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국제공항

대한민국의 국제공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김포국제공항

김포국제공항(金浦國際空港, 영어: , IATA: GMP, ICAO: RKSS)서울특별시 강서구[1]에 있는 국제공항이다.[2]

간략 정보 김포국제공항金浦國際空港 Gimpo International Airport, 개요 ...
김포국제공항
金浦國際空港
Gimpo International Airport

Thumb
국내선 터미널 전경 (리모델링 전)

Thumb
김포국제공항 국제선의 내부

IATA: GMP - ICAO: RKSS
WMO: 47110
개요
공항종별 민간·정부 공용
시간기준 UTC+09:00
운영시간 06:00 ~ 23:00 (커퓨 타임 적용)
소유기관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운영기관 한국공항공사
지역 서울특별시
위치 서울특별시 강서구 하늘길 38 (방화동) (국제선)
서울특별시 강서구 하늘길 112 (공항동) (국내선)
거점 항공사
건립시기 1939년
사용시기 1958년 1월 30일 ~ 현재
해발고도 18 m / 58 ft
좌표

북위 37° 33′ 29″ 동경 126° 47′ 26″

웹사이트 김포국제공항
지도
Thumb
GMP
김포국제공항 위치
활주로
방향 면적(m*m) ILS 표면
길이
14L/32R 3,600 45 CAT-I 아스팔트
14R/32L 3,200 60 CAT-I
(14R은 CAT-IIIb)
아스팔트
통계(2023)
이용 여객 23,424,158명
운항 횟수 134,560회
처리 화물¹ 61,073t
출처: 한국공항공사 - 공항별 통계

¹: 수하물은 제외한다.

닫기

역사

김포국제공항은 1986년 아시안 게임, 1988년 하계 올림픽을 앞두고 1983년 10월부터 4년여간의 공사 끝에 제2활주로와 국제선 2터미널을 새로 짓고 기존 활주로를 3,600m로 400m를 연장하는 등 부지를 대폭 확장하였다.[3]

그러나 이 공항은 기본적으로 서울에 있는 내륙공항으로서, 인근의 인구 밀집 주거 지역으로 인해 추가 확장이 사실상 불가능하고 24시간 운영에 한계가 있었던 상황에서 비약적으로 증가하는 국제선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인천광역시 영종도용유도 사이의 바다를 메워서 2001년 3월 29일 인천국제공항이 건설되었다.

그리고 인천국제공항 개항 직후 김포공항은 국제선을 전부 인천국제공항에 넘기고 국내선만 취항하였으나 운항 가능 용량에 비하여 취항수가 지나치게 적은 문제가 지적되었다.

이에 김포국제공항의 운영 기관인 한국공항공사건설교통부와 협의하여 2003년 11월 30일도쿄 하네다 국제공항과의 셔틀형 국제선을 취항시키면서 국제선 기능이 다시 부활했으며 2007년중국 상하이 훙차오 국제공항, 2008년일본 오사카 간사이 국제공항, 2011년에 중국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 등에 취항하였다.

또한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진에어, 에어서울, 티웨이항공, 하이에어 등이 김포발 국내선을 운항하고 있고 대한항공, 상하이항공, 아시아나항공, 일본항공, 전일본공수, 중국국제항공, 이스타항공, 제주항공, 중국남방항공, 중국동방항공, 티웨이항공 등이 김포발 국제선을 운항하고 있다.[4]


연혁

1930년대

  • 1939년: 일본군 김포비행장으로 시작.

1940년대

  • 1949년: 한,미 간 김포비행장 운영협정

1950년대

1960년대

  • 1960년: 종합터미널(현 국내선 터미널 부지) 준공.
  • 1960년: 미군 관할권 인수.

1970년대

  • 1971년: 국내선 터미널 준공.
  • 1973년: 국제선 종합터미널(현 국내선 터미널자리) 확장 공사 준공.
  • 1974년: 활주로, 유도로, 계류장, 여객터미널, 주차장 등 공항시설 확장.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시설규모

  • 여객터미널은 연간 3,473만명(국내선 3,043만명, 국제선 430만명)의 여객을 처리할 수 있다. 국내선 터미널과 국제선 터미널은 분리되어 있으며, 국내선 터미널에 9개,[9] 국제선 터미널에 6개[10]의 탑승교가 설치되어 있다.
  • 길이 3,600m×너비 45m의 활주로 1본과 길이 3,200m×너비 60m 활주로 1본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활주로의 연간 항공기 처리능력은 226,000회(시간당 41 회)이다.
  • 활주로 운영등급은 공항 북쪽에서 서쪽 활주로(14R)로 착륙할 때에는 CAT-IIIa등급으로 착륙가능 활주로 가시범위가 175m 이상이고, 나머지(14L/32R/32L)는 CAT-I 등급으로 착륙가능 활주로 가시범위가 550m 이상이다.
  • 119만 9,267m2 면적의 계류장에는 에어버스 A300-600R급 항공기 73대가 동시에 주기할 수 있다.

