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하학에서 완비 거리 공간(完備距離空間, 영어:complete metric space)은 그 안이나 경계에 "빠진 점"이 없는 거리 공간이다. 완비 거리 공간의 정의는 코시 열(Cauchy列, 영어:Cauchy sequence)이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코시 열은 점들 사이의 거리가 서로 점점 가까워지는 수열이다. 즉, 코시 열에서는 충분한 수의 처음 유한 개의 점들을 제외하면, 남은 점들 사이의 거리가 임의로 작아진다. 완비 거리 공간은 이렇게 "수렴하는 것처럼 보이는" 점렬들이 모두 실제로 수렴하는 점을 갖는 거리 공간이다. 완비 균등 공간의 특수한 경우이다.
완비화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꽃받침, 꽃잎, 암술과 수술을 모두 갖춘 꽃에 대해서는 갖춘꽃 문서를, 환론에서의 연산에 대해서는 완비화 (환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바나흐 고정점 정리에 따르면, 완비 거리 공간 위의 축약 사상은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 모든 축약 사상은 카리스티 사상이므로, 이는 카리스티 고정점 정리의 특수한 경우이다. 하지만 바나흐 고정점 정리는 완비 거리 공간의 정의로 삼을 수 없다.
예
실직선 속의 코시 수열
유리수 전체의 집합 와 실수 전체의 집합 에 절댓값으로 정의되는 일반적인 거리 함수로 정의된 거리 공간 , 가 있을 때, 수열 은 코시 수열이다. , 모두에서 수렴하며, 수렴하는 값은 0이다.
유리수의 거리 공간 는 완비 거리 공간이 아닌데, 이는 그 안에서 무리수인 로 가까워지는 코시 수열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로 정의된 수열 은 코시 수열이다. 에서는 로 수렴하지만, 는 유리수가 아니므로 에서는 수렴하지 않는다. 유리수 공간의 완비화는 실수의 거리 공간 이다.
임의의 집합 및 완비 거리 공간 에 대하여, 가 유계 함수들의 집합이라고 하자. 이 위에 다음과 같은 상한거리 함수를 주자.
그렇다면 는 완비 거리 공간을 이룬다.
증명:
임의의 코시 점렬 이 수렴함을 보이는 것으로 충분하다. 각 에 대하여, 는 위의 코시 점렬이므로 어떤 로 수렴하며, 이 경우 는 유계 함수이다. 가 로 수렴함은 다음과 같이 보일 수 있다. 임의의 양의 실수 에 대하여, 가 코시 점렬이므로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가 존재한다.
위 조건에서 를 취하면
을 얻는다. 즉,
이다.
위상 공간 및 완비 거리 공간 에 대하여, 가 연속유계 함수들의 집합이라고 하자. 이는 상한 거리 함수에 대하여 닫힌집합을 이루며, 따라서 역시 완비 거리 공간을 이룬다.
역사적으로, 코시 점렬의 개념은 수열의 극한과 급수의 개념을 엄밀하게 정의하려는 시도에서 비롯되었다. 1817년에 베르나르트 볼차노는 중간값 정리에 대한 논문[2]에서 코시 점렬의 개념을 사용하였으나,[3]:§6.4.2, 174–176 서유럽에서 멀리 떨어진 프라하에서 살던 볼차노의 업적은 당시 널리 주목받지 못했다. 이후 오귀스탱 루이 코시가 1921년에 유명한 저서 《에콜 폴리테크니크 해석학 교재》(프랑스어:Cours d'Analyse de l’École Royale Polytechnique)[4]에서 급수의 수렴에 대한 조건을 정의하기 위하여 같은 개념을 사용하였다.[3]:§6.3.4, 167
카리스티 고정점 정리는 제임스 카리스티(영어:James V. Caristi)가 1976년 논문에서 제시하였다.[5] 카리스티는 증명에서 초한 귀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선택 공리에 의존한다. 이후 더 약한 조건인 의존적 선택 공리에 의존하는 방법들로 재증명되었다. 로만 만카(폴란드어:Roman Manka)가 1988년 논문에서 어떠한 꼴의 선택 공리도 필요 없는 증명을 제시하였다.[6] 카리스티 고정점 정리를 완비 거리 공간의 정의로 삼을 수 있다는 사실은 카리스티의 지도 교수였던 윌리엄 아서 커크(영어:William Arthur Kirk)가 1976년 논문에서 증명하였다.[7]
칸난 고정점 정리는 라빈드란 칸난(타밀어:ரவிந்திரன் கண்ணன், 영어:Ravindran Kannan)이 1968년 논문에서 증명하였다.[8] 수브라마냠(영어:P. V. Subrahmanyam)[9]과 시오지 나오키(영어:Naoki Shioji), 스즈키 도모나리(영어:Tomonari Suzuki), 다카하시 와타루(영어:Wataru Takahashi)[10]가 칸난 고정점 정리를 완비 거리 공간의 정의로 삼을 수 있음을 독자적으로 증명하였다.
Bolzano, Bernard (1817). “Rein analytischer Beweis des Lehrsatzes, dass zwischen je zwey Werthen, die ein entgegengesetzes Resultat gewähren, wenigstens eine reele Wurzel der Gleichung liege” (독일어). Wilhelm Engelmann.
Lützen, Jesper (2003). 〈The foundation of analysis in the 19th century〉. Hans Niels Jahnke. 《A history of analysis》. History of Mathematics (영어) 24.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London Mathematical Society. 155–212쪽. ISBN978-0-8218-2623-2.
Cauchy, Augustin-Louis (1821). 《Cours d’Analyse de l’Ecole royale polytechnique. 1. Analyse Algébrique》 (프랑스어). L’Imprimerie Royale, Debure frères, Libraires du Roi et de la Bibliothèque du Roi.
Kirk, William Arthur (1976). “Caristi’s fixed point theorem and metric convexity”. 《Colloquium Mathematicum》 (영어) 36: 81–86. doi:10.1186/s13663-015-0464-5. ISSN0010-1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