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AI tools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 있는 공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김해국제공항(金海國際空港, 영어: Gimhae International Airport, IATA: PUS, ICAO: RKPK)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에 있는 군-민 공용의 국제공항이다. 대한민국 공군 제5공중기동비행단이 주둔하고 있다. 대한항공, 에어부산이 허브 공항으로 이용한다.
김해국제공항 Gimhae International Airport | ||||||
---|---|---|---|---|---|---|
IATA: PUS - ICAO: RKPK | ||||||
개요 | ||||||
공항종별 | 군-민 공용 | |||||
시간기준 | 한국 표준시 | |||||
운영시간 | 06:00~23:00 | |||||
소유기관 |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대한민국 국방부 | |||||
운영기관 | 대한민국 공군 미국 공군 한국공항공사 | |||||
지역 |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강서구 | |||||
위치 | 부산광역시 강서구 공항진입로 108 (대저2동) | |||||
거점 항공사 | 에어부산 | |||||
건립시기 | 1976년 | |||||
점유기관 | 제5 전술공수비행단 | |||||
해발고도 | 2 m / 6 ft | |||||
좌표 | 북위 35° 10′ 46″ 동경 128° 56′ 17″ | |||||
웹사이트 | ||||||
지도 | ||||||
활주로 | ||||||
방향 | 면적(m*m) | ILS | 표면 | |||
길이 | 폭 | |||||
18R/36L | 3200 | 60 | YES¹ | 콘크리트 | ||
18L/36R | 2743 | 45 | YES¹ | 콘크리트 | ||
통계(2023) | ||||||
이용 여객 | 13,694,710명 | |||||
운항 횟수 | 82,185회 | |||||
처리 화물² | 10,192톤 | |||||
출처: 한국공항공사 - 공항별 통계 ¹: 남쪽(36L, 36R)만 설치 |
이용객 수 기준으로 인천, 제주, 김포에 이은 대한민국 4위의 공항이고 인천국제공항 다음으로 국제선 이용객이 많은 국제공항으로, 2018년에 국제선 이용객 수(국제선 환승전용인 김해-인천 노선 이용객 포함)가 1천만 명을 돌파하였다.
그러나 시설 여건이 열악한 데다가, 공항 주변이 모두 산지이기 때문에 최대이륙중량 문제가 걸려서 대형기의 이착륙 및 장거리 노선의 운항에 제약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국제선은 대만, 베트남, 일본, 중국, 태국, 필리핀 등 상대적으로 근거리권인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방면 노선을 주로 운항하고 있다. 그 중 도쿄방면 노선은 운수권 문제 때문에 하네다행 정기편이 없으며, 나리타행만 운항 중이다.
여러 지역으로 연결되는 리무진버스도 운행 중에 있으며, 공항 이용자들이 아니어도 경전철과 연계하여 서부산방면으로 가는 사람들이 김해국제공항 리무진버스를 많이 이용한다.
김해국제공항은 1940년에 일본 육군 비행장으로 건설된 부산비행장(수영비행장)을 이전하기 위해 기존의 공군 기지를 활용하여 건설되었다. 6.25 전쟁 당시 미군은 이 기지를 서부산공군기지 (영어: Pusan West (K-1) Air Base)로 이름붙였다.[1] 1976년부터 현재까지 대한민국 공군의 제5공중기동비행단이 사용하고 있다. 제5공중기동비행단은 성남 서울공항의 공군 제15특수임무비행단과 함께 대한민국 공군 최대 크기 수송기인 C-130, 조기경보기 E-737 등을 운영하는 부대이다. 제5공중기동비행단에는 실미도 부대의 부대마크를 그대로 사용하는 특수부대가 있다.
일제가 1940년에 지금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벡스코 부지에 개설한 육군 비행장이었던 수영비행장은 광복 직후인 1946년 미군정이 C-47 항공기 8대를 투입해 김포비행장을 기점으로 서울 - 대구 - 부산 간 노선을 주 2회 운항하면서 비로소 민간인들이 이용하기 시작했다.
1948년 10월 30일부터 대한국민항공사(KNA)에서 서울 - 부산 간 국내선 노선을 운항하였다. 수영비행장은 한국 전쟁 중이던 1950년 8월부터 정전 후 여의도비행장이 임시국제공항으로 지정되기 전까지 임시국제공항으로 지정되어 운영되었다. 1953년 12월부터 수영비행장을 기점으로 해 광주, 군산, 대구, 제주를 잇는 노선을 부정기로 운항하였다. 1957년 12월 17일에는 항공통신소가 설치되었다.
