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move ads
색계(色界)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1][2][3][4][5][6]
rūpa-dhātu의 번역 | |
---|---|
한국어 | 색계 |
영어 | form realm |
산스크리트어 | rūpa-dhātu, rūpā-vacara, rūpa-loka |
팔리어 | rūpa-loka |
중국어 | 色界(T) / 色界(S) (한어 병음: sèjiè) |
일본어 | 色界 / シキカイ (로마자: shikikai) |
티베트어 | gzugs kyi khams |
불교 용어 목록 |
이 문서에서는 첫 번째와 두 번째 경우의 색계에 대해 다룬다. 세 번째 경우는 "색경" 문서에서 다루고 있다.
색계(色界, 산스크리트어: rūpa-dhātu)에서 색(色, 산스크리트어: rūpa)은 물질을 뜻하는데, 불교에서 물질은 변괴성(變壞性)과 대애성(對礙性)을 가진 법, 즉, 변하고 허물어지는 성질[變壞性]과 공간을 점유하고 있을 때 동일 유형의 다른 사물이 그 공간을 점유하는 것을 장애하는 성질[對礙性]을 가진 사물이라고 정의된다. 대애성은 질애성(質礙性)이라고도 한다.[7][8] 따라서 문자 그대로의 뜻으로는 색계는 물질[色]로 이루어진 세계를 뜻한다.
한편, 욕계(欲界)라는 명칭은 식욕(食欲) · 수면욕(睡眠欲) · 음욕(淫欲)의 욕계 3욕(欲界三欲)과 외적 대상인 5경에 대한 탐욕인 5욕(五欲) 등을 비롯한 각종 욕구[欲] 혹은 탐욕[欲]이 지배적인 세계라는 뜻에서 붙여진 명칭이다. 그리고, 색계와 마찬가지로 욕계도 욕계의 물질로 이루어진 소의신을 가지고서 욕계의 기세간에 거주하고 있는 유정들도 통칭하는 개념이다.[9][10][11]
색계(色界)는 욕유(欲有) · 색유(色有) · 무색유(無色有)의 3유(三有) 가운데 '색계의 존재[有]'라는 뜻의 색유(色有)와 동의어이다. 다만 '유(有)'라고 할 때는 '윤회하는 존재' 즉 '아직 완전한 깨달음에 도달하지 못해 이 경지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하여 윤회하면서 배움[學: 특히, 8정도, 계정혜 3학, 6바라밀]을 완성시켜야 하는 경지 또는 상태에 처해 있는 존재'라는 뜻이 강하다.[12][13][14][15]
불교에서 색계는 흔히 3계9지(三界九地)의 관점, 즉 선정(禪定)의 관점, 즉 수행의 관점에서 세분되어 초선(初禪) · 2선(二禪) · 3선(三禪) · 4선(四禪)의 4가지 하늘[天], 즉 4선천(四禪天) 또는 4선(四禪)으로 나뉘어 다루어진다. 또한, 색계를 구성하고 있는 구체적인 세계들 또는 처소[處]인 하늘 즉 천(天)이 몇 개인가의 관점에서 색계 17천(色界十七天) · 색계 18천(色界十八天) · 색계 22천(色界二十二天) 등으로도 불리는데, 색계를 이루고 있는 하늘[天]들의 개수에 대해서는 경전과 논서에 따라 차이가 있다.[16][17][18]
불교의 우주론 또는 세계관에서 3계 또는 3유는 6도(六道) 28천(二十八天) 등으로 나뉘지만, 수행론과 번뇌론에서는 흔히 9지(九地)로 나뉜다. 9지 중 색계 또는 색유에 해당하는 것은 제2지인 이생희락지(離生喜樂地)부터 제5지인 사념청정지(捨念淸淨地)까지의 4가지 지(地)이다.[19][20][21]
이들 4지(四地)의 각각을 순서대로 초선(初禪) · 2선(二禪) · 3선(三禪) · 4선(四禪)이라고도 한다. 또는 초선천(初禪天) · 제2선천(第二禪天) · 제3선천(第三禪天) · 제4선천(第四禪天)이라고도 하며, 혹은 초정려(初靜慮) · 제2정려(第二靜慮) · 제3정려(第三靜慮) · 제4정려(第四靜慮)라고도 한다. 그리고 이들 4가지를 통칭하여 4선(四禪) · 4선천(四禪天) · 4정(四定) · 4정려(四靜慮) · 4정려천(四靜慮天) · 4정려처(四靜慮處) · 4생정려(四生靜慮) 또는 생정려(生靜慮)라고 한다.[22][23][24][25][26][27]
색계가 몇 가지 처소[處] 즉 하늘[天]로 구성되어 있는가에 대해서 경전과 논서들의 의견이 한 가지로 일치하지 않는다.
