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크역 (엑소)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파크역 (Gare Parc)은 몬트리올 빌르레이-생미셸-파크엑스탕시옹 지역구에 있는 통근 열차 역으로, 생제롬선 열차가 정차한다. 이 역에는 캐나다 태평양 철도의 파크 애비뉴역 건물이 있는데 이 역은 1931년부터 83년까지 몬트리올 방면 열차의 종착역으로 쓰였다.
2016년 기준 연간 111만 3천여 명이 이용하는 이 통근 열차 역은 생제롬선에서 가장 승객이 많은 역이기도 하다. 파크역은 1997년 5월 12일에 생제롬선의 종착역인 장 탈롱역으로 개통하였으나 2000년에 오늘날의 파크역으로 이름을 개명하였다. 오늘날 파크역은 평일에 러시 아워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종착역으로 운행한다.
역사
파크역, 또는 전 파크 애비뉴역 건물은 건축가 콜린 드레위트가 건설하였다. 1931년에 당시 시장이였던 카밀리앙 우드가 개통식에 참석하였고 이 역은 생로랑과 베르나르에 있었던 마일엔드역 (Gare Mile-End)을 대체하였다.[1] 이 당시 퀘벡, 오타와, 로랑티드 지역으로 가는 모든 열차는 장 탈롱역에 종착하였고 이 역은 1939년에 캐나다 총리였던 매켄지 킹이 영국 왕 조지 6세와 그의 딸이자 후임 여왕인 엘리자베스 2세가 방문할 때 주요 무대가 되었던 역이기도 하다.[2]
개통 당시, 파크역에는 승강장 두 개와 선로 세 개가 있었는데, 두 승강장은 지하 통로로 이어졌다. 역 승강장에 있던 열차는 본선 서쪽에 위치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여객 철도가 중간에 다른 열차의 통행을 막지 않도록 하였다. 하지만 오늘날의 통근 열차 승강장은 본선에 바로 위치해있으며 기존 승강장은 오늘날 주차장으로 남아있다. 역에는 여행자들의 편의를 위해 이발소와 편의점, 간단한 음식을 파는 식당이 있었으며, 윗층에는 CP 사무실이 위치해있었다.
195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파크 애비뉴역은 몬트리올 여객 열차의 중심지였지만 비제역이 1951년에 문을 닫으면서 60년대에 승객 수가 감소하였고 1977년에 CP가 여객 열차 운행을 VIA 철도에 이관하고 1983년에 종착역을 몬트리올 상트랄역으로 이전하면서 파크 애비뉴역은 운행을 중단하였다.
1983년, 몬트리올시 당국이 지하철 파란색 선 공사를 위해 부지를 매입하였고 역 일부를 파크 지하철역 공사를 위해 시 당국에 소유권을 넘겨주었다.
이 역이 운행을 재개한 시점은 1997년, 주 당국이 생제롬선 통근 열차 운행을 시작하면서 이루어졌고, 2000년에는 이 역 이름이 지하철역 이름과 동일한 파크역으로 변경되었다.
버스 연결편
요약
관점
이 역에서는 몬트리올 교통공사의 버스로 갈아탈 수 있으며, 갈아탈 수 있는 버스 노선은 아래와 같다. 승차 위치는 경유지에 표시되어있다.
노선 | 종점 | 경유지 | 비고 | ||||
---|---|---|---|---|---|---|---|
16 | 그레이엄 | Graham | 데셀 / 애보트 | ↔ | 파크역 | 매일 상시 운행 | |
80 | 아브뉘 뒤파크 | Avenue du Parc | 퀘르브 / 뒤로쉐 | ↔ | 플라스데자르역 | 남쪽 |
매일 상시 운행 양방향 평일 오전 6시부터 오후 9시까지 최대 10분 간격으로 운행 |
92 | 장 탈롱 웨스트 | Jean-Talon Ouest | 데조키 / 클랜래널드 | ↔ | 장 탈롱역 | 매일 상시 운행 | |
93 | 장 탈롱 | Jean-Talon | 파크역 | ↔ | 에버렛 / 피뇌프 | 매일 상시 운행 | |
365 | 아브뉘 뒤파크 | Avenue du Parc | 라샤펠 / 슈발리에 | ↔ | 생탄투안 / 생튀르뱅 | 남쪽
북쪽
|
매일 심야 시간대에 운행 |
372 | 장 탈롱 | Jean Talon | 나뮈르역 | ↔ | 모리스 뒤플레시 / 리비에르데프레리 | 동쪽
|
매일 심야 시간대에 운행 |
480 | 파크 급행 | Express Du Parc | 퀘르브 / 뒤로쉐 | ↔ | 르네 레베크 / 기 | 남쪽
|
평일 러시 아워에만 운행 2019년 8월 26일부터 435번을 대체하여 운행[3] |
각주
인접한 역
같이 보기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