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계(色界)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
영화에 대해서는
색, 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간략 정보 rūpa-dhātu의 번역, 한국어 ...
닫기
이 문서에서는 첫 번째와 두 번째 경우의 색계에 대해 다룬다. 세 번째 경우는 "색경" 문서에서 다루고 있다.
색계(色界, 산스크리트어: rūpa-dhātu)에서 색(色, 산스크리트어: rūpa)은 물질을 뜻하는데, 불교에서 물질은 변괴성(變壞性)과 대애성(對礙性)을 가진 법, 즉, 변하고 허물어지는 성질[變壞性]과 공간을 점유하고 있을 때 동일 유형의 다른 사물이 그 공간을 점유하는 것을 장애하는 성질[對礙性]을 가진 사물이라고 정의된다. 대애성은 질애성(質礙性)이라고도 한다. 따라서 문자 그대로의 뜻으로는 색계는 물질[色]로 이루어진 세계를 뜻한다.
한편, 욕계(欲界)라는 명칭은 식욕(食欲) · 수면욕(睡眠欲) · 음욕(淫欲)의 욕계 3욕(欲界三欲)과 외적 대상인 5경에 대한 탐욕인 5욕(五欲) 등을 비롯한 각종 욕구[欲] 혹은 탐욕[欲]이 지배적인 세계라는 뜻에서 붙여진 명칭이다. 그리고, 색계와 마찬가지로 욕계도 욕계의 물질로 이루어진 소의신을 가지고서 욕계의 기세간에 거주하고 있는 유정들도 통칭하는 개념이다.
색계(色界)는 욕유(欲有) · 색유(色有) · 무색유(無色有)의 3유(三有) 가운데 '색계의 존재[有]'라는 뜻의 색유(色有)와 동의어이다. 다만 '유(有)'라고 할 때는 '윤회하는 존재' 즉 '아직 완전한 깨달음에 도달하지 못해 이 경지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하여 윤회하면서 배움[學: 특히, 8정도, 계정혜 3학, 6바라밀]을 완성시켜야 하는 경지 또는 상태에 처해 있는 존재'라는 뜻이 강하다.
불교에서 색계는 흔히 3계9지(三界九地)의 관점, 즉 선정(禪定)의 관점, 즉 수행의 관점에서 세분되어 초선(初禪) · 2선(二禪) · 3선(三禪) · 4선(四禪)의 4가지 하늘[天], 즉 4선천(四禪天) 또는 4선(四禪)으로 나뉘어 다루어진다. 또한, 색계를 구성하고 있는 구체적인 세계들 또는 처소[處]인 하늘 즉 천(天)이 몇 개인가의 관점에서 색계 17천(色界十七天) · 색계 18천(色界十八天) · 색계 22천(色界二十二天) 등으로도 불리는데, 색계를 이루고 있는 하늘[天]들의 개수에 대해서는 경전과 논서에 따라 차이가 있다.
불교의 우주론 또는 세계관에서 3계 또는 3유는 6도(六道) 28천(二十八天) 등으로 나뉘지만, 수행론과 번뇌론에서는 흔히 9지(九地)로 나뉜다. 9지 중 색계 또는 색유에 해당하는 것은 제2지인 이생희락지(離生喜樂地)부터 제5지인 사념청정지(捨念淸淨地)까지의 4가지 지(地)이다.
이들 4지(四地)의 각각을 순서대로 초선(初禪) · 2선(二禪) · 3선(三禪) · 4선(四禪)이라고도 한다. 또는 초선천(初禪天) · 제2선천(第二禪天) · 제3선천(第三禪天) · 제4선천(第四禪天)이라고도 하며, 혹은 초정려(初靜慮) · 제2정려(第二靜慮) · 제3정려(第三靜慮) · 제4정려(第四靜慮)라고도 한다. 그리고 이들 4가지를 통칭하여 4선(四禪) · 4선천(四禪天) · 4정(四定) · 4정려(四靜慮) · 4정려천(四靜慮天) · 4정려처(四靜慮處) · 4생정려(四生靜慮) 또는 생정려(生靜慮)라고 한다.
자세한 정보 3계9지(三界九地)와 색계(色界) ...
닫기
개요
색계가 몇 가지 처소[處] 즉 하늘[天]로 구성되어 있는가에 대해서 경전과 논서들의 의견이 한 가지로 일치하지 않는다.
대체로 말하자면,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경량부에서는 색계에 열일곱 하늘[天]이 있다는 색계 17천(色界十七天)을 설하고 있고, 상좌부와 대승불교에서는 색계에 열여덟 하늘[天]이 있다는 색계 18천(色界十八天)을 설하고 있다. 이 두 견해 간의 차이는 색계의 4선천(四禪天) 가운데 제4선천(第四禪天)에 속한 무상천(無想天)을 제4선천의 제3천인 광과천(廣果天)에 속한 특정한 영역에 부여된 명칭일 뿐이라고 보는가, 혹은, 무상천(無想天)을 광과천(廣果天) 위에 존재하는 별도의 처소[處] 즉 하늘[天]로 보는가에 의한 것이다. 전자의 입장에서는 색계 17천(色界十七天)을 설하고, 후자의 입장에서는 색계 18천(色界十八天)을 설한다.
구성하고 있는 하늘[天]의 개수가 많은 것에서 적은 것의 순으로 몇몇 경전과 논서들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경전과 논서들은 가나다 순으로 나열되어 있다.
자세한 정보 색계의 구조, 경전과 논서 ...
색계의 구조 | 경전과 논서 |
색계 22천(色界二十二天) |
- 《기세경(起世經)》 제8권
-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제403권
- 《대승의장(大乘義章)》 제8권
- 《장아함경(長阿含經)》 제20권
|
색계 21천(色界二十一天) |
- 《60화엄(六十華嚴)》 제13권
- 《80화엄(八十華嚴)》 제21권
-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제402권
- 《불본행집경(佛本行集經)》 제9권
|
색계 18천(色界十八天) |
|
색계 17천(色界十七天) |
- 《금광명최승왕경(金光明最勝王經)》 제3권
-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제8권
- 《아비달마순정리론(阿毘達磨順正理論)》 제21권
- 《아비담심론경(阿毘曇心論經)》 제5권
- 《창소지론(彰所知論)》 상권[82]
|
색계 16천(色界十六天) |
|
닫기
색계 16천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193권, 《아비달마구사론》 제8권, 《아비달마순정리론》 제21권, 《아비달마장현종론》 제12권, 《천태사교의집주》 제3권 등에 기술된 비바사사의 견해에 따르면, 색계는 총 16가지의 처소[處]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을 16천(十六天) 또는 16처(十六處), 즉 열여섯 하늘[十六天] 또는 즉 열여섯 처소[十六處]라고 한다. 그리고 색계의 이러한 구성을 색계 16천(色界十六天) 또는 색계 16처(色界十六處)라고 한다. 한편, 초기불교 경전인 《중아함경》 제9권에서도 색계의 하늘[天]로 열여섯 하늘(十六天)을 열거하고 있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경량부 등에서는 색계에 흔히 17천이 있다고 말하는데, 위의 논서들에 따르면 16천이 있다는 것이 설일체유부의 정통파인 비바사사의 견해이다. 《구사론》에 따르면, 색계에 17천이 아니라 16천이 있다고 주장하는 이유는 이래 인용문에 나타난 바와 같다.