대체로 말하자면,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경량부에서는 색계에 열일곱 하늘[天]이 있다는 색계 17천(色界十七天)을 설하고 있고, 상좌부와 대승불교에서는 색계에 열여덟 하늘[天]이 있다는 색계 18천(色界十八天)을 설하고 있다. 이 두 견해 간의 차이는 색계의 4선천(四禪天) 가운데 제4선천(第四禪天)에 속한 무상천(無想天)을 제4선천의 제3천인 광과천(廣果天)에 속한 특정한 영역에 부여된 명칭일 뿐이라고 보는가, 혹은, 무상천(無想天)을 광과천(廣果天) 위에 존재하는 별도의 처소[處] 즉 하늘[天]로 보는가에 의한 것이다. 전자의 입장에서는 색계 17천(色界十七天)을 설하고, 후자의 입장에서는 색계 18천(色界十八天)을 설한다.[30][31][32][33][34]
구성하고 있는 하늘[天]의 개수가 많은 것에서 적은 것의 순으로 몇몇 경전과 논서들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35][36][37] 경전과 논서들은 가나다 순으로 나열되어 있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193권,[85] 《아비달마구사론》 제8권,[92][93] 《아비달마순정리론》 제21권,[94][95] 《아비달마장현종론》 제12권,[96][97] 《천태사교의집주》 제3권[90] 등에 기술된 비바사사의 견해에 따르면, 색계는 총 16가지의 처소[處]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을 16천(十六天) 또는 16처(十六處), 즉 열여섯 하늘[十六天] 또는 즉 열여섯 처소[十六處]라고 한다. 그리고 색계의 이러한 구성을 색계 16천(色界十六天) 또는 색계 16처(色界十六處)라고 한다. 한편, 초기불교 경전인 《중아함경》 제9권에서도 색계의 하늘[天]로 열여섯 하늘(十六天)을 열거하고 있다.[98][99]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경량부 등에서는 색계에 흔히 17천이 있다고 말하는데, 위의 논서들에 따르면 16천이 있다는 것이 설일체유부의 정통파인 비바사사의 견해이다. 《구사론》에 따르면, 색계에 17천이 아니라 16천이 있다고 주장하는 이유는 이래 인용문에 나타난 바와 같다.[100][101]
《중아함경》 제9권과 《현종론》 제12권의 색계 16천 그리고, 비교를 위해, 《구사론》 제8권의 색계 17천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아래 목록의 용어와 표현은 모두 해당 경전과 논서에 따른 것이다. 다만, 《중아함경》의 해당 부분에서는 16천을 초정려처 · 제2정려처 · 제3정려처 · 제4정려처로 구분하고 있지 않으며 그냥 쭉 나열하고 있다. 비교의 편의를 위해 편집자가 구분하였다.