1958년 1월 30일에 수영비행장의 명칭이 부산비행장으로 변경되었고, 1963년 9월 30일 교통부에 의해 정식 국제공항으로 승격하였다.[2] 한편, 현재의 김해국제공항 부지에는 이미 공군 기지와 활주로가 있었다.
1976년 8월에 부산비행장이 김해군 대저읍으로 이전하고, 김해국제공항으로 명명되었다. 이전 당시 김해공항 부지는 경상남도 김해군에 속했으나, 1978년 2월 15일에 행정구역이 개편되어 부산직할시(현 부산광역시)에 편입되었다. 부산비행장 부지는 공군 비행장으로 사용되다가 1987년에 폐쇄되었고, 현재는 센텀시티와 벡스코가 들어서 있다.
1983년 5월부터 한국공항공단(현 한국공항공사)이 김해국제공항을 인수해 운영하고 있고, 1993년 5월에 현재의 국내선 청사를, 2007년 11월에 현재의 국제선 청사를 각각 신축했다.
2014년 초까지 대한민국에서 인천국제공항(2001년 3월 29일 이전에는 김포국제공항)을 제외하고 유일하게 미주 노선과 유럽 노선을 운항하는 지역 국제공항이었으나, 1994년에 대한항공이 호놀룰루로 가는 직항편을 없애고 델타 항공이 수익성 악화를 이유로 나리타 경유 미주 노선을 폐지함에 따라 미주 정기 노선이 사라졌다.[3] 2014년 3월 30일에는 루프트한자가 김해발 인천 경유 뮌헨행 노선을 인천발로 단축했다. 따라서 김해국제공항에서 미주나 유럽으로 여행하기 위해서는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환승하거나, 환승이 가능한 일본 등 외국의 국제공항으로 이동해야 한다. 다만 도쿄 환승의 경우는 나리타로 다니던 국제선의 일부가 하네다로 이전하면서, 운수권 때문에 하네다로 바로 갈 수 없는 김해의 사정상 불편함이 따른다.
이용률에 비해, 운항을 위한 기반 시설이 부족한 편이다. 비행장 주변이 산이어서 최대이륙중량 제한이 걸리기 때문에, 장거리용 대형기의 이착륙에 제한이 따른다. 또한 주변이 산이라는 특성 때문에 한 바퀴 돌아서 착륙해야 하며, 이는 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의 원인이 되었다. 2019년 8월에 하이드런트 급유 시설을 설치하기 전까지는 급유 시설의 용량이 턱없이 부족해서, 대형 항공기는 물론 중형 광동체기도 드나들기 곤란했다. 이는 커퓨 타임(야간운행통제 시간)과 더불어 김해국제공항 장거리 노선 취항의 제약 요인이 되고 있으며, 2020년 3월에 취항하기로 한 핀에어 역시 최대이륙중량 문제를 이유로 김해 출발편은 A350의 일부 좌석을 비우기로 했다.[4] 열악한 급유 시설 때문에, 루프트한자가 인천으로 단축하기 전까지 김해 착발로 운항하였던 뮌헨행에 투입한 A340은 중간 기착지인 인천국제공항에서 급유를 받았다.
김해국제공항 국제선 청사는 2013년에 이용객 수가 국제선 여객터미널의 연간 여객처리능력인 464만명에 육박하자 공항공사는 2013년부터 국제선 여객터미널을 왼쪽(남쪽)으로 34% 확장해 2017년 7월에 여객처리 능력을 연 631만명으로 늘렸다.[7][8] 그러나 김해공항의 국제선 이용객 수는 빠르게 증가해 2016년에 이미 770만명을 넘었고,[9] 이에 따라 다시 청사를 증축해 2024년 4월에 국제선 터미널 수용능력을 830만명으로 늘렸는데[10] 김해공항의 국제선 이용객은 2020년에 1,000만명을 넘었다.