迦濕彌羅國諸大論師皆言。色界處但有十六。彼謂。即於梵輔天處有高臺閣。名大梵天。一主所居非有別地。如尊處座四眾圍繞
그런데 가습미라국(迦濕彌羅國)의 여러 위대한 논사들은 모두 색계의 처소에는 단지 열여섯 곳이 있을 뿐이라고 하였다. 즉 그들은 말하기를, "범보천(梵輔天) 처소에 높은 누각이 있어 이를 대범천(大梵天)이라 이름하지만 한 주인이 머무는 곳으로 별도의 장소[地]가 아니니, 마치 세존께서 앉으신 자리를 '4중(四衆)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곳'이라고 하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 《구사론》 제8권. 한문본 & 한글본
《중아함경》 제9권과 《현종론》 제12권의 색계 16천 그리고, 비교를 위해, 《구사론》 제8권의 색계 17천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아래 목록의 용어와 표현은 모두 해당 경전과 논서에 따른 것이다. 다만, 《중아함경》의 해당 부분에서는 16천을 초정려처 · 제2정려처 · 제3정려처 · 제4정려처로 구분하고 있지 않으며 그냥 쭉 나열하고 있다. 비교의 편의를 위해 편집자가 구분하였다.
중아함경의 색계 16천 | 현종론의 색계 16천 | 구사론의 색계 17천 |
- 초정려처(初靜慮處)
- (1) 범신천(梵身天)
- (2) 범부루천(梵富樓天)
- 제2정려처(第二靜慮處)
- (3) 소광천(少光天)
- (4) 무량광천(無量光天)
- (5) 황욱천(晃昱天)
- 제3정려처(第三靜慮處)
- (6) 소정천(少淨天)
- (7) 무량정천(無量淨天)
- (8) 변정천(遍淨天)
- 제4정려처(第四靜慮處)
- (9) 무괘애천(無罣礙天)
- (10) 수복천(受福天)
- (11) 과실천(果實天)
- (12) 무번천(無煩天)
- (13) 무열천(無熱天)
- (14) 선견천(善見天)
- (15) 선현천(善現天)
- (16) 색구경천(色究竟天)
|
- 초정려처(初靜慮處)
- (1) 범중천(梵眾天)
- (2) 범보천(梵輔天)
- 제2정려처(第二靜慮處)
- (3) 소광천(少光天)
- (4) 무량광천(無量光天)
- (5) 극광정천(極光淨天)
- 제3정려처(第三靜慮處)
- (6) 소정천(少淨天)
- (7) 무량정천(無量淨天)
- (8) 변정천(遍淨天)
- 제4정려처(第四靜慮處)
- (9) 무운천(無雲天)
- (10) 복생천(福生天)
- (11) 광과천(廣果天)
- (12) 무번천(無繁天)
- (13) 무열천(無熱天)
- (14) 선현천(善現天)
- (15) 선견천(善見天)
- (16) 색구경천(色究竟天)
|
- 제1정려처(第一靜慮處)
- (1) 범중천(梵衆天)
- (2) 범보천(梵輔天)
- (3) 대범천(大梵天)
- 제2정려처(第二靜慮處)
- (4) 소광천(少光天)
- (5) 무량광천(無量光天)
- (6) 극광정천(極光淨天)
- 제3정려처(第三靜慮處)
- (7) 소정천(少淨天)
- (8) 무량정천(無量淨天)
- (9) 변정천(遍淨天)
- 제4정려처(第四靜慮處)
- (10) 무운천(無雲天)
- (11) 복생천(福生天)
- (12) 광과천(廣果天)
- (13) 무번천(無煩天)
- (14) 무열천(無熱天)
- (15) 선현천(善現天)
- (16) 선견천(善見天)
- (17) 색구경천(色究竟天)
|
색계 17천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구사론》 제8권 등에 따르면, 색계는 총 17가지의 처소[處]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을 17천(十七天) 즉 열일곱 하늘[十七天]이라고 한다. 그리고 색계의 이러한 구성을 전통적인 용어로 색계 17천(色界十七天)이라고 한다.[108][109]
《아비달마구사론》 제8권에 따른 3계의 구조에서의 색계 17천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아래 목록의 용어와 표현은 모두 현장의 한역 《아비달마구사론》에 따른 것이다. 욕계에 총 20가지의 처소[處]가, 색계에 총 17가지의 처소가, 무색계에 총 4가지의 처소가 있다. 《아비달마구사론》에 따르면, 엄밀히 말하면, 무색계는 상하로 구분된 처소가 없으며 무색계의 4가지 처소는 이숙생에 따른 뛰어남과 열등함의 차이에 따른 구분일 뿐이다. 《아비달마순정리론》 제21권에서도 동일하게 설명하고 있다.
구사론의 3계 (5취 · 6욕천 · 색계 17천 · 무색계 4천) |
- 욕계(欲界) - 총 20가지의 처소
- 8대지옥(八大地獄) - 지옥취(地獄趣)의 유정의 처소
- (1) 등활지옥(等活地獄)
- (2) 흑승지옥(黑繩地獄)
- (3) 중합지옥(衆合地獄)
- (4) 호규지옥(號叫地獄)
- (5) 대규지옥(大叫地獄)
- (6) 염열지옥(炎熱地獄)
- (7) 대열지옥(大熱地獄)
- (8) 무간지옥(無間地獄)
- 아귀취(餓鬼趣)의 유정 즉 아귀(餓鬼)의 처소
- (9) 아귀처(餓鬼處)
- 방생취(傍生趣)의 유정 즉 방생(傍生) 즉 축생(畜生)의 처소
- (10) 방생처(傍生處)
- 4대주(四大洲) - 인취(人趣)의 유정 즉 인간[人]의 처소
- (11) 남섬부주(南贍部洲)
- (12) 동승신주(東勝身洲)
- (13) 서우화주(西牛貨洲)
- (14) 북구로주(北俱盧洲)
- 6욕천(六欲天) - 천취(天趣)의 유정 즉 천[天]의 처소
- (15) 4대왕중천(四大王衆天)
- (16) 33천(三十三天)
- (17) 야마천(夜摩天)
- (18) 도사다천(都史多天)
- (19) 낙변화천(樂變化天)
- (20)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 색계(色界) - 총 17가지의 처소 - 천취(天趣)의 유정 즉 천[天]의 처소
- 제1정려처(第一靜慮處) - 3가지 처소
- (1) 범중천(梵衆天)
- (2) 범보천(梵輔天)
- (3) 대범천(大梵天)
- 제2정려처(第二靜慮處) - 3가지 처소
- (4) 소광천(少光天)
- (5) 무량광천(無量光天)
- (6) 극광정천(極光淨天)
- 제3정려처(第三靜慮處) - 3가지 처소
- (7) 소정천(少淨天)
- (8) 무량정천(無量淨天)
- (9) 변정천(遍淨天)
- 제4정려처(第四靜慮處) - 8가지 처소
- (10) 무운천(無雲天)
- (11) 복생천(福生天)
- (12) 광과천(廣果天)
- (13) 무번천(無煩天)
- (14) 무열천(無熱天)
- (15) 선현천(善現天)
- (16) 선견천(善見天)
- (17) 색구경천(色究竟天)
- 무색계(無色界) - 4가지 처소 - 천취(天趣)의 유정 즉 천[天]의 처소
- 처소[處]가 없음: 엄밀히 말하면 무색계에는 처소가 없다. 다만 이숙생의 차별에 따라 4가지가 있을 뿐이다. 즉, 무색계의 4가지 처소는 상하가 있는 것이 아니라 이숙생으로 말미암아 뛰어나고 열등함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 (1) 공무변처(空無邊處)
- (2) 식무변처(識無邊處)
- (3) 무소유처(無所有處)
- (4)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
|
색계 17천(色界十七天)을 설하고 있는 논서들 가운데 몇몇의 목록들은 아래 표와 같다. 비교를 위해, 《천태사교의》에서 설하고 있는 색계 18천(色界十八天)이 표에 포함되어 있다.
