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AI tools
대한민국의 음악가 겸 배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김창완(金昌完, 1954년 2월 22일~)은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와 배우이고, 31년 남짓 동안 포크 록 음악 밴드 《산울림》의 리더로 활약했다.[2]
서울에서 출생하였으며, 지금은 없어진 빠른 1954년생으로 1953년생과 학교에 입학했어야 했지만 당시 빠른 생일 및 조기 입학으로 1952년생과 함께 학교에 입학했다. 그는 71학번으로 1975년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잠사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당시 빈한했던 집안의 장남이라는 가정 형편과 시력의 증세 등으로 인해, 병역은 방위병으로 2년 동안 복무한 이후 1977년 6월에 제대했다.
1977년 12월, 동생 김창훈, 김창익과 록 밴드 산울림을 결성하고, 1집 앨범 《아니 벌써》를 발표해 정식 데뷔하였다. 김창완은 그룹 산울림의 리더로, 보컬과 기타를 맡았다. 1집 《아니 벌써》로 선풍적인 인기를 구가하면서 대마초 파동으로 암울하던 70년대 후반 가요계에 큰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아직 1집 관련 충격이 가시기도 전인 1978년 5월, 2집 《내 마음에 주단을 깔고》를 발표하여, 록의 예술성과 대중성을 모두 만족시킨 앨범이란 평가를 받았다. 《내 마음에 주단을 깔고》, 《안개속에 핀 꽃》, 《이 기쁨》 등은 산울림의 사이키델릭한 음악을 잘 보여준다. 1978년 11월 발표된 3집 《내 마음》은 실험성을 가지고 도전했던 작품이지만 상업적으로는 실패했다. 큰 인기를 얻던 산울림은 1979년 창훈, 창익의 군입대로 그룹 활동이 잠정적으로 중단되었으나, 동생들의 입대전에 준비해둔 4, 5, 6집을 차례로 발표하면서 공백기간을 채워나갔다. 동생들이 제대하자 다시 모인 산울림은 7집 앨범으로 1981년 KBS 가요대상 중창부문 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올렸다. 1983년 9집을 내고, 동생들의 취직으로 김창완만 전업 예술인으로 활동하기 시작횄다. 산울림은 1984년 7월 10집, 1987년 9월 산울림 11집, 1991년 1월 12집을 발표했다. 1997년 동생들을 다시 불러들여 산울림 13집 《기타로 오토바이를 타자》를 발표하였다.
연기자, 라디오 진행도 활동하고 있으며, 김창완은 솔로 앨범도 몇 장을 발표했다. 그리고 2008년, 김창완은 젊은 뮤지션들과 김창완밴드를 결성하여, EP 앨범 《The Happiest》를 발매한다.
"음악학원에 다닌 적도 없고, 대학교 1학년 때 동네 고물상에서 클래식 기타 교본과 1,500원짜리 세고비아 통기타 2대를 사서 교본의 첫 장에 나오는 D코드를 잡으며 30분 동안 쳤어요. 그 소리가 참 아름다워 음악을 하게 되었지요"[3]
김창완이 동생 김창훈, 김창익과 함께 만든 그룹 산울림은 실제로 직업적인 록그룹이 되기 위해 앨범을 만든 건 아니다. 1972년께 집에 500원짜리 기타를 들고 와서 형제끼리 노래를 부른 것이 음악의 시작이었다.[4]
얼마 후 김창훈이 기타를 하나 더 장만하자 할 것이 없던 막내 김창익은 전화번호부와 노트 등을 방바닥에 놓고 드럼 흉내를 내면서 그들의 음악을 표현하였다고 한다. 1977년 대학을 졸업하면서 그동안 작곡했던 150여 곡이 아까워서 마지막으로 정리하는 기분으로 그들은 앨범 한 장을 내기로 했다.[4]
우여곡절 끝에 레코드 회사에서 녹음을 허락했고, 녹음 당일 취직 시험이 있던 그는 과감히 녹음을 하기로 결정했다. 바로 산울림의 탄생이었다. 아직은 록 음악이 그다지 대중화되지 못한 1970년대 1집 《산울림 새노래모음》(1977)은 록 앨범으로서는 최초의 히트앨범이었고, 한국 대중음악사상 가장 문제적 데뷔 앨범으로 평가되고 있다. 공전의 히트를 기록했던 〈아니 벌써〉와 〈문 좀 열어줘〉, 〈불꽃놀이〉, 〈안타까운 마음〉 등의 곡을 통하여 이들이 들려준 독특한 사운드, 생동감 넘치는 리듬, 신선한 멜로디 등은 당시로서는 하나의 문화충격이었다. 여기에 구어체 문장을 그대로 가사로 사용해 위트와 패러독스가 생동감 있게 표현된 노랫말 역시 우리 가요계 발전에 커다란 시금석이 되었다.[4]