열악한 시설과 운항 여건으로 인하여 동남권 신공항이 2차례 추진되었지만, 모두 경제성이 없다고 평가되어 김해국제공항을 확장하기로 2016년에 결정하였다.[11]
2019년 8월 1일에 한국공항공사가 418억 원을 들여서 김해국제공항에 620만 리터 규모의 하이드런트 급유 시설을 신설함에 따라 급유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됐으며, 이에 따라 A350이나 B787같은 중형 광동체기의 운항 여건이 개선됐다.[12]
군 공항의 특성과 항공기 운항으로 인한 인근 주민의 소음 피해 때문에, 밤 11시부터 다음 날 오전 6시까지 7시간 동안 모든 종류의 비행기 운항이 금지되어 있다. 종전에는 밤 10시부터 오전 7시까지 9시간 동안 운항이 제한되었으나, 운항 가능 편수 부족 때문에 부산광역시가 주민 대표들과 협의하여 2008년 10월 27일부터 운항제한 시간을 2시간 단축하였다.
항공사 | 목적지 |
---|---|
대한항공 | 나고야(주부),도쿄(나리타), 방콕(수완나품), 베이징(수도), 상하이(푸둥), 칭다오, 타이페이(타오위안), 후쿠오카 내항기편: 서울(인천) |
에어부산 | 가오슝, 나트랑, 다낭, 도쿄(나리타), 마카오, 보홀, 비엔티안, 싼야, 시안, 옌지, 오사카(간사이), 울란바타르, 장자제, 칭다오, 칼리보, 코타키나발루, 타이페이(타오위안), 호치민, 후쿠오카 |
이스타항공 | 구마모토 - (2024년 12월 19일 신규취항)[13], 옌지[14], 오키나와 - (2024년 12월 19일 신규취항)[13], 타이페이(타오위안) |
제주항공 | 다낭, 도쿄(나리타), 방콕(수완나품), 보홀, 스자좡, 세부, 싱가포르, 오사카(간사이), 장자제, 타이페이(타오위안), 후쿠오카 |
진에어 | 괌, 나트랑, 다낭, 도쿄(나리타), 방콕(수완나품), 삿포로, 세부, 오사카(간사이), 오키나와, 클라크, 타이페이(타오위안)[15] |
티웨이항공 | 다낭, 오사카(간사이), |
중국국제항공 | 베이징(수도) |
중국남방항공 | 선양 |
중국동방항공 | 상하이(푸둥) |
상하이 항공 | 상하이(푸둥) |
홍콩 익스프레스 항공 | 홍콩(첵랍콕) |
중화항공 | 타이페이(타오위안) |
타이거 항공 타이완 | 타이페이(타오위안), 타이중 |
MIAT 몽골 항공 | 울란바토르 |
베트남 항공 | 하노이, 나트랑, 호치민 |
비엣젯 항공 | 하노이, 나트랑, 다낭, 호치민, 푸꾸옥 |
싱가포르 항공 | 싱가포르 |
필리핀 항공 | 마닐라 |
연도[16]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운항(편수) | 57,414 | 52,869 | 52,923 | 63,052 | 61,242 | 60,090 | 58,600 | 52,212 | 50,735 | 52,935 |
여객 (명) | 9,958,559 | 7,600,329 | 8,388,401 | 9,358,152 | 9,168,089 | 9,173,288 | 8,782,835 | 7,674,153 | 7,045,806 | 7,071,037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운항(편수) | 58,119 | 59,575 | 61,171 | 62,225 | 66,525 | 71,713 | 77,665 | 78,646 | 87,709 | 99,358 |
여객 (명) | 7,403,262 | 7,202,117 | 6,870,157 | 8,160,546 | 8,749,153 | 9,196,090 | 9,671,381 | 10,378,866 | 12,382,150 | 14,900,815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운항(편수) | 107,363 | 110,924 | 111,276 | 53,150 | 57,694 | 61,733 | 82,185 | |||
여객 (명) | 16,403,541 | 17,064,613 | 16,931,023 | 7,235,652 | 8,859,304 | 10,027,097 | 13,694,710 |
연도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운항(편수) | 46,918 | 44,740 | 45,039 | 54,242 | 51,425 | 47,515 | 46,635 | 39,472 | 35,897 | 37,107 |
여객 (명) | 8,734,364 | 6,642,927 | 7,266,104 | 8,015,414 | 7,662,429 | 7,362,502 | 7,156,217 | 5,720,919 | 4,899,295 | 4,760,969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운항(편수) | 36,860 | 36,732 | 40,819 | 39,164 | 38,555 | 39,304 | 40,459 | 41,423 | 44,121 | 46,276 |