색계 18천
대승불교의 천태종의 논서인 제관의 《천태사교의》 등에 따르면, 색계는 총 18가지의 처소[處]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을 18천(十八天) 즉 열여덟 하늘[十八天]이라고 한다. 18생처(十八生處)라고도 한다. 그리고 색계의 이러한 구성을 전통적인 용어로 색계 18천(色界十八天)이라고 한다.[124][125]
《천태사교의》에 따른 3계의 구조에서의 색계 18천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해당 목록의 용어와 표현은 모두 《천태사교의》에 따른 것이다. 욕계에 지옥도(地獄道) · 축생도(畜生道) · 아귀도(餓鬼道) · 아수라도(阿修羅道) · 인도(人道)의 5도와 6욕천이 있으며, 색계에 총 18가지의 하늘[天]이 있으며, 무색계에 총 4가지의 하늘[天]이 있다. 6욕천과 색계 18천과 무색계 4천을 합하여 총 28천(二十八天)이 있으며, 이 28천이 6도 가운데 천도(天道)를 이룬다.
천태사교의의 3계 (6도 · 6욕천 · 색계 18천 · 무색계 4천) |
구사론의 3계 (5취 · 6욕천 · 색계 17천 · 무색계 4천) |
- 욕계(欲界) - 5도(五道)와 6욕천(六欲天)
- 5도(五道)
- (1) 지옥도(地獄道) - 8한8열
- (2) 축생도(畜生道)
- (3) 아귀도(餓鬼道)
- (4) 아수라도(阿修羅道)
- (5) 인도(人道) - 4주(四洲)
- 욕계6천(欲界六天) 또는 6욕천(六欲天) - 천도(天道)
- (6) 4천왕천(四天王天)
- (7) 도리천(忉利天)
- (7) 야마천(夜摩天)
- (9) 도솔천(兜率天)
- (10) 화락천(化樂天)
- (11)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 색계(色界) - 색계18천(色界十八天) - 천도(天道)
- 초선3천(初禪三天)
- (1) 범중천(梵衆天)
- (2) 범보천(梵輔天)
- (3) 대범천(大梵天)
- 2선3천(二禪三天)
- (4) 소광천(少光天)
- (5) 무량광천(無量光天)
- (6) 광음천(光音天)
- 3선3천(三禪三天)
- (7) 소정천(少淨天)
- (8) 무량정천(無量淨天)
- (9) 변정천(遍淨天)
- 4선9천(四禪九天)
- (10) 무운천(無雲天)
- (11) 복생천(福生天)
- (12) 광과천(廣果天)
- (13) 무상천(無想天)
- (14) 무번천(無煩天)
- (15) 무열천(無熱天)
- (16) 선견천(善見天)
- (17) 선현천(善現天)
- (18) 색구경천(色究竟天)
- 무색계(無色界) - 천도(天道)
- 무색계4천(無色界四天)
- (1) 공처천(空處天)
- (2) 식처천(識處天)
- (3) 무소유처천(無所有處天)
- (4) 비비상천(非非想天)
|
- 욕계(欲界) - 총 20가지의 처소
- 4취(四趣) - 14가지 처소
- (8) 8대지옥(八大地獄) - 지옥취(地獄趣)
- (9) 아귀처(餓鬼處) - 아귀취(餓鬼趣)
- (10) 방생처(傍生處) - 방생취(傍生趣)
- (14) 4대주(四大洲) - 인취(人趣)
- 6욕천(六欲天) - 천취(天趣)
- (15) 4대왕중천(四大王衆天)
- (16) 33천(三十三天)
- (17) 야마천(夜摩天)
- (18) 도사다천(都史多天)
- (19) 낙변화천(樂變化天)
- (20)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 색계(色界) - 총 17가지의 처소 - 천취(天趣)
- 제1정려처(第一靜慮處) - 3가지 처소
- (1) 범중천(梵衆天)
- (2) 범보천(梵輔天)
- (3) 대범천(大梵天)
- 제2정려처(第二靜慮處) - 3가지 처소
- (4) 소광천(少光天)
- (5) 무량광천(無量光天)
- (6) 극광정천(極光淨天)
- 제3정려처(第三靜慮處) - 3가지 처소
- (7) 소정천(少淨天)
- (8) 무량정천(無量淨天)
- (9) 변정천(遍淨天)
- 제4정려처(第四靜慮處) - 8가지 처소
- (10) 무운천(無雲天)
- (11) 복생천(福生天)
- (12) 광과천(廣果天)
- (13) 무번천(無煩天)
- (14) 무열천(無熱天)
- (15) 선현천(善現天)
- (16) 선견천(善見天)
- (17) 색구경천(色究竟天)
- 무색계(無色界) - 4가지 처소 - 천취(天趣)
- 처소[處]가 없음
- (1) 공무변처(空無邊處)
- (2) 식무변처(識無邊處)
- (3) 무소유처(無所有處)
- (4)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
|
색계 18천(色界十八天)을 설하고 있는 논서들 가운데 몇몇의 목록들은 아래 표와 같다. 비교를 위해, 《구사론》에서 설하고 있는 색계 17천(色界十七天)이 표에 포함되어 있다.
색계 21천
대승불교 경전인 《60권 화엄》 제13권과 《80권 화엄》 제21권 등에 따르면, 색계의 하늘에 21가지가 있으며, 이것을 21천(二十一天) 즉 스물하나 하늘[二十一天]이라고 한다. 그리고 색계의 이러한 구성을 색계 21천(色界二十一天)이라고 한다.[151]
《60권 화엄》 제13권과 《80권 화엄》 제21권 등에 따른 색계 21천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아래 목록의 용어와 표현은 모두 해당 경전에 따른 것이다. 《장아함경》 제20권의 색계 22천과 비교해 보면, 색계 21천의 목록 모두에는 무상천(無想天)이 제외되어 있다.
색계 22천
초기불교 경전인 《장아함경》 제20권과 《기세경(起世經)》 제8권 등에 따르면, 색계의 중생에 22종류가 있으며, 이것을 22천(二十二天) 즉 스물둘 하늘[二十二天]이라고 한다. 그리고 색계의 이러한 구성을 전통적인 용어로 색계 22천(色界二十二天) 또는 색계 22종(色界二十二種)이라고 한다.
《장아함경》과 《기세경》에 따른 3계의 구조에서의 색계 22천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아래 목록의 용어와 표현은 모두 《장아함경》과 《기세경》에 따른 것이다. 욕계의 중생에 총 12종이 있으며, 색계의 중생에 총 22종이 있고, 무색계의 중생에 총 4종이 있어, 총 38종의 중생(三十八種衆生)이 있다.
색계 22천(色界二十二天)을 설하고 있는 경전과 논서들 가운데 몇몇의 목록들은 다음과 같다.
다음은 《구사론》의 색계 17천, 《천태사교의》의 색계 18천 그리고 《장아함경》의 색계 22천을 중심으로 한, 색계의 하늘들에 대한 용어 표이다. 아래표에서 예를 들어 '사교의: (1)'에서 '(1)'은 《천태사교의》의 색계 18천에서의 해당 하늘의 순서를 나타낸다.
자세한 정보 순서, 구사론천태사교의 장아함경 ...