얼마 뒤 발표한 2집 《산울림 제2집》(1978)을 통해 프로그레시브와 헤비메탈까지 도입한 산울림의 실험적이고 파격적인 행보는 대중적으로도 엄청난 호평을 받는다. 3분 25초에 달하는 베이스 기타의 기백을 보여준 〈내 마음에 주단을 깔고〉, 헤비메탈 스타일에 보컬 하모니가 절묘하게 조화를 이룬 〈노래 불러요〉 등은 당시로서는 산울림만이 할 수 있는 새로운 시도였다. 그해 서울 문화체육관에서 열렸던 첫 공연은 새벽부터 장사진을 치는 소동과 관객들이 던진 꽃으로 무대가 뒤덮이는 난리통을 벌이는 등 많은 화제를 낳았다. 1977년생 아이는 당시 산울림둥이로 불렸을 정도이니 인기는 짐작하기 어렵지 않다.[4]
1, 2집은 각각 50만 장에 달하는 공전의 히트를 거두었고 앨범 한 장만 내겠다는 당초의 계획은 수정되었다. 이러한 대중적 성공을 거두면서 산울림은 프로가 되었다. 이듬해에는 동요와 옴니버스 앨범을 포함해 일년에 무려 앨범 네 장을 발표하는 위력 시위를 한다. 상업적 참패를 맛본 그들의 《산울림 제3집》(1978)은 그들의 앨범 중 가장 실험정신이 충만한 앨범으로 한국 록 역사상 주목해 봐야 할 명작 중 하나다. 일본의 일부 평론가는 이 앨범의 곡들을 평하며 산울림을 우리나라 메탈의 효시로 보기도 했다. 연극, 영화, 드라마 등의 주제 음악을 옴니버스 형식으로 만든 편집앨범 《산울림 제4집》(1979)과 창훈과 창익의 입대 전에 기획해 놓았다가 두 동생들의 휴가 기간을 이용해 마무리 지은 〈산울림 제5집〉(1979)에는 김창완이 17세에 작곡한 산울림의 빼놓을 수 없는 명곡 중의 하나인 〈왜! 가〉가 수록되어 있다.[4]
《산울림 제7집》(1981)은 조용필의 3집, 변진섭의 1집에 비견되는 셀 수 없는 히트 싱글이 연속적으로 포진되어 있다. 제대 후 돌아온 형제들의 연주도 물이 오를 대로 올랐으며 김창완만의 시정(詩情) 또한 거의 샘물과도 같이 흘러넘친다. 〈가지 마오〉로 포문을 열면 〈독백〉, 〈하얀 밤〉, 〈청춘〉, 〈노모〉, 〈하얀 달〉 등 무수한 보물들이 연이어 차례를 기다린다. 이 앨범은 지금 필자와 같은 정서를 공유한 세대가 가슴속에 간직하고 있는 서한집(書翰集)인 것이다. 상업적 성공을 한 발짝 더 연장시킨 《산울림 제8집》(1982)의 히트곡 〈내게 사랑은 너무 써〉는 김창완을 러브 발라드의 히트메이커로 오인하게 하기에 충분했다. 자기비판 후에 본래의 자리로 돌아온 《산울림 제9집》(1983)은 김창완 스스로가 가장 애착해하는 역작이었지만 대중들은 이 앨범의 숨은 가치를 거절했다.[4]
9집을 끝으로 해체한 산울림은 김창완의 1인 산울림으로 3장의 음반을 내며 산울림의 디스코그래피를 채워나간다. 혼자 남은 김창완은 《김창완 1집:기타가 있는 수필》(1983)에서 〈어머니와 고등어〉를 히트시키며 이후 계속되는 솔로여정의 첫 삽을 뜬다. 산울림이라는 프레임으로도 메울 수 없었던 넘치는 그의 상상력이 자연스럽게 발효된 걸작이다. 그가 양산한 〈개구장이〉, 〈산할아버지〉, 〈안녕〉 등의 인기곡이 포진한 동요 앨범들 역시, 그의 천진무구한 창작적인 감수성이 뽑아낸 새로운 시도였다. 이후 자신이 작업하고 노래한 드라마 음악을 모아 《산울림 김창완의 새로운 여행 TV드라마 음악》(1987)을 내고 〈꼬마야〉를 히트시킨다.[4]
1995년 2월 의도적인 그로테스크함이 강조되며 꼭두각시화 된 잠옷을 입은 김창완의 사진이 담겨진 《김창완 2집 Postscript》(1995)가 나왔다. 이 앨범은 이후 1997년 14년 만에 형제들이 모여 완전한 록 밴드로서 펼쳐 보이게 되는 새로운 음악세계의 시발점으로 자리할 만한 작품이었다. 〈산울림 제13집〉(1997)은 물론 최근의 〈김창완밴드〉에서 그가 들려주는 신선한 사운드의 원형이 여기에 담겨 있었다. 삼형제 록그룹 산울림의 복귀는 신선함과 충격 이상이었다. 산울림은 1990년대의 록 평론가들에 의해 신중현, 들국화와 더불어 한국 록 역사의 가장 우뚝한 봉우리로 평가받고 있음은 두말할 나위 없다.[4]
2008년 산울림 해체 후 탄생한 〈김창완밴드 1집〉은 세상을 뜬 막내 김창익의 죽음으로부터 벗어나려고 했던 앨범이었고, 《김창완밴드 2집 분홍굴착기》(2012)는 산울림 35주년을 기념한 지극히 주관적인 김창완밴드식 선곡과 사운드로 이루어진 산울림 리메이크 앨범이었다. 지난해에는 드디어 원 테이크 녹음 방식이 주는 긴장감과 매 순간 완성되는 공간의 미학이 온전히 담겨진 《김창완밴드 3집 용서》(2015)가 발매되었다. 그룹 산울림의 핵심으로서 전무후무한 음악세계를 창조했던 김창완. 파격, 혁신, 창의성 그리고 아이와 같은 순수함을 담은 탁월한 작품들로 한국 대중음악의 역사를 다시 쓰게 만든 밴드 산울림. 보통명사가 되어버린 그 이름은 1977년부터 시작되어 지금까지 이어지는 모든 록적인 시도를 가리키는 단어가 되어버렸다.[4]
조영남과의 대담 인터뷰에서 스스로 자신은 종교가 없으며, 신을 믿지 않는다고 밝힌 바 있다.[5]
1998년과 2003년에 각각 한 차례씩 두 번의 음주운전으로 인하여 각각 한 차례씩 면허정지 100일 처분을 받았다.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