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에어
대한항공이 출자한 저비용 항공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진에어(영어: Jin Air)는 대한민국의 저비용 항공사으로 현재 대한민국의 운송 전문 기업집단인 한진그룹에 소속되어 있으며 2017년 12월 8일 코스피에 상장되었다.
![]() | |||||||
![]() 진에어의 보잉 737-800 (구도색) | |||||||
| |||||||
창립일 | 2008년 1월 23일 | ||||||
---|---|---|---|---|---|---|---|
운항개시일 | 2008년 4월 5일 | ||||||
허브 공항 | |||||||
거점 도시 | |||||||
상용고객 우대제도 |
나비 포인트 | ||||||
보유 항공기 | 31 | ||||||
취항지 수 | 34 | ||||||
슬로건 | Fly, better fly | ||||||
본사 |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항대로 453 (등촌동) | ||||||
핵심 인물 | 박병률 (대표이사) | ||||||
자본금 | 30,000,000,000원 (2018.12) | ||||||
매출액 | 1,010,677,826원 (2018) | ||||||
순이익 | 44,468,969,924원 (2018) | ||||||
모기업 | 대한항공 | ||||||
웹사이트 | www |
역사
진에어는 원래 에어 코리아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으나 2008년 실용주의에 입각하여 명칭을 현재의 사명인 진에어로 변경하였으며 실용주의와 사명의 영향을 받아 유니폼을 청바지로 확정하였다.[1] 그리고 같은 해 7월, 첫 항공기를 도입하였으며 항공운항증명을 교부받아 김포 - 제주간 노선에 취항했다.[2][3][4]
본애 진에어는 국내 항공사들 중 유일하게 청바지를 공식 유니폼으로 지정한 항공사였으나, 2019년 5월 새로운 진에어의 유니폼이 공개되었으며 같은 해 7월부터 적용에 들어갔다.[5]
2018년에 한진그룹의 사회적 문제가 진에어 등기 불법까지 드러나자 정부가 비공개회의에서 면허 취소라는 초강경까지 검토 중이라고 밝히기도 했지만.[6] 8월 17일 국토교통부가 면허를 취소하지 않기로 하였으며 신규 노선 허가 등의 운항제재조치를 실행하기로 하였으며 1년 8개월간에 걸친 제재조치는 2020년 3월 31일을 기해 공식 해제되었다.[7][8]
연혁
2000년대
2008년
2009년
2010년대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대
2020년
운항 노선
요약
관점
코드쉐어 협정
진에어는 아시아나항공과 에어부산에 이어서 국내 항공사 중 두번째로 모회사-자회사간 코드쉐어 협정을 체결하였다. 2020년 8월 기준으로 진에어와 코드쉐어를 실시 중인 항공사는 다음과 같다.
인터라인 협정
취항지
허브 | |
취항 예정지 | |
전세편 노선 | |
단항 노선 |
도시 | 공항 IATA | 공항 ICAO | 공항 이름 | 비고 | 운항 횟수 |
---|---|---|---|---|---|
![]() | 허브 | ||||
![]() | 메인 허브 | ||||
![]() | [16][17] | 일 2회 운항, 김포국제공항 행 일 2회 운항, 제주국제공항 행 | |||
![]() | [18] | 일 2회 운항, 제주국제공항 행 | |||
![]() | [17] | 일 4회 운항, 김포국제공항 행 일 4회 운항, 제주국제공항 행 | |||
![]() | [19] | 주 2회 운항, 제주국제공항 행 | |||
![]() | [17] | 일 4회 운항, 김포국제공항 행 주 17회 운항, 제주국제공항 행 | |||
![]() | [20] | ||||
![]() | [21] | 일 1회 운항, 김포국제공항 행 일 1회 운항, 제주국제공항 행 | |||
![]() | [22] | 일 4회 운항, 제주국제공항 행 | |||
![]() | [23] | 일 1회 운항, 김포국제공항 행 일 1회 운항, 제주국제공항 행 | |||
![]() | |||||
![]() | [24] | 일 2회 운항, 제주국제공항 행 | |||
![]() | [25] | 일 7회 운항, 제주국제공항 행 | |||
![]() | [26] | 일 1회 운항, 김포국제공항 행 일 2회 운항, 제주국제공항 행 | |||
![]() | NNG | ZGNN | 우수 | [27] | 일 2회 운항, 양양국제공항 발 |
![]() | [27] | 일 2회 운항, 양양국제공항 발 | |||
![]() | [28] | 주 8회 운항, 양양국제공항 발 | |||
![]() | 주 7회 운항, 제주국제공항 발 | ||||
![]() | SJW | ZBSJ | 정딩 | 부정기 노선[27][29] | 일 2회 운항, 양양국제공항 발 주 2회 운항, 제주국제공항 발 |
![]() | [30][27] | 주 2회 운항, 제주국제공항 발 | |||
![]() | 라이산 | [31] | 주 2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 WUX | ZSWX | 우시 | [32][20] | 주 3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일 3회 운항, 양양국제공항 발 |
![]() | 부정기 노선[28] | 주 8회 운항, 양양국제공항 발 | |||
![]() | [27] | 일 2회 운항, 양양국제공항 발 | |||
![]() | JJN | ZSQZ | 취안저우 | [33] | 주 2회 운항, 제주국제공항 발 |
![]() | [27] | 일 2회 운항, 양양국제공항 발 | |||
![]() | 부정기 노선[28] | 주 8회 운항, 양양국제공항 발 | |||
![]() | [34] | 일 2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 [35] | 주 7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 부정기 노선[36] | 부정기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 [37] | 일 2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 전세편 노선[38][39][40] | 일 1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 [41] | 주 3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주 3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 |||