여객 (명) | 4,665,442 | 4,436,856 | 4,551,403 | 5,068,426 | 5,210,378 | 5,162,519 | 5,199,568 | 5,513,232 | 6,423,994 | 7,123,853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운항(편수) | 48,843 | 47,442 | 47,115 | 43,680 | 57,492 | 53,994 | 43,896 | |||
여객 (명) | 7,590,455 | 7,197,734 | 7,340,473 | 6,082,148 | 8,839,162 | 8,865,225 | 7,173,197 |
연도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운항(편수) | 10,496 | 8,129 | 7,884 | 8,810 | 9,817 | 12,575 | 11,965 | 12,740 | 14,838 | 15,828 |
여객 (명) | 1,224,195 | 957,402 | 1,122,297 | 1,342,738 | 1,505,660 | 1,810,786 | 1,626,618 | 1,953,234 | 2,146,511 | 2,310,068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운항(편수) | 21,259 | 22,843 | 20,352 | 23,061 | 27,970 | 32,409 | 37,206 | 37,223 | 43,588 | 53,082 |
여객 (명) | 2,737,820 | 2,765,261 | 2,318,754 | 3,092,120 | 3,538,775 | 4,033,571 | 4,471,813 | 4,865,634 | 5,958,156 | 7,776,962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운항(편수) | 58,520 | 63,482 | 64,161 | 9,470 | 202 | 7,739 | 38,289 | |||
여객 (명) | 8,813,086 | 9,866,879 | 9,590,550 | 1,153,504 | 20,142 | 1,161,872 | 6,521,513 |
순위 | 공항 | 여객(명) | 운항(편수) | 전년 비 승객변화 |
---|---|---|---|---|
1 | 오사카(간사이) | 1,179,812 | 7,968 | 409,887 |
2 | 후쿠오카 | 754,107 | 5,045 | 127,674 |
3 | 타이베이(도원) | 656,012 | 4,541 | 251,181 |
4 | 도쿄(나리타) | 582,141 | 4,046 | 65,214 |
5 | 방콕(수완나품) | 524,905 | 2,712 | 111,058 |
6 | 홍콩(첵랍콕) | 377,635 | 2,517 | 25,268 |
7 | 상하이(푸동) | 369,112 | 2,833 | 33,910 |
8 | 베이징(수도) | 301,342 | 2,462 | 33,266 |
9 | 세부 | 251,859 | 1,540 | 66,740 |
10 | 마닐라 | 247,405 | 1,768 | 12,474 |
11 | 다낭 | 241,226 | 1,505 | 173,837 |
12 | 괌 | 228,219 | 1,613 | 107,647 |
13 | 칭다오 | 195,989 | 1,458 | 2,349 |
14 | 하노이 | 169,859 | 794 | 3,800 |
15 | 호치민 시 | 168,810 | 830 | 46,116 |
16 | 오키나와 | 127,227 | 934 | 63,697 |
17 | 쿠알라룸푸르 | 123,425 | 420 | 27,795 |
18 | 삿포로 | 115,074 | 849 | 86,076 |
19 | 칼리보 | 112,015 | 742 | 3,687 |
20 | 나고야(센토레아) | 93,733 | 728 | 8,854 |
21 | 광저우 | 85,078 | 825 | 32,736 |
22 | 옌지 | 82,031 | 620 | 12,731 |
23 | 센양 | 76,145 | 690 | 4,300 |
24 | 장자제 | 66,240 | 418 | 10,953 |
25 | 시엠립 | 61,951 | 402 | 17,074 |
26 | 시안 | 55,474 | 397 | 4,321 |
27 | 마카오 | 55,287 | 316 | 12,936 |
28 | 클라크 | 51,592 | 411 | 38,488 |
29 | 가오슝 | 49,937 | 367 | 6,379 |
30 | 옌타이 | 42,987 | 454 | 13,063 |
31 | 블라디보스토크 | 41,757 | 454 | 13,637 |
2016년 6월 21일 국토교통부는 영남권 신공항 대신 새로운 활주로를 신설해 김해국제공항을 확장하기로 결정했다. 그리고 이 사업을 김해 신공항으로 명명했다.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