중아함경의 색계 16천[102][103] | 현종론의 색계 16천[104][105] | 구사론의 색계 17천[106][107] |
---|---|---|
|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구사론》 제8권 등에 따르면, 색계는 총 17가지의 처소[處]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을 17천(十七天) 즉 열일곱 하늘[十七天]이라고 한다. 그리고 색계의 이러한 구성을 전통적인 용어로 색계 17천(色界十七天)이라고 한다.[108][109]
《아비달마구사론》 제8권에 따른 3계의 구조에서의 색계 17천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아래 목록의 용어와 표현은 모두 현장의 한역 《아비달마구사론》에 따른 것이다. 욕계에 총 20가지의 처소[處]가, 색계에 총 17가지의 처소가, 무색계에 총 4가지의 처소가 있다. 《아비달마구사론》에 따르면, 엄밀히 말하면, 무색계는 상하로 구분된 처소가 없으며 무색계의 4가지 처소는 이숙생에 따른 뛰어남과 열등함의 차이에 따른 구분일 뿐이다.[110][111] 《아비달마순정리론》 제21권에서도 동일하게 설명하고 있다.[77][78]
구사론의 3계[112][113] (5취 · 6욕천 · 색계 17천 · 무색계 4천) |
---|
|
색계 17천(色界十七天)을 설하고 있는 논서들 가운데 몇몇의 목록들은 아래 표와 같다. 비교를 위해, 《천태사교의》에서 설하고 있는 색계 18천(色界十八天)이 표에 포함되어 있다.
구사론의 색계 17천 [120][121] | 금광명최승왕경의 색계 17천 [66][67] | 아비담심론경의 색계 17천 [79] | 창소지론의 색계 17천 [81] | 천태사교의의 색계 18천 [122] |
---|---|---|---|---|
|
대승불교의 천태종의 논서인 제관의 《천태사교의》 등에 따르면, 색계는 총 18가지의 처소[處]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을 18천(十八天) 즉 열여덟 하늘[十八天]이라고 한다. 18생처(十八生處)라고도 한다.[123] 그리고 색계의 이러한 구성을 전통적인 용어로 색계 18천(色界十八天)이라고 한다.[124][125][126][127][128]
《천태사교의》에 따른 3계의 구조에서의 색계 18천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해당 목록의 용어와 표현은 모두 《천태사교의》에 따른 것이다. 욕계에 지옥도(地獄道) · 축생도(畜生道) · 아귀도(餓鬼道) · 아수라도(阿修羅道) · 인도(人道)의 5도와 6욕천이 있으며, 색계에 총 18가지의 하늘[天]이 있으며, 무색계에 총 4가지의 하늘[天]이 있다. 6욕천과 색계 18천과 무색계 4천을 합하여 총 28천(二十八天)이 있으며, 이 28천이 6도 가운데 천도(天道)를 이룬다.[129][130]
천태사교의의 3계[131][132] (6도 · 6욕천 · 색계 18천 · 무색계 4천) |
|
---|---|
색계 18천(色界十八天)을 설하고 있는 논서들 가운데 몇몇의 목록들은 아래 표와 같다. 비교를 위해, 《구사론》에서 설하고 있는 색계 17천(色界十七天)이 표에 포함되어 있다.
천태사교의의 색계 18천 [141] | 집론 · 잡집론의 색계 18천 [142][143][144][145] | 불설입세아비담론의 색계 18천 [146][147] | 구사론의 색계 17천 [148][149] |
---|---|---|---|
대승불교 경전인 《60권 화엄》 제13권과 《80권 화엄》 제21권 등에 따르면, 색계의 하늘에 21가지가 있으며, 이것을 21천(二十一天) 즉 스물하나 하늘[二十一天]이라고 한다. 그리고 색계의 이러한 구성을 색계 21천(色界二十一天)이라고 한다.[150][151]
《60권 화엄》 제13권과 《80권 화엄》 제21권 등에 따른 색계 21천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152][153][154][155] 아래 목록의 용어와 표현은 모두 해당 경전에 따른 것이다. 《장아함경》 제20권의 색계 22천과 비교해 보면,[156][157] 색계 21천의 목록 모두에는 무상천(無想天)이 제외되어 있다.[158]
60권 화엄의 색계 21천[159][160] | 80권 화엄의 색계 21천[161][162] | 대반야경의 색계 21천[163] | 장아함경의 색계 22천[164][165] |
---|---|---|---|
60권 화엄의 색계 21천[166][167] | 불본행집경의 색계 21천[51][168] | 대반야경의 색계 21천[169] | 장아함경의 색계 22천[170][171] |
---|---|---|---|
초기불교 경전인 《장아함경》 제20권과 《기세경(起世經)》[172] 제8권 등에 따르면, 색계의 중생에 22종류가 있으며, 이것을 22천(二十二天) 즉 스물둘 하늘[二十二天]이라고 한다. 그리고 색계의 이러한 구성을 전통적인 용어로 색계 22천(色界二十二天) 또는 색계 22종(色界二十二種)이라고 한다.