순서 | 구사론 천태사교의 장아함경 | 산스크리트어
| 음역어 | 의역어 | 영어
| 개별 출처 |
1 | 구사론: 사교의: 장아함: (1) 범신천(梵身天) | Brahmakāyika | | 범중천(梵衆天) | retinue of Brahma | |
2 | 구사론: (1) 범중천(梵衆天) 사교의: (1) 범중천(梵衆天) 장아함: (3) 범중천(梵衆天) | Brahma-pārisadya Brahma-pāriṣadya Brahmapārṣadya | 범바리사천(梵波梨沙天) | 범신천(梵身天) | heaven of Brahma followers | |
3 | 구사론: (2) 범보천(梵輔天) 사교의: (2) 범보천(梵輔天) 장아함: (2) 범보천(梵輔天) | Brahma-purohita | 범부루천(梵富樓天) 범부루혜(梵富樓醯) 범선행천(梵先行天) 범전익천(梵前益天) | 정사(淨師) | heaven of Brahma's ministers | |
4 | 구사론: (3) 대범천(大梵天) 사교의: (3) 대범천(大梵天) 장아함: (4) 대범천(大梵天) | Mahā-brahman Mahābrahma | 마하범(摩訶梵) 범마삼발(梵摩三鉢) | 대범(大梵) 범동자(梵童子) 범왕(梵王) 범천(梵天) 범천왕(梵天王) 사바세계주(娑婆世界主) 세주천(世主天) | great Brahma heaven | |
5 | 구사론: 사교의: 장아함: (5) 광천(光天) | | | | | |
6 | 구사론: (4) 소광천(少光天) 사교의: (4) 소광천(少光天) 장아함: (6) 소광천(少光天) | Parīttābha | 바리타(波梨陀) 바율아바(波栗阿婆) 바이답(波利答) | 광요천(光曜天) 소범천(少梵天) 수행천(水行天) | heaven of limited light | |
7 | 구사론: (5) 무량광천(無量光天) 사교의: (5) 무량광천(無量光天) 장아함: (7) 무량광천(無量光天) | Apramānābhā Apramāṇābha | 아바마나아바 (阿波摩那阿婆) 아발라마나바발리다바 (阿鉢羅摩那婆鉢利多婆) 압바마나 ([疒@盍]波摩那) | 묘광천(妙光天) 무량광음천(無量光音天) 무량수천(無量水天) 수무량천(水無量天) | heaven of limitless light | |
8 | 구사론: (6) 극광정천(極光淨天) 사교의: (6) 광음천(光音天) 장아함: (8) 광음천(光音天) | Ābhāsvara | 아바나천(阿波羅天) 아바최라차천(阿波嘬羅遮天) 아바회(阿波會) 아바회리바(阿波會提婆) 아바회천(阿波會天) 아바호수천(阿波互羞天) 아회호수천(阿會互修天) | 광요천(光曜天) 광음천(光陰天) 광정천(光淨天) 극광천(極光天) 무량수천(無量水天) 변승광천(遍勝光天) 수무량천(水無量天) 황욱천(晃昱天) | heaven of ultimate light and purity | |
9 | 구사론: 사교의: 장아함: (9) 정천(淨天) | Viśuddhi Viśuddha | | | pure heaven | |
10 | 구사론: (7) 소정천(少淨天) 사교의: (7) 소정천(少淨天) 장아함: (10) 소정천(少淨天) | Parītta-śubha Pārītta-śubha | 바리다수(波利多首) 바율다수바(波栗多首婆) 바율수하(波栗羞訶) | 약정천(約淨天) | heaven of limited purity | |
11 | 구사론: (8) 무량정천(無量淨天) 사교의: (8) 무량정천(無量淨天) 장아함: (11) 무량정천(無量淨天) | Apramāna-śubha Apramāṇā-śubha | 아바라마나(阿波羅摩那) 아바마수(阿波摩羞) 아바마수하(阿波摩首訶) | 무량선천(無量善天) 무량정과천(無量淨果天) | heaven of limitless purity | |
12 | 구사론: (9) 변정천(遍淨天) 사교의: (9) 변정천(遍淨天) 장아함: (12) 변정천(遍淨天) | Śubha-krtsna Śubha-kṛtsna Samanta-śubha | 마수(摩首) 수바흘율나(首波訖栗那) 수하기나(首訶既那) 수흘(羞訖) | 광선천(廣善天) 무량정천(無量淨天) 변정천(徧淨天) 정난체천(淨難逮天) | heaven of pervasive purity | |
13 | 구사론: 사교의: 장아함: (13) 엄식천(嚴飾天) | | | | | |
14 | 구사론: (10) 무운천(無雲天) 사교의: (10) 무운천(無雲天) 장아함: (14) 소엄식천(小嚴飾天) | Anabhraka | 아나바가(阿那婆伽) 아나바가(阿那婆迦) 아나바하(阿那婆訶) | 무괘애천(無罣礙天) 무음천(無陰天) 무음행천(無陰行天) | cloudless heaven | |
15 | 구사론: (11) 복생천(福生天) 사교의: (11) 복생천(福生天) 장아함: (15) 무량엄식천(無量嚴飾天) | Punya-prasava Puṇyaprasava | 바율추하(波栗推訶) 유가(維呵) | 광묘(廣妙) 득복(得福) 무량광(無量光) 무량밀신(無量密身) 무량엄식(無量嚴飾) 생복(生福) 수복(受福) 용과(用果) | heaven of blessed birth | |
16 | 구사론: (12) 광과천(廣果天) 사교의: (12) 광과천(廣果天) 장아함: (16) 엄식과실천(嚴飾果實天) | Brhat-phala Bṛhatphala | 비의가파라(鞞疑呵破羅) 비이바라(比伊波羅) 유아발(維阿鉢) 유어번(惟于幡) 유어파라(惟于頗羅) | 과실천(果實天) 광천(廣天) 극묘천(極妙天) 대과천(大果天) 밀과천(密果天) 엄식과실천(嚴飾果實天) | heaven of extensive fruition | |
17 | 구사론: 사교의: (13) 무상천(無想天) 장아함: (17) 무상천(無想天) | Asaṃjñika | | 무상계(無想界) 무상유정천(無想有情天) 무상중생천(無想眾生天) 무상처(無想處) 복덕천(福德天) 소광천(少廣天) | nonconceptual heaven | |
18 | 구사론: (13) 무번천(無煩天) 사교의: (14) 무번천(無煩天) 장아함: (18) 무조천(無造天) | Avrha Avṛha | 아부하나(阿浮訶那) 아비려사(阿鞞麗舍) 아비바(阿毘波) 아비화(阿卑和) | 무광천(無廣天) 무광천(無誑天) 무대구천(無大求天) 무번천(無繁天) 무소촉천(無所觸天) 무희망천(無希望天) | heaven of no affliction | |
19 | 구사론: (14) 무열천(無熱天) 사교의: (15) 무열천(無熱天) 장아함: (19) 무열천(無熱天) | Atapa | 아답바(阿答波) 아답화(阿答和) 아타바(阿陀波) | 무뇌천(無惱天) 무소천(無燒天) 무숙천(無熟天) 불뇌천(不惱天) 불소천(不燒天) 불열천(不熱天) | heaven of no heat | |
20 | 구사론: (15) 선현천(善現天) 사교의: (17) 선현천(善現天) 장아함: (20) 선견천(善見天) | Sudrśa Sudṛśa | 수리사(修提舍) 수무(須武) | 선관천(善觀天) 선호견천(善好見天) 묘견천(妙見天) 쾌견천(快見天) 무비천(無比天) 가사천(假使天) | heaven of skillful manifestation | |
21 | 구사론: (16) 선견천(善見天) 사교의: (16) 선견천(善見天) 장아함: (21) 대선견천(大善見天) | Sudarśana | 수달리사나(須達梨舍那) 수리사나(修提舍那) 수타시(須陀尸) 수타시니(須陀施尼) | 대선견천(大善見天) 묘견천(妙見天) 선관천(善觀天) 선호견천(善好見天) 쾌견천(快見天) | heaven of skillful vision | |
22 | 구사론: (17) 색구경천(色究竟天) 사교의: (18) 색구경천(色究竟天) 장아함: (22) 아가니타천(阿迦尼吒天) | Akanistha Akaniṣṭha | 아가니사타(阿迦尼師吒) 아가니슬체(阿迦抳瑟搋) 아가니타(阿迦尼吒) 아가니타(阿迦膩吒) | 무결애천(無結愛天) 무소천(無小天) 애구경천(礙究竟天) 일구경천(一究竟天) 일선천(一善天) 질애구경천(質閡究竟天) | heaven of the most rarefied form | |
닫기
- 고려대장경연구소. 《고려대장경 전자 불교용어사전》. 고려대장경 지식베이스 / (사)장경도량 고려대장경연구소. 2013년 6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8일에 확인함.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2(16-157), T.1605(31-663).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불타발타라 한역, 이운허 번역 (K.79, T.278). 《대방광불화엄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79(8-1), T.278(9-395).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60권 화엄》《구화엄(舊華嚴)》《진경(晉經)》 또는 《진본(晉本)》
- 불타야사·축불념 한역, 번역자 미상 (K.647, T.1). 《장아함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47(17-815), T.1(1-1).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사나굴다 한역, 번역자 미상 (K.660, T.24). 《기세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60(19-263), T.24(1-310).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사나굴다 한역, 번역자 미상 (K.802, T.190). 《불본행집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802(20-586), T.190(3-655).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승가제바(僧伽提婆) 한역. 《중아함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실차난타 한역, 이운허 번역 (K.80, T.279). 《대방광불화엄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80(8-425), T.279(10-1).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80권 화엄》《신화엄(新華嚴)》《당경(唐經)》 또는 《당본(唐本)》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6(16-228), T.1606(31-694).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2016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의정 한역, 장용서 번역 (K.127, T.665). 《금광명최승왕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127(9-1291), T.665(16-403).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7, T.1563). 《아비달마장현종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7(28-1), T.1563(29-777).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진제 한역, 조환기 번역 (K.962, T.1641). 《불설입세아비담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62(28-555), T.1641(32-158).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영어) DDB.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電子佛教辭典)》. Edited by A. Charles Muller.