터미널 운용

인천국제공항 개항 이전

  • 국제선 1터미널(현 국내선 터미널) : 1977년 10월에 착공하여 1980년 8월 11일 준공되었다. 여객터미널은 지하 1층, 지상 4층으로 연간 여객처리인원이 150만명에서 480만명으로 늘어났고, 화물처리능력도 연간 28만톤으로 늘었다. 계류장에는 항공기 40대 주기가 가능해졌다. 이후 이용객이 계속 늘어 거듭 증축하여 1999년 최종 확장시 면적은 79,411m2이었다. 1터미널은 외국항공사가 공동으로 사용하였는데, 2터미널의 여객집중 완화를 위하여 1999년 아시아나항공이 1터미널로 옮겼다. 2025년 옛 국내선 터미널 자리에 국내선 2터미널이 생기면 현 국내선 터미널을 국내선 1터미널로 명명할 예정이다.
  • 국제선 2터미널(현 국제선 터미널) : 서울올림픽을 대비하여 1988년 4월 20일 준공되었다. 면적 80,200m2의 2터미널이 신축되면서 국제선 여객처리 능력이 480만명에서 900만명으로 크게 늘어났다. 2터미널와 함께 활주로 1본(3,200m)이 추가 건설되어 연간항공기 처리능력도 1.5배 향상되었다. 2터미널은 국적항공사(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가 사용하였는데, 1999년 7월 국제선 터미널 재배치 계획에 따라 2터미널에는 대한항공과 대한항공이 수속을 대행하는 항공사만 남았다.
  • 국내선 터미널 : 1971년 준공되었다. 국제선과 통합운영하다가 1980년 8월 11일 국제선터미널이 준공된 후에는 국내선 전용으로 운용하였다. 본래 지하 1층, 지상 2층이었는데, 1991년~1992년1996년~1998년의 2차례 증축을 통해 3층을 올리고, 44,600m2로 확장·운영하였다.[11]2025년 이곳에 국내선 2터미널이 생긴다.

인천국제공항 개항 이후

기존 국제선 1터미널은 2001년 11월 1일부터[출처 필요] 국내선 터미널로 운영되고 있고, 국제선 2터미널은 국제선 터미널로 유지되면서 여유 공간에 상업시설이 입점하였다. 인천 공항 개항 준비 시기였던 2001년 여름에는 김포국제공항의 스텝카들이 한번에 몰려나와 일반 도로를 달려서 인천 공항으로 이동하였고 김포국제공항에서 국제선 운항은 완전히 중단된다. 기존 국내선 터미널은 2003년 1월 23일부터 2014년 9월 30일까지[12] 이마트 공항점으로 사용되었다.

리모델링 (2013년 ~ 2018년)

현 국내선 터미널은 완공된 지 40년이 넘어서 상당히 노후화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2018년까지 총 2,50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탑승교 및 검색대 증설 ▲무빙워크 신설 ▲출발대합실 공간 확장 ▲건물통합에너지관리시스템 도입 등 김포공항을 재단장할 계획이다. 이 계획에 따르면, 여객터미널 체크인 카운터는 재배치해 수하물 처리시간을 15분에서 5분 내로 줄이고, 보안검색대는 기존 10개에서 14개로 증설되며, 단체여행객 대기공간 확보를 위해 출발대합실은 2220m2로 확장된다. 또, 출발여객과 도착여객의 편안한 보행을 위해 동선을 분리하고, 9대인 탑승교를 12대로 늘려 항공기 접현률을 100%로 끌어올릴 예정이다.[13]

한편, 김포공항 국제선 이용객은 2012년 연간 400만명 대에 진입해 국제선 여객터미널의 여객처리 능력(430만명)에 근접하였다. 이에 따라 공항공사는 임대계약이 만료되는 상업시설을 철수시키고 그 자리에 터미널 시설을 확충하여 국제선 여객처리 능력을 키울 계획이다.[14][15] 2018년 10월 17일 리모델링을 마치고 정식 개장하였다.

국내선 2터미널 (2019년 ~ 2025년)

현 국내선 터미널은 포화상태가 되어 이를 확장하기 위해 2025년까지 총 4,932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교통센터(1만6000㎡) ▲주차장 확장 ▲ 국내선 2터미널 ▲공항주변 진입,출 도로 개선 ▲고속탈출 유도로 확보 ▲ 화물터미널,배후지원단지 조성 등 할 계획이다.[16]

운항 노선

국제선

국내선

* 항공편이 지연되어 밤 11시 이후에 착륙하게 될 것이라고 관제탑에서 판단하는 경우, 항공기는 관제탑 지시에 따라 인천국제공항으로 우회하여 착륙한다.