《장아함경》과 《기세경》에 따른 3계의 구조에서의 색계 22천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아래 목록의 용어와 표현은 모두 《장아함경》과 《기세경》에 따른 것이다. 욕계의 중생에 총 12종이 있으며, 색계의 중생에 총 22종이 있고, 무색계의 중생에 총 4종이 있어, 총 38종의 중생(三十八種衆生)이 있다.[173][174][175][176]
장아함경의 3계[177][178] (6도 · 7욕천 · 색계 22천 · 무색계 4천) | 기세경의 3계[179][180] (6도 · 7욕천 · 색계 22천 · 무색계 4천) |
---|---|
색계 22천(色界二十二天)을 설하고 있는 경전과 논서들 가운데 몇몇의 목록들은 다음과 같다.
장아함경의 색계 22천[181][182] | 기세경의 색계 22천[183][184] | 대반야경의 색계 22천[41] | 대승의장의 색계 22천[185] |
---|---|---|---|
다음은 《구사론》의 색계 17천, 《천태사교의》의 색계 18천 그리고 《장아함경》의 색계 22천을 중심으로 한, 색계의 하늘들에 대한 용어 표이다. 아래표에서 예를 들어 '사교의: (1)'에서 '(1)'은 《천태사교의》의 색계 18천에서의 해당 하늘의 순서를 나타낸다.
순서 | 구사론 천태사교의 장아함경 | 산스크리트어 [186][187] | 음역어 | 의역어 | 영어 [188] | 개별 출처 |
---|---|---|---|---|---|---|
1 | 구사론: 사교의: 장아함: (1) 범신천(梵身天) | Brahmakāyika | 범중천(梵衆天) | retinue of Brahma | [189] | |
2 | 구사론: (1) 범중천(梵衆天) 사교의: (1) 범중천(梵衆天) 장아함: (3) 범중천(梵衆天) | Brahma-pārisadya Brahma-pāriṣadya Brahmapārṣadya | 범바리사천(梵波梨沙天) | 범신천(梵身天) | heaven of Brahma followers | [190][191][192] |
3 | 구사론: (2) 범보천(梵輔天) 사교의: (2) 범보천(梵輔天) 장아함: (2) 범보천(梵輔天) | Brahma-purohita | 범부루천(梵富樓天) 범부루혜(梵富樓醯) 범선행천(梵先行天) 범전익천(梵前益天) | 정사(淨師) | heaven of Brahma's ministers | [193][194] |
4 | 구사론: (3) 대범천(大梵天) 사교의: (3) 대범천(大梵天) 장아함: (4) 대범천(大梵天) | Mahā-brahman Mahābrahma | 마하범(摩訶梵) 범마삼발(梵摩三鉢) | 대범(大梵) 범동자(梵童子) 범왕(梵王) 범천(梵天) 범천왕(梵天王) 사바세계주(娑婆世界主) 세주천(世主天) | great Brahma heaven | [195][196] |
5 | 구사론: 사교의: 장아함: (5) 광천(光天) | [197] | ||||
6 | 구사론: (4) 소광천(少光天) 사교의: (4) 소광천(少光天) 장아함: (6) 소광천(少光天) | Parīttābha | 바리타(波梨陀) 바율아바(波栗阿婆) 바이답(波利答) | 광요천(光曜天) 소범천(少梵天) 수행천(水行天) | heaven of limited light | [198][199][200] |
7 | 구사론: (5) 무량광천(無量光天) 사교의: (5) 무량광천(無量光天) 장아함: (7) 무량광천(無量光天) | Apramānābhā Apramāṇābha | 아바마나아바 (阿波摩那阿婆) 아발라마나바발리다바 (阿鉢羅摩那婆鉢利多婆) 압바마나 ([疒@盍]波摩那) | 묘광천(妙光天) 무량광음천(無量光音天) 무량수천(無量水天) 수무량천(水無量天) | heaven of limitless light | [201][202] |
8 | 구사론: (6) 극광정천(極光淨天) 사교의: (6) 광음천(光音天) 장아함: (8) 광음천(光音天) | Ābhāsvara | 아바나천(阿波羅天) 아바최라차천(阿波嘬羅遮天) 아바회(阿波會) 아바회리바(阿波會提婆) 아바회천(阿波會天) 아바호수천(阿波互羞天) 아회호수천(阿會互修天) | 광요천(光曜天) 광음천(光陰天) 광정천(光淨天) 극광천(極光天) 무량수천(無量水天) 변승광천(遍勝光天) 수무량천(水無量天) 황욱천(晃昱天) | heaven of ultimate light and purity | [203][204][205][206][207][208] |
