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AI tools
5정거천(五淨居天) 또는 정거천(淨居天)은 성문4과(聲聞四果) 가운데 제3과인 불환과(不還果) 즉 아나함과(阿那含果)를 증득한 수행자가 거주하는 색계의 5가지 청정한 처소를 통칭한다.[1][2][3][4][5][6][7][8]
5정거천(五淨居天, 산스크리트어: Śuddhâvāsa-deva, Śuddhāvāsa) 또는 정거천(淨居天)에서 정거(淨居, 산스크리트어: śuddhāvāsa)는 정(淨, 산스크리트어: śuddha: 청정)과 거(居, 산스크리트어: vāsa: 거주처, 처소)가 합쳐진 낱말로,[9][10][11] 문자 그대로의 뜻은 '청정한 거처(pure abode)'이며,[12] 청정한 업[淨業]을 이룬 성인이 태어나 거주하는 처소[處]를 말한다.[13] 초기불교 이래의 교학에 따르면, 성문4과 가운데 제3과인 불환과(不還果) 즉 아나함과(阿那含果)를 증득한 성인들이 거주하는 처소[處] 또는 하늘[天]이다.[1][2][3][4][5][6][7] 불환과(不還果)는 유신견결(有身見結) · 계금취견결(戒禁取見結) · 의결(疑結) · 욕탐결(欲貪結) · 진에결(瞋恚結)의 5하분결(五下分結)이 끊어지면 증득된다. 즉 욕계의 모든 번뇌, 즉 욕계의 모든 견혹과 수혹을 극복한 상태이다. (참고: 결 (불교))[14][15][16][17][18]
음역하여 수다회천(首陁會天) · 수타발사(首陀跋娑) · 수타수(首陀穗) 또는 슬타바사사(秫陀婆娑私)라고도 한다.[2][19]
의역하여 5나함(五那含) · 5나함천(五那含天) · 5불환천(五不還天) · 5정거(五淨居) · 5정거처(五淨居處) 또는 5정궁지(五淨宮地)라고도 하며, 줄여서 나함천(那含天) · 불환천(不還天) · 정거(淨居) · 정거처(淨居處) · 정궁(淨宮) 또는 정궁지(淨宮地)라고도 한다.[2][4][20][21] '맑은 두레박'이라는 뜻의 조병(澡缾)이라고도 한다.[22][23]
5정거천(五淨居天) 또는 정거천(淨居天)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순정리론》 제21권에 따르면,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4권에서는,
復有諸聖住止不共五淨宮地。謂無煩無熱善現善見。及色究竟由軟中上。上勝上極品。雜熏修第四靜慮故。復有超過淨宮大自在住處。有十地菩薩。由極熏修第十地故得生其中。
다시 여러 성인들이 머무르는[住止] 불공(不供)의 다섯 가지의 깨끗한 궁궐[五淨宮地]이 있다. 즉 무번(無煩)과 무열(無熱)과 선견(善見)과 선현(善現) 및 색구경(色究竟)은 연(軟: 하품) 중(中) 상(上) 상승(上勝) 상극품(上極品)을 섞어서 제4정려(第四靜慮)를 매우 잘 익혀 닦기 때문이다.
다시 깨끗한 궁궐[淨宮]을 지나쳐 대자재주처(大自在住處)가 있어서 10지보살(地菩薩)이 있으니, 마지막의 제10지(第十地)를 익혀 닦았기 때문에 그 곳에 태어나게 되는 것이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제8권에 기술된 3계의 구조,[24][25] 대승불교의 천태종의 논서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에 기술된 3계의 구조,[26] 그리고 초기불교 경전인 《장아함경(長阿含經)》 제20권에 설해진 3계의 구조[39][40]에서의 무번천(無煩天) · 무열천(無熱天) · 선현천(善現天) · 선견천(善見天) · 색구경천(色究竟天)의 5정거천(五淨居天)의 위치는 아래 표와 같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경량부의 색계 17천의 체계에서는 무상천(無想天)이 색계의 제12천으로, 제4선천의 3번째 하늘[天]인 광과천(廣果天)에 포함되는 반면, 상좌부와 대승불교의 색계 18천의 체계에서는 무상천이 광과천 위에 존재하는 별도의 하늘[天]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사항을 염두에 둘 때, 색계 17천의 체계이건 색계 18천의 체계이건 또는 《장아함경》에 나타난 색계 22천의 체계이건 이 모두의 체계에서 공통된 사항은 5정거천이 무상천 위에 존재한다는 것이다. 무상천에 대한 불교 교학에 따르면, 무상천은 외도(外道)나 범부(凡夫)가 무상정을 닦아서 태어나는 곳으로, 외도에서는 무상천을 열반 또는 해탈이라 여기기도 한다.[41][42][43][44][45][46][47]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9권에 따르면,