- (중국어) 몽윤 집 (P.1629). 《천태사교의집주(天台四教儀集註)》. 영락북장(永樂北藏). P189, No. 1629, CBETA. 2018년 10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9일에 확인함.
- (중국어)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大乘阿毘達磨集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05, CBETA. 2014년 3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10일에 확인함.
-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2015년 3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8일에 확인함.
- (중국어) 법승 론, 우파선다 석, 나련제야사 한역 (T.1551). 《아비담심론경(阿毘曇心論經)》. 대정신수대장경. T28, No. 1551, CBETA.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중국어) 불타발타라 한역 (T.278).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대정신수대장경. T9, No. 278, CBETA.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8일에 확인함. - 《60권 화엄》《구화엄(舊華嚴)》《진경(晉經)》 또는 《진본(晉本)》
- (중국어) 불타야사·축불념 한역 (T.1). 《장아함경(長阿含經)》. 대정신수대장경. T1, No. 1, CBETA. 2012년 6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8일에 확인함.
- (중국어) 사나굴다 한역 (T.24). 《기세경(起世經)》. 대정신수대장경. T1, No. 24, CBETA. 2015년 4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8일에 확인함.
- (중국어) 사나굴다 한역 (T.190). 《불본행집경(佛本行集經)》. 대정신수대장경. T3, No. 190, CBETA.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11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2012년 10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8일에 확인함.
- (중국어) 승가제바(僧伽提婆) 한역 (T.26). 《중아함경(中阿含經)》. 대정신수대장경. T1, No. 26, CBETA.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중국어) 실차난타 한역 (T.279).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대정신수대장경. T10, No. 279, CBETA.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80권 화엄》《신화엄(新華嚴)》《당경(唐經)》 또는 《당본(唐本)》
- (중국어)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大乘阿毘達磨雜集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06, CBETA. 2014년 3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10일에 확인함.
- (중국어) 의정 한역 (T.665). 《금광명최승왕경(金光明最勝王經)》. 대정신수대장경. T16, No. 665, CBETA.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중국어) 제관 록 (T.1931). 《천태사교의(天台四教儀)》. 대정신수대장경. T46, No. 1931, CBETA.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중국어) 중현 조, 현장 한역 (T.1563). 《아비달마장현종론(阿毘達磨藏顯宗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63, CBETA.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9일에 확인함.
- (중국어) 진제 한역 (T.1644). 《불설입세아비담론(佛說立世阿毘曇論)》. 대정신수대장경. T32, No. 1644, CBETA.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9일에 확인함.
- (중국어)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大乘義章)》. 대정신수대장경. T44, No. 1851, CBETA.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창소지론(彰所知論)",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2013년 6월 10일에 확인.
"창소지론(彰所知論):
요약: 원(元)나라의 발합사파(發合思巴:1239∼1280)가 지은 불교서적.
저자: 발합사파
시대: 1272년
몽골어나 티베트어로 된 원본은 전해지지 않는다. 상하 2권, 총 5장으로 구성되며 사라파(沙羅巴)가 한역하였다. 책명은 ‘지금까지 알려지는 모든 법을 널리 밝힌다’는 뜻이다. 후기(後記)에 따르면 저자가 이 책을 지어서 원나라의 황태자에게 주었다고 한다. 일종의 불교개론서적으로 전체적으로 《구사론》의 구성을 따랐다. 5개 장은 기세간품(器世間品)·정세계품(情世界品)·도법품(道法品)·과법품(果法品)·무위법품(無爲法品)이다.
① 기세간품: 수미산과 4대주 등 불교의 세계관을 상세히 다룬 내용이다. ② 정세간품: 지옥과 아귀 등의 육도와 전륜성왕의 기원, 인도에서 불교가 발달한 과정 등을 설명하였다. 티베트와 원의 왕통 족보를 언급하고, 칭기즈칸의 조상이 부처와 관련이 있다는 내용도 나온다. ③ 도법품: 수행의 5단계인 자량도(資糧道)·가행도(加行道)·견도(見道)·수도(修道)·무학도(無學道)를 다루었다. ④ 과법품: 불과의 여러 모습, 사사문과(四沙門果)·십력(十力)·사무소외(四無所畏) 등을 설명한 내용이다. ⑤ 무위법품: 인위(人爲)를 끊은 무위의 경지를 설명하였다.
이 중 제2장에서 부처의 출생지를 더듬어 원나라 왕조와 연결시킨 왕통관(王統觀)은 뒤에 몽골 역사책의 정형이 되었다. 《구사론》의 조직을 따르고는 있으나 《구사론》의 사겁(四劫)과 《대비바사론》의 삼겁을 절충한 듯한 중(中)·성(成)·주(住)·괴(壞)·공(空)·대(大)의 육겁과 같은 독특한 주장도 있어 흥미롭다."
구글 CBETA 검색, "色界十七天". 2013년 6월 8일에 확인.
"色界十七天:
CBETA T17 No. 764《佛說法集名數經》卷1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T17/0764_001.htm
樂變化天。他化自在天。 T17n0764_p0662b03(00)║云何色界十七天所謂梵眾天。
梵輔天。 T17n0764_p0662b04(02)║大梵天。少光天。無量光天。極光淨天少靜天。
CBETA T41 No. 1821《俱舍論記》卷8
www.cbeta.org/result/normal/T41/1821_008.htm
或云勝生。於四洲中生最勝故. T41n1821_p0148c01(02)║ 餘文可知。 此欲界上至
八色究竟天者。 T41n1821_p0148c02(02)║此釋色界十七天。正理二十一釋諸天名 ...
CBETA X08 No. 236《華嚴懸談會玄記》卷14
www.cbeta.org/result/normal/X08/0236_014.htm
... 化萬類生彰表果位墮在佛數言一切世間最高大身者急備錄云色究竟天身量一萬六
千由旬(俱舍頌云色天瑜繕那初四增半半此上倍倍增唯無雲減三謂色界十七天初四天 ...