9 | 구사론: 사교의: 장아함: (9) 정천(淨天) | Viśuddhi Viśuddha | pure heaven | [209][210] | ||
10 | 구사론: (7) 소정천(少淨天) 사교의: (7) 소정천(少淨天) 장아함: (10) 소정천(少淨天) | Parītta-śubha Pārītta-śubha | 바리다수(波利多首) 바율다수바(波栗多首婆) 바율수하(波栗羞訶) | 약정천(約淨天) | heaven of limited purity | [211][212][213] |
11 | 구사론: (8) 무량정천(無量淨天) 사교의: (8) 무량정천(無量淨天) 장아함: (11) 무량정천(無量淨天) | Apramāna-śubha Apramāṇā-śubha | 아바라마나(阿波羅摩那) 아바마수(阿波摩羞) 아바마수하(阿波摩首訶) | 무량선천(無量善天) 무량정과천(無量淨果天) | heaven of limitless purity | [214][215] |
12 | 구사론: (9) 변정천(遍淨天) 사교의: (9) 변정천(遍淨天) 장아함: (12) 변정천(遍淨天) | Śubha-krtsna Śubha-kṛtsna Samanta-śubha | 마수(摩首) 수바흘율나(首波訖栗那) 수하기나(首訶既那) 수흘(羞訖) | 광선천(廣善天) 무량정천(無量淨天) 변정천(徧淨天) 정난체천(淨難逮天) | heaven of pervasive purity | [216][217][218][219] |
13 | 구사론: 사교의: 장아함: (13) 엄식천(嚴飾天) | |||||
14 | 구사론: (10) 무운천(無雲天) 사교의: (10) 무운천(無雲天) 장아함: (14) 소엄식천(小嚴飾天) | Anabhraka | 아나바가(阿那婆伽) 아나바가(阿那婆迦) 아나바하(阿那婆訶) | 무괘애천(無罣礙天) 무음천(無陰天) 무음행천(無陰行天) | cloudless heaven | [220][221] |
15 | 구사론: (11) 복생천(福生天) 사교의: (11) 복생천(福生天) 장아함: (15) 무량엄식천(無量嚴飾天) | Punya-prasava Puṇyaprasava | 바율추하(波栗推訶) 유가(維呵) | 광묘(廣妙) 득복(得福) 무량광(無量光) 무량밀신(無量密身) 무량엄식(無量嚴飾) 생복(生福) 수복(受福) 용과(用果) | heaven of blessed birth | [222][223][224][225] |
16 | 구사론: (12) 광과천(廣果天) 사교의: (12) 광과천(廣果天) 장아함: (16) 엄식과실천(嚴飾果實天) | Brhat-phala Bṛhatphala | 비의가파라(鞞疑呵破羅) 비이바라(比伊波羅) 유아발(維阿鉢) 유어번(惟于幡) 유어파라(惟于頗羅) | 과실천(果實天) 광천(廣天) 극묘천(極妙天) 대과천(大果天) 밀과천(密果天) 엄식과실천(嚴飾果實天) | heaven of extensive fruition | [226][227][228] |
17 | 구사론: 사교의: (13) 무상천(無想天) 장아함: (17) 무상천(無想天) | Asaṃjñika | 무상계(無想界) 무상유정천(無想有情天) 무상중생천(無想眾生天) 무상처(無想處) 복덕천(福德天) 소광천(少廣天) | nonconceptual heaven | [229][230][231][232] | |
18 | 구사론: (13) 무번천(無煩天) 사교의: (14) 무번천(無煩天) 장아함: (18) 무조천(無造天) | Avrha Avṛha | 아부하나(阿浮訶那) 아비려사(阿鞞麗舍) 아비바(阿毘波) 아비화(阿卑和) | 무광천(無廣天) 무광천(無誑天) 무대구천(無大求天) 무번천(無繁天) 무소촉천(無所觸天) 무희망천(無希望天) | heaven of no affliction | [233][234][235] |
19 | 구사론: (14) 무열천(無熱天) 사교의: (15) 무열천(無熱天) 장아함: (19) 무열천(無熱天) | Atapa | 아답바(阿答波) 아답화(阿答和) 아타바(阿陀波) | 무뇌천(無惱天) 무소천(無燒天) 무숙천(無熟天) 불뇌천(不惱天) 불소천(不燒天) 불열천(不熱天) | heaven of no heat | [236][237][238] |