![]() | [42] | 주 4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 [43] | 일 2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 [44] | 주 7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 [45] | 주 5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주 3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 |||
![]() | SHI | RORS | 시모지시마 | [46] | 주 5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47] | 일 2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 [48] | 주 3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주 3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 |||
![]() | [49] | 주 19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 [50] | 주 7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주 7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 |||
![]() | [51] | 주 7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 UBN | ZMUK | 칭기즈 칸 | [52] | 주 2회 운항, 무안국제공항 발 |
![]() | [53] | 주 7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 JHB | WMKJ | 세나이 | [54] | 일 2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55] | 일 3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 [56] | 주 7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 [57] | 주 4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 [58][59] | 일 3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일 2일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 |||
![]() | [60] | 주 7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 KNO | WIMM | 쿠알라나무 | 전세편 노선 | |
![]() | [61] | 주 7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주 7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 |||
![]() | [62][57] | 주 4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 [63] | 주 7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 TAG | RPSP | 보홀 | [64] | 주 7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65][66] | 일 3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일 2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 |||
![]() | [67] | 주 7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 [68] | 주 7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주 7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 |||
![]() | [69][70] | 일 2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일 2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 |||
![]() | [71] | 주 4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 전세편 노선[72] | ||||
![]() | [73] | 주 2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 [74] | 주 5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보유 기종
현재 사용하는 기종
기종 | 대수 | 주문 | 승객 | 비고 | |||
---|---|---|---|---|---|---|---|
C | E+ | E | 합계 | ||||
보잉 737-800 | 19 | 0 | 0 | 0 | 189 | 189 | |
보잉 737-900 | 3 | 0 | 8 | 0 | 180 | 188 | 과거 대한항공 항공기를 인수[78] |
보잉 737 MAX 8 | 5 | 0 | 0 | 0 | 189 | 189 | |
보잉 777-200ER | 4 | 0 | 0 | 48 | 345 | 393 | 과거 대한항공 항공기를 인수 |
합계 | 31 | 0 |
퇴역 기종
기종 | 대수 | 도입 년도 | 퇴역 년도 | 비고 |
---|---|---|---|---|
에어버스 A300-600R | 5 | 도입 취소 | 기종 노후화로 보잉 777-200ER로 변경 | |
보잉 737-800 | 9 | 2008년 | 2022년 | |
1 | 2018년 | 이스타항공에 매각 | ||
후원
- 진에어 그린윙스
- 진에어 스타리그 2011
- 진에어 배 2011 슬러거 통합챔피언십
-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같이 보기
사건 및 사고
진에어 불법 등기 임원 논란
조현민 진에어 마케팅본부 본부장 (부사장)이 2010년 3월부터 2016년 3월까지 진에어 사내이사로 재직했다. 대한민국의 항공사업법 제9조는 '국내·국제항공운송사업 면허의 결격사유' 중 하나로 임원 중에 '대한민국 국민이 아닌 사람'이 있는 경우를 들고 있으며, 진에어 관계자에 따르면 조현민 부사장은 당시 논란의 소지가 있어 2016년에 등기 임원을 사임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79] 이로 인해 국토부가 항공운송면허 취소에 대해 검토했지만[80] 면허를 취소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그 대신 신규노선의 허가를 제한하고, 신규 항공기 등록과 부정기편의 운항을 제한하는 제재를 결정했다.[81]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