《구사론》에 따르면 8정도정견(正見: 바른 견해)이 세간정견 · 유학정견 · 무학정견의 3가지로 세분되어 정의된다는 점이다.[7] 그리고 세간정견유루혜에 속하고 유학정견 · 무학정견무루혜에 속한다.[7] 불교에 따르면, 무루혜의 일부라도 성취하면 성자가 된다.[8][9]

지혜의 일종으로서의 견

구사론》의 설일체유부의 교학에 따르면, 견(見)은 5위75법심소법(心所法)의 대지법(大地法: 마음이 일어날 때면 언제나 항상 함께 일어나는 마음 작용들)에 속한 (慧), 즉 지혜(智慧) 즉 판단작용의 일종이다.[2][4] 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에서도 견(見)이 (慧) 즉 판단작용의 일종이라는 것에는 의견을 같이한다. 하지만 (慧)가 대지법과 같은 성격의 변행심소에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특별한 대상을 만났을 때만 일어나는 마음작용들의 그룹인 별경심소에 포함된다고 본다.

또한, 설일체유부에서는 부정견 또는 악견의 그릇된 상태라고 보기 때문에 5위 75법법체계에서 부정견 또는 악견을 별도의 으로 설정하고 있지 않다. 이에 비해 유식유가행파는 비록 부정견 또는 악견의 그릇된 상태인 것은 맞지만 이것은 별도의 으로 설정해도 좋을 만큼 그 세력이 뚜렷하고 강하므로 별도의 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고 보며, 이에 따라 5위 100법법체계에서 부정견 또는 악견번뇌심소에 속한 별도의 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 결과 5위 100법법체계에서 번뇌심소 그룹은 (貪) · (瞋) · (慢) · (癡, 無明) · (疑) · 부정견(不正見, 惡見)의 6가지 근본번뇌로 구성되어 있다.

2견

4견

5견

7견

8견

구사론》에 따르면, 견(見)에는 4그룹의 총 8가지 종류의 견, 즉 8견(八見: 5염오견과 3정견)이 있다.[5][6][7]

  1. 5견(五見: 5가지 잘못된 견해): 유신견(有身見) · 변집견(邊執見) · 사견(邪見) · 계금취(戒禁取) · 견취(見取)의 5가지 염오견(染汚見)
  2. 세간정견(世間正見: 세간의 정견): 생득혜(生得慧) · 문혜(聞慧) · 사혜(思慧) · 수혜(修慧)의 4가지 유루혜(有漏慧)
  3. 유학정견(有學正見: 유학출세간의 정견): 4향4과 중 마지막 아라한과의 성자를 제외한 4향3과의 성자들이 가지는 무루견(無漏見)
  4. 무학정견(無學正見: 무학출세간의 정견): 4향4과 중 마지막 아라한과의 성자, 즉 아라한이 가지는 무루견(無漏見)

구사론》에서는 이 4그룹의 견해에 대해, 비유하자면 한밤중(유루)과 한낮(무루)과 구름(번뇌)이 끼었을 때와 구름이 없을 때에 온갖 색상(色像)을 관찰하면 밝고 어둠의 차이가 있는 것과 같이, 이들 온갖 견(見)의 그 밝고 어둠이 동일하지 않다고 말하고 있다. 즉, 유신견 등의 5견의 염오견은 한밤중(유루)에 구름(번뇌)이 끼인 상태에서 색상을 보는 것이고, 세간의 정견은 한밤중(유루)에 구름(번뇌)이 없는 상태에서 색상을 보는 것이고, 출세간성자유학의 정견은 한낮(무루)에 구름(번뇌)이 끼인 상태에서 색상을 보는 것이고, 출세간성자무학아라한의 정견은 한낮(무루)에 구름(번뇌)이 없는 상태에서 색상을 보는 것이다.[10]

5염오견·5견

유신견

변집견

사견

계금취

견취

3정견

세간정견·4혜

유학정견

무학정견

10견

62견

같이 보기

참고 문헌

  • 권오민 (2003). 아비달마불교. 민족사.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

Wikiwand in your browser!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