20 | 구사론: (15) 선현천(善現天) 사교의: (17) 선현천(善現天) 장아함: (20) 선견천(善見天) | Sudrśa Sudṛśa | 수리사(修提舍) 수무(須武) | 선관천(善觀天) 선호견천(善好見天) 묘견천(妙見天) 쾌견천(快見天) 무비천(無比天) 가사천(假使天) | heaven of skillful manifestation | [239][240][241][242] |
21 | 구사론: (16) 선견천(善見天) 사교의: (16) 선견천(善見天) 장아함: (21) 대선견천(大善見天) | Sudarśana | 수달리사나(須達梨舍那) 수리사나(修提舍那) 수타시(須陀尸) 수타시니(須陀施尼) | 대선견천(大善見天) 묘견천(妙見天) 선관천(善觀天) 선호견천(善好見天) 쾌견천(快見天) | heaven of skillful vision | [243][244][245] |
22 | 구사론: (17) 색구경천(色究竟天) 사교의: (18) 색구경천(色究竟天) 장아함: (22) 아가니타천(阿迦尼吒天) | Akanistha Akaniṣṭha | 아가니사타(阿迦尼師吒) 아가니슬체(阿迦抳瑟搋) 아가니타(阿迦尼吒) 아가니타(阿迦膩吒) | 무결애천(無結愛天) 무소천(無小天) 애구경천(礙究竟天) 일구경천(一究竟天) 일선천(一善天) 질애구경천(質閡究竟天) | heaven of the most rarefied form | [246][247][248][249][250] |
|date=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date=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60권 화엄》《구화엄(舊華嚴)》《진경(晉經)》 또는 《진본(晉本)》|date=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date=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date=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date=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date=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80권 화엄》《신화엄(新華嚴)》《당경(唐經)》 또는 《당본(唐本)》|date=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date=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date=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date=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date=
(도움말)|date=
(도움말)|date=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date=
(도움말) - 《60권 화엄》《구화엄(舊華嚴)》《진경(晉經)》 또는 《진본(晉本)》|date=
(도움말)|date=
(도움말)|date=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date=
(도움말)|date=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date=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80권 화엄》《신화엄(新華嚴)》《당경(唐經)》 또는 《당본(唐本)》|date=
(도움말)|date=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date=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date=
(도움말)|date=
(도움말)|date=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