CBETA T36 No. 1736《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卷53
www.cbeta.org/result/normal/T36/1736_053.htm
謂色界十七天。 T36n1736_p0421c19(03)║初之四天各半瑜繕那。至於第四方二
由旬。 T36n1736_p0421c20(03)║此上增倍倍。謂第五有四。第六有八。七有十六。
CBETA X48 No. 799《百法論顯幽鈔》卷7
www.cbeta.org/result/normal/X48/0799_007.htm
X48n0799_p0271b21 (07)║即下三無色及色界十七天等也。以外道不知有五淨居
天。 X48n0799_p0271b22 (04)║又是聖人所居。外道行生也。即餘處皆是有想之處 ...
구글 CBETA 검색, "色界 十七天". 2013년 6월 8일에 확인.
"色界 十七天:
CBETA X57 No. 980《四教儀註彙補輔宏記》卷4
www.cbeta.org/result/normal/X57/0980_004.htm
X57n0980_p0762c24 (01)║ 第十七天頌曰。此上十七處。名色界于中。
X57n0980_p0763a01 (04)║ 三靜慮各三。第四靜慮八。共十七天也。
X57n0980_p0763a02 ...
CBETA T41 No. 1823《俱舍論頌疏論本》卷28
www.cbeta.org/result/normal/T41/1823_028.htm
二定靜慮。於中生已說者。 T41n1823_p0970a27(03)║於二靜慮中四種靜慮體。
世間品已說。謂世間品。 T41n1823_p0970a28(00)║說色界中有十七天。是生靜慮
也 ...
CBETA T17 No. 764《佛說法集名數經》卷1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T17/0764_001.htm
樂變化天。他化自在天。 T17n0764_p0662b03(00)║云何色界十七天所謂梵眾天。
梵輔天。 T17n0764_p0662b04(02)║大梵天。少光天。無量光天。極光淨天少靜天。
CBETA T41 No. 1823《俱舍論頌疏論本》卷8
www.cbeta.org/result/normal/T41/1823_008.htm
唯聖人居。無異生雜。故名淨居。 T41n1823_p0864a10(00)║於色界中。立十七天。
依經部宗也。 T41n1823_p0864a11(02)║若薩婆多宗。唯立十六天。除大梵天。
CBETA T85 No. 2899《妙法蓮華經馬明菩薩品第三十》卷1
www.cbeta.org/result/normal/T85/2899_001.htm
T85n2899_p1429b28(03)║於此已上名色界天第七天名梵天。
T85n2899_p1429b29(05)║去地 ... T85n2899_p1429c21(00)║第十七天名少淨天
。壽千二十四劫。
CBETA X08 No. 236《華嚴懸談會玄記》卷14
www.cbeta.org/result/normal/X08/0236_014.htm
... 十重報化萬類生彰表果位墮在佛數言一切世間最高大身者急備錄云色究竟天身量
一萬六千由旬(俱舍頌云色天瑜繕那初四增半半此上倍倍增唯無雲減三謂色界十七天 ...
CBETA T49 No. 2036《佛祖歷代通載》卷1
www.cbeta.org/result/normal/T49/2036_001.htm
耽著欲樂所食段食。故如是說. T49n2036_p0488a27(00)║ ○色界一十七天者。四
靜慮攝. T49n2036_p0488a28(04)║ ○初禪三天者。謂梵眾。梵輔。大梵。彼天壽量 ...
CBETA X13 No. 287《楞嚴經疏解蒙鈔》卷9
www.cbeta.org/result/normal/X13/0287_009.htm
X13n0287_p0762c12 (03)║ 則生色界。然此色界。依薩婆多。但十六處。 ... 立十七
天。俱舍即除無想也。頌釋云。 ... 〔瑜伽第四〕色界有十八處。謂梵眾天。梵前益天。
CBETA T52 No. 2116《辯偽錄》卷1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T52/2116_001.htm
每氣為一天。 T52n2116_p0754b16(02)║合二十七天。通此九天為三十六天。 ... 五
元明天。六七曜天。次一十八天為色界。 ... 具勝妙欲名為欲界。形色超絕名為色界。
CBETA T32 No. 1645《彰所知論》卷1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T32/1645_001.htm
T32n1645_p0230b09(00)║耽著欲樂所食段食。故如是說。 T32n1645_p0230b10(
04)║色界一十七天者。四靜慮攝。初禪三天者。 T32n1645_p0230b11(04)║謂梵 ...
CBETA T41 No. 1821《俱舍論記》卷8
www.cbeta.org/result/normal/T41/1821_008.htm
或云勝生。於四洲中生最勝故. T41n1821_p0148c01(02)║ 餘文可知。 此欲界上至
八色究竟天者。 T41n1821_p0148c02(02)║此釋色界十七天。正理二十一釋諸天名 ...
CBETA T36 No. 1736《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卷53
www.cbeta.org/result/normal/T36/1736_053.htm
謂色界十七天。 T36n1736_p0421c19(03)║初之四天各半瑜繕那。至於第四方二
由旬。 T36n1736_p0421c20(03)║此上增倍倍。謂第五有四。第六有八。七有十六。
CBETA X43 No. 737《四分律行事鈔簡正記》卷9
www.cbeta.org/result/normal/X43/0737_009.htm
二無量淨。三遍淨。四禪八天。一無雲。二福生。 (00)║三廣果。四無煩。五無熱。六善
現。七善見。八色究竟。 (01)║已上依經部。色界四禪。共立十七天也。若據多宗。
CBETA X63 No. 1253《初學記》卷1
www.cbeta.org/result/normal/X63/1253_001.htm
X63n1253_p0730b04 (00)║ 已起梵眾梵輔便生色界二禪此位諸漏未盡 ..... 比後欠
二。已前皆不及矣。 X63n1253_p0733a08 (00)║ 已至二十七天呼為無所有處 ...
CBETA T49 No. 2036《佛祖歷代通載》卷21
www.cbeta.org/result/normal/T49/2036_021.htm
合二十七天通此九天為三十六天。 ... T49n2036_p0712c11(03)║ 色界十八。無色有
四。具勝妙欲名為欲界。 T49n2036_p0712c12(03)║ 形色超絕名為色界。根識兩 ...
CBETA X50 No. 819《成唯識論疏抄》卷9
www.cbeta.org/result/normal/X50/0819_009.htm
X50n0819_p0288b23 (03)║即通五蘊亦通十界七心界色界聲法界法界。即除五色
根 ... X50n0819_p0288c13 (00)║色界心既遍緣其色界。亦有緣工巧 ...... 有十七天。
CBETA X57 No. 976《四教儀集解》卷2
www.cbeta.org/result/normal/X57/0976_002.htm
... 準薩婆多宗唯有十六天以梵輔無想無別處故若依經部約於身量立十七天以大梵梵
..... X57n0976_p0563b08 171)║ 次色界中十八天者然此乃是清淨之色不同欲界垢 ...
CBETA T54 No. 2131《翻譯名義集》卷2
www.cbeta.org/result/normal/T54/2131_002.htm
則生色界。 T54n2131_p1075b26(00)║然此色界。依薩婆多。但十六處。俱舍疏云。
... T54n2131_p1075b30(05)║若依經部立十七天。故頌釋云。謂大梵王與梵輔等。
CBETA X28 No. 593《法華經文句輔正記》卷2
www.cbeta.org/result/normal/X28/0593_002.htm
134)║ 次更重明經論所出色界諸天多少不同及釋諸天之相依薩婆多宗列一十六天若
經部宗色界有十七天大梵與梵輔雖同居而其形量壽命不等故別立也依上座部立十八 ...