관련 통계

이용객 추이

전체

자세한 정보 연도, 1997년 ...
연도[19]1997년1998년1999년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
운항(편수)228,629감소 210,011증가 212,423증가 233,243감소 154,164감소 128,428감소 126,343감소 105,923감소 94,787증가 94,943
여객 (명)36,489,214감소 29,296,342증가 33,284,079증가 36,637,067감소 22,041,099감소 17,092,095감소 16,880,641감소 14,841,953감소 13,448,152증가 13,766,523
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
운항(편수)증가 100,124증가 108,015증가 115,895증가 118,514증가 126,115증가 130,269증가 134,623증가 138,706증가 142,863증가 146,266
여객 (명)증가 13,811,004증가 14,264,693증가 15,369,944증가 17,565,901증가 18,513,927증가 19,429,224증가 19,904,327증가 21,566,946증가 23,163,778증가 25,043,088
2017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운항(편수)감소 145,507감소 141,080감소 140,422감소 113,580증가 138,855증가 143,713감소 134,560
여객 (명)증가 25,101,147감소 24,602,588증가 25,448,416감소 17,446,239증가 22,525,417증가 24,524,065감소 23,424,158
닫기

국내선

자세한 정보 연도, 1997년 ...
연도1997년1998년1999년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
운항(편수)134,798감소 128,310감소 126,716증가 135,210감소 130,434감소 128,290감소 125,964감소 102,938감소 90,621감소 89,050
여객 (명)21,270,859감소 16,289,494증가 17,810,085증가 18,738,579감소 17,743,235감소 17,082,195감소 16,830,966감소 14,227,212감소 12,503,204감소 12,346,887
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
운항(편수)증가 93,689증가 99,100증가 104,049감소 103,379증가 107,316증가 108,815증가 113,323증가 117,551증가 122,484증가 125,754
여객 (명)감소 12,140,242증가 12,295,246증가 12,874,092증가 14,405,026증가 14,835,075증가 15,334,647증가 15,943,136증가 17,483,670증가 19,134,276증가 20,801,363
2017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운항(편수)감소 125,136감소 120,801감소 120,121감소 110,125증가 138,720증가 141,462감소 116,560
여객 (명)증가 21,068,467감소 20,312,292증가 21,176,127감소 16,902,376증가 22,510,527증가 24,148,389감소 20,208,251
닫기

국제선

자세한 정보 연도, 1997년 ...
연도1997년1998년1999년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
운항(편수)93,831감소 81,701증가 85,707증가 98,033감소 23,730감소 138증가 379증가 2,985증가 4,166증가 5,893
여객 (명)15,218,355감소 13,006,848증가 15,473,994증가 17,898,488감소 4,297,864감소 9,900증가 49,675증가 614,741증가 944,948증가 1,419,636
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
운항(편수)증가 6,435증가 8,915증가 11,846증가 15,135증가 18,799증가 21,454감소 21,300감소 21,155감소 20,379증가 20,512
여객 (명)증가 1,670,762증가 1,969,447증가 2,495,852증가 3,160,875증가 3,678,852증가 4,094,577감소 3,961,191증가 4,083,276감소 4,029,502증가 4,241,725
2017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운항(편수)감소 20,371감소 20,279증가 20,301감소 3,455감소 135증가 2,251증가 18,000
여객 (명)감소 4,032,680증가 4,290,296감소 4,272,289감소 543,863감소 14,890증가 375,676증가 3,215,907
닫기

노선별 순위

국내선

자세한 정보 순위, 공항 ...
국내선 노선 순위 (2017년)
순위 공항 여객(명) 운항(편수) 항공사
1 제주국제공항 17,026,002 91,147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이스타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2 김해국제공항 2,741,550 21,353 대한항공, 에어부산, 이스타항공, 제주항공
3 울산공항 515,066 4,922 대한항공, 에어부산
4 여수공항 356,372 3,205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5 광주공항 206,374 1,663 아시아나항공
6 사천공항 120,543 1,425 대한항공
7 포항공항 98,163 1,371 대한항공
닫기
  • 김포 - 제주 노선은 환승 승객을 제외한 여객 수 기준으로 전 세계에서 가장 붐비는 노선이다. 2016년 기준으로 국제선을 포함한 전체 김포공항 운항 편수의 63.3%가 제주 노선이고, 제주국제공항의 53.6%가 김포 노선이다. 2012년 5월에 영국이코노미스트세계 1위 구간(2011년 여객 수 기준)으로 선정했으며, 2013년에는 세계 여행산업 관련 IT업체인 아마데우스도 세계 1위 구간(2012년 환승 승객 제외한 여객 수 기준)으로 선정하였다.[21]

국제선

교통 시설

사건

  • 1980년 11월 19일, 대한항공 015편 보잉 747-200기가 활주로에 못 미쳐 랜딩 기어가 노즈 휠과 외측 2개 엔진에서 미끄러져 정지하는 사고가 발생했으며, 총 탑승자 226명 중 15명이 사망했으며, 사망자 중 1등 장교와 기장이 포함되었다.
  • 1986년 9월 14일, 당시 한국의 주요 공항이었던 김포국제공항에서 폭탄테러가 발생하여 5명이 사망하고 30여명이 부상을 입었다. 희생자는 모두 한국인이었다.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