무번천(無煩天, 산스크리트어: Avrha, 팔리어: Aviha)은 5정거천 가운데 제1천이다. 또한, 색계 17천의 체계에서 제13천이고 제4선천의 8천 가운데 제4천이며, 색계 18천의 체계에서 제14천이고 제4선천의 9천 가운데 제5천이다.[50][51][52]
음역하여 아부하나(阿浮訶那) · 아비려사(阿鞞麗舍) · 아비바(阿毘波) · 아비화(阿卑和) 또는 아화천(阿和天)라고도 한다. 의역하여 무광천(無廣天) · 무광천(無誑天) · 무구천(無求天) · 무대구천(無大求天) · 무번천(無繁天) · 무소촉천(無所觸天) · 무조천(無造天) · 무희망천(無希望天) 또는 불추천(不麤天)이라고도 한다.[51][52][53][54][55][56]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순정리론》 제21권에 따르면,[57][58]
무열천(無熱天, 산스크리트어: Atapa, Anavatapta, 팔리어: Atapa)은 5정거천 가운데 제2천이다. 또한, 색계 17천의 체계에서 제14천이고 제4선천의 8천 가운데 제5천이며, 색계 18천의 체계에서 제15천이고 제4선천의 9천 가운데 제6천이다.[59][60][61]
음역하여 답화천(答和天) · 아답바(阿答波) · 아답화(阿答和) 또는 아타바(阿陀波)라고도 한다. 의역하여 무뇌천(無惱天) · 무소천(無燒天) · 무숙천(無熟天) · 불뇌천(不惱天) · 불소천(不燒天) 또는 불열천(不熱天)이라고도 한다.[53][54][55][56][60]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순정리론》 제21권에 따르면,[62][63]
위의 설명에서 나오는 잡수정려(雜修靜慮)는 잡수정(雜修定)이라고도 하는데,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교학에 따르면 두 찰나의 무루정 중간에 한 찰나의 유루정을 닦는 것을 말한다. 즉, 무루정-유루정-무루정을 닦는 것으로, 능히 5정거천의 과보를 초래하는 선정이다. 잡수정려 또는 잡수정에는 하품(下品) · 중품(中品) · 상품(上品) · 상승품(上勝品) · 상극품(上極品)의 5품이 있다. 하품의 잡수정려는 무루정-유루정-무루정의 세 찰나이며, 중품의 잡수정려는 하품의 잡수정려를 가행으로 삼아 다시 무루정-유루정-무루정의 세 찰나를 닦는 것이다. 상품(上品) · 상승품(上勝品) · 상극품(上極品)도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다섯 품류 또는 유형의 선정 수행에 따라 그것에 상응하여 무번천 · 무열천 · 선현천 · 선견천 · 색구경천의 5정거천 가운데 해당되는 하늘[天]에 태어나게 된다.[63][64][65][66]
선현천(善現天, 산스크리트어: Sudrśa, 팔리어: Sudassa)은 5정거천 가운데 제3천이다. 또한, 색계 17천의 체계에서 제15천이고 제4선천의 8천 가운데 제6천이며, 색계 18천의 체계에서 제16천이고 제4선천의 9천 가운데 제7천이다.[67][68][69][70]
음역하여 수무(須武) · 수제사(修提舍) 또는 수달칭천(須達稱天)이라고도 한다. 의역하여 가사천(假使天) · 묘견천(妙見天) · 무비천(無比天) · 선견천(善見天) · 선관천(善觀天) · 선호견천(善好見天) 또는 쾌견천(快見天)이라고도 한다. 이 의역어들 가운데 묘견천 · 선견천 · 선관천 · 선호견천 · 쾌견천은 5정거천 가운데 제4천의 번역어이기도 하다.[53][54][55][56][68]
선견천(善見天, 산스크리트어: Sudarśana, 팔리어: Sudassana)은 5정거천 가운데 제4천이다. 또한, 색계 17천의 체계에서 제16천이고 제4선천의 8천 가운데 제7천이며, 색계 18천의 체계에서 제17천이고 제4선천의 9천 가운데 제8천이다.[74][75][76]
음역하여 수달리사나(須達梨舍那) · 수제사나(修提舍那) · 수타시(須陀尸) · 수타시니(須陀施尼) 또는 수타시천(須陀尸天)이라고도 한다. 의역하여 대선견천(大善見天) · 묘견천(妙見天) · 선관천(善觀天) · 선현천(善現天) · 선호견천(善好見天) 또는 쾌견천(快見天)이라고도 한다. 이 의역어들 가운데 묘견천 · 선관천 · 선현천 · 선호견천 · 쾌견천은 5정거천 가운데 제3천의 번역어이기도 하다.[53][54][55][56][75]
색구경천(色究竟天, 산스크리트어: Akanistha, Aghanistha, 팔리어: Akanittha)은 5정거천 가운데 제5천이다. 또한, 색계 17천의 체계에서 제17천이고 제4선천의 8천 가운데 제8천이며, 색계 18천의 체계에서 제18천이고 제4선천의 9천 가운데 제9천이다.[79][79][80][81][82][83]