CBETA X48 No. 799《百法論顯幽鈔》卷7
www.cbeta.org/result/normal/X48/0799_007.htm
X48n0799_p0271b21 (07)║即下三無色及色界十七天等也。以外道不知有五淨居
天。 X48n0799_p0271b22 (04)║又是聖人所居。外道行生也。即餘處皆是有想之處 ..."
구글 CBETA 검색, "色界十八天". 2013년 6월 10일에 확인.
"色界十八天:
CBETA X13 No. 287《楞嚴經疏解蒙鈔》卷9
www.cbeta.org/result/normal/X13/0287_009.htm
二色界十八天)。 (○初色界天合釋)。 (○〔疏云〕二色界者。以此界中依正二報色法
殊勝。 X13n0287_p0762c10 (01)║ 從勝為名也。通名梵世者。梵是淨義。離欲染故
。
CBETA X57 No. 980《四教儀註彙補輔宏記》卷4
www.cbeta.org/result/normal/X57/0980_004.htm
X57n0980_p0762b21 (00)║ △二色界。 X57n0980_p0762b22 (00)║次色界十八
天。分為四禪。初禪三天。 X57n0980_p0762b23 (11)║(梵眾梵輔大梵)二禪三天。
CBETA X15 No. 302《楞嚴經略疏》卷9
www.cbeta.org/result/normal/X15/0302_009.htm
X15n0302_p0330a18 540)║此下名色界十八天也此界無飲食婬愛睡眠三欲但有依
正色相故云色界又以心離欲染名梵世以心離散動名禮天凡生此者必欲心全伏十善 ...
CBETA X11 No. 270《楞嚴經要解》卷17
www.cbeta.org/result/normal/X11/0270_017.htm
X11n0270_p0865b15 (00)║ 門下平章事清河房融筆受. X11n0270_p0865b16 (00
)║ 溫陵開元蓮寺比丘戒環解. X11n0270_p0865b17 (00)║ △二色界十八天。
CBETA T46 No. 1931《天台四教儀》卷1
www.cbeta.org/result/normal/T46/1931_001.htm
T46n1931_p0776b10(04)║色界十八天。無色界四天)初欲界六天者。
T46n1931_p0776b11(13)║一四天王天(居須彌山腹)二忉利天(居須彌山頂。自有三
十三天。
CBETA T25 No. 1507《分別功德論》卷4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T25/1507_004.htm
色界十八天淨居以為最。 T25n1507_p0040c09(02)║九十六部僧釋僧以為最。
T25n1507_p0040c10(09)║九十六種道佛道為上最。拘鄰比丘等五人中為最。以是
言 ...
CBETA X57 No. 972《法界安立圖》卷2
www.cbeta.org/result/normal/X57/0972_002.htm
... 交抱執手笑視婬謂四天王交忉利抱夜摩執手兜率笑化樂熟視他化暫視欲有厚薄也)
亦名五趣雜居地(天人三塗也修羅天趣攝鬼畜遍五趣皆有三欲)二色界十八天雖離欲 ...
CBETA X10 No. 253《圓覺經夾頌集解講義》卷12
www.cbeta.org/result/normal/X10/0253_012.htm
X10n0253_p0376b02 (03)║ 色界十八天。無色界四天。總二十八天也。護國天王等
。 X10n0253_p0376b03 (01)║ 即護世四天王。光明云。護國四鎮。即帝釋天神。
CBETA T53 No. 2122《法苑珠林》卷25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T53/2122_025.htm
色界十八天之中淨居以為其最。 T53n2122_p0468c28(03)║九十六部之中釋僧以為
其最。 T53n2122_p0468c29(08)║九十六道之中佛道以為其最。如五百聲聞弟子 ...
CBETA X59 No. 1107《律宗新學名句》卷3
www.cbeta.org/result/normal/X59/1107_003.htm
X59n1107_p0697c05 (00)║ 色界十八天. X59n1107_p0697c06 (00)║ 初禪三天(
梵眾天梵輔天大梵天) 二禪三天(少光天無量光天光音天) X59n1107_p0697c07 ...
CBETA X61 No. 1162《淨土資糧全集》卷2
www.cbeta.org/result/normal/X61/1162_002.htm
欲界六天。 X61n1162_p0552c22 (04)║ 色界十八天。無色界四天也。初欲界六天者
。一四王天。 X61n1162_p0552c23 (01)║ 居須彌山腹。二忉利天。居須彌山頂。
CBETA X14 No. 295《楞嚴經述旨》卷9
www.cbeta.org/result/normal/X14/0295_009.htm
X14n0295_p0665c15 (00)║ 雖出塵擾。未能絕欲。 X14n0295_p0665c16 (00)║
△色界十八天. X14n0295_p0665c17 (00)║ 初禪三天二禪三天三禪三天 ...
CBETA T54 No. 2128《一切經音義》卷22
www.cbeta.org/result/normal/T54/2128_022.htm
T54n2128_p0443a18(86)║阿迦尼吒天(具云阿迦尼瑟吒言阿迦者色也尼瑟吒究竟
也言其色界十八天中此最終極也又云阿無也迦尼瑟吒小也謂色界十八天中最下一天 ...
CBETA X10 No. 254《圓覺經心鏡》卷6
www.cbeta.org/result/normal/X10/0254_006.htm
色界十八天。 X10n0254_p0431c07 (04)║ 無色界四天。總二十八天也。護國天王等
。即護世四天王。 X10n0254_p0431c08 (01)║ 光明云。護國四鎮。即帝釋天神將。
CBETA X37 No. 675《佛祖三經指南》卷1
www.cbeta.org/result/normal/X37/0675_001.htm
... 上二界思而證阿羅漢十九天色究竟天也以欲界一地為一天合色界十八天為十九也
次為二果斯陀含此云一來以欲界殘思未盡更須一上天上一還人間欲殘思始盡而證三 ...
CBETA T39 No. 1803《佛頂尊勝陀羅尼經教跡義記》卷2
www.cbeta.org/result/normal/T39/1803_002.htm
色界十八天。無色四天。身異想異。 T39n1803_p1029c25(03)║翻此身想差別不同。
如起世俱舍。 T39n1803_p1029c26(07)║修羅趣者有其三別。一天趣形。二鬼形。
CBETA X57 No. 977《四教儀備釋》卷1
www.cbeta.org/result/normal/X57/0977_001.htm
... 卿相四王是外臣如武將(文)又帝釋為地居天主魔王為六欲天主雖主欲界帝釋四
王欲行佛法魔不得制如感通傳。 X57n0977_p0617a02 (00)║次色界十八天分為四
禪。
CBETA X57 No. 976《四教儀集解》卷2
www.cbeta.org/result/normal/X57/0976_002.htm
... 有三十三天已上二天單修上品十善得生其中)三夜摩天四兜天五化樂天六他化自在
天(已上四天空居修上品十善兼坐未到定得生其中)次色界十八天分為四禪初禪三天( ...
CBETA X76 No. 1517《歷朝釋氏資鑑》卷1
www.cbeta.org/result/normal/X76/1517_001.htm
X76n1517_p0138a23 (28)║ 欲界(攝四州四惡并六欲天)色界(攝色界十八天并四禪)
無色界(空處識處〔無有非天〕)。 X76n1517_p0138a24 (00)║ 九次第定(初禪。
CBETA T54 No. 2129《續一切經音義》卷1
www.cbeta.org/result/normal/T54/2129_001.htm
T54n2129_p0938a07(41)║ 阿迦膩吒(梵語也具足應云阿迦尼瑟吒此譯云色究竟也
言其色界十八天中此最終極也又云無小餘天互望亦大亦小此之一天唯大無小故以為 ..."
구글 CBETA 검색, "色界 十八天". 2013년 6월 10일에 확인.
