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 집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집합론에서 클럽 집합(club集合, 영어: club set)은 주어진 순서수보다 작은 순서수들 가운데 "거의 대부분"을 포함하는 집합이며, 정상 집합(定常集合, 영어: stationary set)은 주어진 순서수보다 작은 순서수들 가운데 "충분한 수"를 포함하여, 임의의 클럽 집합과 하나 이상의 원소를 공유하는 집합이다. 즉, 이 두 개념의 관계는 공집합이 아닌 열린집합조밀 집합의 관계와 같다.

정의

클럽 집합

극한 순서수 가 주어졌다고 하자. 부분 집합

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면 -클럽 집합(영어: -club set)이라고 한다.

  • 순서 위상에 대하여 닫힌집합이다. 즉, 임의의 순서수 에 대하여, 라면, 이다.
  • 이다. 즉, 임의의 순서수 에 대하여, 가 존재한다.

정상 집합

임의의 기수 및 부분 집합 가 주어졌으며, 공종도비가산이라고 하자.

만약 와 임의의 -클럽 집합의 교집합공집합이 아니라면, 정상 집합이라고 한다.

성질

요약
관점

연산에 대한 닫힘

클럽 집합들은 유한 교집합에 대하여 닫혀 있다. 즉, 기수 및 두 -클럽 집합 가 주어졌을 때, 역시 -클럽 집합이다. 즉, 클럽 집합들은 필터 기저를 이루며, 클럽 집합을 포함하는 집합들은 필터를 이룬다. 이를 클럽 필터(영어: club filter)라고 한다.

클럽 집합과 정상 집합의 교집합은 정상 집합이다. 즉, 기수 -정상 집합 -클럽 집합 가 주어졌을 때, 역시 정상 집합이다.

솔로베이 분할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 정칙 비가산 기수
  • 정상 집합

그렇다면, 솔로베이 정상 집합 분할 정리(Solovay定常集合分割定理, 영어: Solovay’s theorem on partitions of stationary sets)에 따르면, 개의 정상 집합들로 분할될 수 있다.

포도르 정리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 정칙 비가산 기수
  • 정상 집합
  • 함수

또한, 다음이 성립한다고 하자.

  • 임의의 에 대하여,

포도르 정리(영어: Fodor’s theorem)에 따르면, 인 정상 부분 집합 순서수 가 존재한다.[1]:Theorem 1.5

말로 기수

-정상 집합들의 모임을 로 표기하자.

기수의 모임 의 부분 모임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모임을 정의할 수 있다.

이를 말로 연산(Mahlo演算, 영어: Mahlo operation)이라고 한다.[2]:18

기수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기수를 말로 기수(Mahlo基數, 영어: Mahlo cardinal)라고 한다.

  • 만약 도달 불가능한 기수의 모임일 경우, 이다.[2]:21
  • 임의의 에 대하여, 가 되는 도달 불가능한 기수 가 존재한다.[2]:57, Proposition 6.2(b)

여기서 폰 노이만 전체의 단계이며, 이항 연산 과 상수 기호 를 갖춘 구조이며, 기본 매장의 존재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만약 가 약하게 도달 불가능한 기수의 모임일 경우, 의 원소를 약한 말로 기수(弱-Mahlo基數, 영어: weakly Mahlo cardinal)라고 한다.[2]:17 일반화 연속체 가설을 가정한다면 약하게 도달 불가능한 기수의 개념은 도달 불가능한 기수의 개념과 일치하므로,[2]:18 마찬가지로 약한 말로 기수의 개념은 말로 기수의 개념과 일치한다.

말로 연산은 다음과 같이 초한 귀납법으로 반복할 수 있다.

이를 사용하여, -말로 기수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즉, 0-말로 기수는 도달 불가능한 기수이며, 1-말로 기수는 말로 기수이다.

말로 기수는 큰 기수의 일종이다. 즉, 말로 기수의 존재 또는 부재는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선택 공리(ZFC)로부터 증명할 수 없다. (이는 물론 ZFC가 무모순적이라는 것을 전제로 한다.)

기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함의 관계가 존재한다. (즉, 이는 무모순성 관계보다 더 강하다.)

도달 불가능한 기수 ⇐ 말로 기수 ⇐ 약콤팩트 기수강콤팩트 기수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3]:§9

여기서

  • : 도달 불가능한 기수의 모임
  • : 가측 기수의 모임
  • : 초콤팩트 기수의 모임
  • : 확장 가능 기수(영어: extendible cardinal)의 모임
  • : 초거대 기수(영어: superhuge cardinal)의 모임

다이아몬드 원리

기수 -정상 집합 에 대하여, -다이아몬드 집합렬(영어: -diamond sequence) 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이다.

  • 임의의 에 대하여,
  • 임의의 에 대하여, -정상 집합이다.

-다이아몬드 원리(-diamond原理, 영어: -diamond principle) -다이아몬드 집합렬이 존재한다는 명제이다.[4]

은 흔히 다이아몬드 원리 라고 표기한다.

구성 가능성 공리는 다이아몬드 원리를 함의하며, 다이아몬드 원리는 수슬린 가설의 부정 및 연속체 가설을 함의한다.

즉, 이는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선택 공리로 증명하거나 반증할 수 없다.

역사

1911년에 프리드리히 파울 말로(독일어: Friedrich Paul Mahlo, 1883~1971)가 약한 말로 기수의 개념을 "ρ0-수"(독일어: ρ0-Zahl)라는 이름으로 1911년에 도입하였다.[5][6][7]

정상 집합의 개념은 제라르 블로크(프랑스어: Gérard Bloch)가 1953년에 도입하였다.[8][1]:§1.1

포도르 정리는 포도르 게저(헝가리어: Fodor Géza, 1927~1977)가 1956년에 증명하였다.[9] 솔로베이 정상 집합 분할 정리는 로버트 솔로베이가 1971년에 증명하였다.[10]

다이아몬드 원리는 로널드 비언 젠슨(영어: Ronald Björn Jensen, 1936~)이 1972년에 도입하였다.[11]

"클럽 집합"(영어: club set)이라는 이름은 영어로 "닫힌집합이자 비유계 집합"(영어: closed and unbounded)의 머리글자를 딴 것이다.[1]:Definition 1.1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