음역하여 아가니사타(阿迦尼師吒) · 아가니사타천(阿迦尼師吒天) · 아가니슬체(阿迦抳瑟搋) · 아가니타(阿迦尼吒) · 아가니타천(阿迦尼吒天) · 아가니타(阿迦膩吒) 또는 아가니타천(阿迦膩吒天)이라고도 한다. 의역하여 무결애천(無結愛天) · 무소천(無小天) · 애구경천(礙究竟天) · 일구경천(一究竟天) · 일선천(一善天) 또는 질애구경천(質閡究竟天)이라고도 한다.[53][54][55][56][80][83]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순정리론》 제21권에 따르면,[84][85]
유(有)는 즉 '윤회하는 존재'를 25유형으로 구분한 25유(二十五有)의 체계에서 5정거천은 1가지 유(有)로 구분되고 있다. 25유의 체계에서 5정거천은 정거아나함유(淨居阿那含有)라고 불리며 21번째 유(有)이다.[31][32]
제관의 《천태사교의》에 따르면, 3계 6도의 25유의 의보(依報) · 정보(正報)의 2보(二報) 전체가 곧 4성제의 고제(苦諦), 즉 '괴로움의 진리'이다.[26][86][87][88]
대승불교 경전인 《북본열반경》 제14권과 대승불교의 천태종의 논서인 《천태사교의》에 따르면, 25유(二十五有)에서의 5정거천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26][27][28]
순서 | 25유 | 3계 | 6도 | 선정 | 처소 |
---|---|---|---|---|---|
1 | 지옥유(地獄有) | 욕계 | 지옥도 | 욕계산지(欲界散地)[89][90] | |
2 | 축생유(畜生有) | 욕계 | 축생도 | 욕계산지(欲界散地) | |
3 | 아귀유(餓鬼有) | 욕계 | 아귀도 | 욕계산지(欲界散地) | |
4 | 아수라유(阿修羅有) | 욕계 | 아수라도 | 욕계산지(欲界散地) | |
5 | 불바제유(弗婆提有) | 욕계 | 인간도 | 욕계산지(欲界散地) |
4주(四洲) 중[109][110][111][112][113][114][115]
|
6 | 구야니유(瞿耶尼有) | 욕계 | 인간도 | 욕계산지(欲界散地) | 4주(四洲) 중 |
7 | 울단월유(鬱單越有) | 욕계 | 인간도 | 욕계산지(欲界散地) | 4주(四洲) 중 |
8 | 염부제유(閻浮提有) | 욕계 | 인간도 | 욕계산지(欲界散地) | 4주(四洲) 중 |
9 | 4천처유(四天處有) | 욕계 | 천상도 | 욕계산지(欲界散地) | |
10 | 33천처유 (三十三天處有) | 욕계 | 천상도 | 욕계산지(欲界散地) |
6욕천(六欲天) 중 |
11 | 염마천유(炎摩天有) | 욕계 | 천상도 | 욕계산지(欲界散地) |
6욕천(六欲天) 중 |
12 | 도솔천유(兜率天有) | 욕계 | 천상도 | 욕계산지(欲界散地) |
6욕천(六欲天) 중 |
13 | 화락천유(化樂天有) | 욕계 | 천상도 | 욕계산지(欲界散地) |
6욕천(六欲天) 중 |
14 | 타화자재천유 (他化自在天有) | 욕계 | 천상도 | 욕계산지(欲界散地) |
6욕천(六欲天) 중 |
15 | 초선유(初禪有) | 색계 | 천상도 | 4선(四禪) 즉 4정려(四靜慮) 중 [168][169][170][171] |
초선3천(初禪三天) 중[172][173][174][175]
|
16 | 대범천유(大梵天有) | 색계 | 천상도 | 4선(四禪) 즉 4정려(四靜慮) 중 |
초선3천(初禪三天) 중
|
17 | 2선유(二禪有) | 색계 | 천상도 | 4선(四禪) 즉 4정려(四靜慮) 중 |
2선3천(二禪三天) |
18 | 3선유(三禪有) | 색계 | 천상도 | 4선(四禪) 즉 4정려(四靜慮) 중 |
3선3천(三禪三天)
|
19 | 4선유(四禪有) | 색계 | 천상도 | 4선(四禪) 즉 4정려(四靜慮) 중 |
4선9천(四禪九天) 중
|
20 | 무상유(無想有) | 색계 | 천상도 | 4선(四禪) 즉 4정려(四靜慮) 중 4선(四禪) 즉 제4정려(第四靜慮)에 속한
|
4선9천(四禪九天) 중
|
21 | 정거아나함유 (淨居阿那含有) | 색계 | 천상도 | 4선(四禪) 즉 4정려(四靜慮) 중 4선(四禪) 즉 제4정려(第四靜慮)에 속한
|
|
22 | 공처유(空處有) | 무색계 | 천상도 | 4무색정(四無色定) 중[176][177][178]
|
|
23 | 식처유(識處有) | 무색계 | 천상도 | 4무색정(四無色定) 중
|
무색계 4천(無色界四天) 중 |
24 | 불용처유(不用處有) | 무색계 | 천상도 | 4무색정(四無色定) 중
|
무색계 4천(無色界四天) 중 |
25 | 비상비비상처유 (非想非非想處有) | 무색계 | 천상도 | 4무색정(四無色定) 중
|
무색계 4천(無色界四天) 중 |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title=, |출판사=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date=
(도움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