"色界 十八天:
CBETA X57 No. 980《四教儀註彙補輔宏記》卷4
www.cbeta.org/result/normal/X57/0980_004.htm
X57n0980_p0762b21 (00)║ △二色界。 X57n0980_p0762b22 (00)║次色界十八
天。分為四禪。初禪三天。 X57n0980_p0762b23 (11)║(梵眾梵輔大梵)二禪三天。
CBETA X13 No. 287《楞嚴經疏解蒙鈔》卷9
www.cbeta.org/result/normal/X13/0287_009.htm
二色界十八天)。 (○初色界天合釋)。 (○〔疏云〕二色界者。以此界中依正二報色法
殊勝。 X13n0287_p0762c10 (01)║ 從勝為名也。通名梵世者。梵是淨義。離欲染故
。
CBETA X15 No. 303《楞嚴經貫攝》卷9
www.cbeta.org/result/normal/X15/0303_009.htm
X15n0303_p0517c01 (19)║ 此下明色界四禪十八天而此先明初禪第一天也。阿難。
世間一切所修心人。凡迷冥修。 X15n0303_p0517c02 (04)║ 各各自謂真正修心。
CBETA T46 No. 1931《天台四教儀》卷1
www.cbeta.org/result/normal/T46/1931_001.htm
T46n1931_p0776b10(04)║色界十八天。無色界四天)初欲界六天者。
T46n1931_p0776b11(13)║一四天王天(居須彌山腹)二忉利天(居須彌山頂。自有三
十三天。
CBETA X14 No. 289《楞嚴經合轍》卷9
www.cbeta.org/result/normal/X14/0289_009.htm
X14n0289_p0415a10 456)║ 此明色界四禪十八天也溫陵曰前明六天雖出塵擾而未
能絕欲故通名欲界自此已下明十八天雖離欲染尚有色質故通名色界又通名梵世為 ...
CBETA X15 No. 302《楞嚴經略疏》卷9
www.cbeta.org/result/normal/X15/0302_009.htm
X15n0302_p0330a18 540)║此下名色界十八天也此界無飲食婬愛睡眠三欲但有依
正色相故云色界又以心離欲染名梵世以心離散動名禮天凡生此者必欲心全伏十善 ...
CBETA X10 No. 253《圓覺經夾頌集解講義》卷12
www.cbeta.org/result/normal/X10/0253_012.htm
X10n0253_p0376b02 (03)║ 色界十八天。無色界四天。總二十八天也。護國天王等
。 X10n0253_p0376b03 (01)║ 即護世四天王。光明云。護國四鎮。即帝釋天神。
CBETA T52 No. 2110《辯正論》卷8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T52/2110_008.htm
六天之中欲界之內。 T52n2110_p0543a15(04)║雜法普滅無有遺餘。太平道經。佛
說法華大小品經。 T52n2110_p0543a16(01)║周游上下十八天中。在色界之內。
CBETA X16 No. 308《楞嚴經指掌疏》卷9
www.cbeta.org/result/normal/X16/0308_009.htm
雖離塵擾。而未能絕欲。故通名欲界。自此而上。明十八天。 X16n0308_p0282a13 (
01)║ 雖離欲染。尚有色質。故通名色界。又通名梵世。為已離欲染。故亦通號四禪。
CBETA X16 No. 317《楞嚴經正見》卷9
www.cbeta.org/result/normal/X16/0317_009.htm
X16n0317_p0729b23 (06)║ 謂離欲界苦障之麤色。得生梵世勝妙之淨色。
X16n0317_p0729b24 (07)║ 淨色是四禪之果相。十八天之共趣。故名色界。然既
有色質。
CBETA T25 No. 1507《分別功德論》卷4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T25/1507_004.htm
色界十八天淨居以為最。 T25n1507_p0040c09(02)║九十六部僧釋僧以為最。
T25n1507_p0040c10(09)║九十六種道佛道為上最。拘鄰比丘等五人中為最。以是
言 ...
CBETA X12 No. 275《楞嚴經正脈疏》卷9
www.cbeta.org/result/normal/X12/0275_009.htm
明十八天。雖離欲染。 X12n0275_p0435a23 (00)║ 尚有色質故。通名色界。又通名
梵世。 X12n0275_p0435a24 (05)║ 為已離欲染也。通號四禪。為已離散動也。
CBETA X11 No. 270《楞嚴經要解》卷17
www.cbeta.org/result/normal/X11/0270_017.htm
X11n0270_p0865b15 (00)║ 門下平章事清河房融筆受. X11n0270_p0865b16 (00
)║ 溫陵開元蓮寺比丘戒環解. X11n0270_p0865b17 (00)║ △二色界十八天。
CBETA T17 No. 732《佛說罵意經》卷1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T17/0732_001.htm
T17n0732_p0532c27(09)║從二十五天上至二十八天為出關。出是四關,為出要。 ...
泥犁上至第六天為欲界; T17n0732_p0533a08(02)║從七天上至十九天為色界; ...
CBETA X16 No. 316《楞嚴經寶鏡疏》卷9
www.cbeta.org/result/normal/X16/0316_009.htm
X16n0316_p0603c22 (00)║ 此明色界初禪三天也。蓋前來六天。雖出塵擾。
X16n0316_p0603c23 (01)║ 未能絕欲。故通名欲界。自此而上。有十八天。
CBETA X75 No. 1510《釋迦如來行蹟頌》卷1
www.cbeta.org/result/normal/X75/1510_001.htm
X75n1510_p0023a20 (00)║ 四禪十八天已離欲麤散猶未出色籠.
X75n1510_p0023a21 (00)║ 故名為色界. X75n1510_p0023a22 (00)║ 四禪十八
天者。初禪三天。
CBETA X15 No. 300《楞嚴經纂註》卷9
www.cbeta.org/result/normal/X15/0300_009.htm
明十八天。雖離欲染。尚有色質。 X15n0300_p0202c14 (04)║ 故通名色界。又通名
梵世。為已離欲染也。通號四禪。 X15n0300_p0202c15 (03)║ 為已離散動也。
CBETA T53 No. 2122《法苑珠林》卷25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T53/2122_025.htm
色界十八天之中淨居以為其最。 T53n2122_p0468c28(03)║九十六部之中釋僧以為
其最。 T53n2122_p0468c29(08)║九十六道之中佛道以為其最。如五百聲聞弟子 ...
CBETA X12 No. 281《楞嚴經圓通疏》卷9
www.cbeta.org/result/normal/X12/0281_009.htm
自此而下明十八天。 X12n0281_p0914a05 (08)║ 雖離欲染尚有色質故通名色界。
又通名梵世為已離欲染也。 X12n0281_p0914a06 (03)║ 通號四禪為已離散動也。
CBETA X15 No. 299《楞嚴經講錄》卷9
www.cbeta.org/result/normal/X15/0299_009.htm
雖出塵擾。未能絕欲。故通名欲界。 X15n0299_p0116b09 (00)║ 自此而上明十八天
。雖離欲染。尚有色質。 X15n0299_p0116b10 (03)║ 故通名色界。又通名梵世。"
구글 CBETA 검색, "色界 二十一天". 2013년 6월 9일에 확인.
"色界 二十一天:
CBETA T85 No. 2899《妙法蓮華經馬明菩薩品第三十》卷1
www.cbeta.org/result/normal/T85/2899_001.htm
T85n2899_p1429b28(03)║於此已上名色界天第七天名梵天。 ... 小增得生其中。第
二十一天名小密身天。 ... T85n2899_p1430a22(00)║亦是色界究竟天之別名也。
CBETA T17 No. 732《佛說罵意經》卷1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T17/0732_001.htm
... 第六天為欲界; T17n0732_p0533a08(02)║從七天上至十九天為色界; ... 福,斷
內三事。 T17n0732_p0533a29(04)║上十八天上,從二十一天為四處,屬阿那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