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AI tools
대한민국의 지상파 방송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한국방송공사(韓國放送公社, 영어: Korean Broadcasting System, KBS)는 대한민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사이다. 1927년 경성방송국으로 창립되었고, 1935년에는 조선방송협회를 결성하여 전국에 지역방송국을 설립하였다. 1947년에 서울중앙방송으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같은 해 약칭을 KBS로 정하였다. 1961년에 TV 방송을 송출하기 시작하였고, 1973년에는 공사 창립으로 국영에서 공영으로 전환되었다. 1980년에 동양방송과 동아방송 등 민간방송국을 인수합병하였으며, 컬러TV 송출을 시작하였고 KBS 2TV를 개국하였다. 1983년에 방송된 《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여의도에 위치한 KBS 사옥 | |
한국명 | 한국방송공사 |
---|---|
한자표기 | 韓國放送公社 |
영문표기 | Korean Broadcasting System |
약칭 | KBS, 한국방송 |
형태 | 공영 방송 |
창립일 | 1927년 2월 16일 |
개국일 | 1961년 12월 31일(1TV) 1980년 12월 1일(2TV) 2010년 3월 3일(NEWS D) 1927년 2월 16일(1라디오) 1933년 4월 26일(2라디오) 2003년 10월 20일(해피FM) 1995년 12월 20일(사랑의 소리방송) 2000년 1월 1일(3라디오) 1979년 4월 2일(1FM) 2007년 4월 16일(클래식FM) 1965년 6월 26일(2FM) 2003년 10월 20일(쿨FM) 1972년 8월 15일(사회교육) 2007년 8월 15일(한민족) |
이전 회사 | 일본 조선방송협회 (일본방송협회) → 대한민국 대한방송협회 |
시장 정보 | (방송법에 따라 설립된 공영방송사이므로,비상장 기업,사회적 기업단체) |
자본금 | 3000억원 (방송법 근거) |
매출액 | 2조 500억 원 |
영업 이익 | 800억원 (근거:2021년 공시) |
순이익 | 5조 원 (2021년) |
자산 총액 | 1,800억 원 (2012년 결산 기준) |
주요 주주 | 대한민국 정부 시청자(수신료 운영체계)+KBS 광고판매에 낙찰된 광고주의 일부자본+대한민국 정부의 보조금 |
직원 수 | 약 9000명 ~ 12000명 추산 |
본사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공원로 13 (여의동) |
사장 | 박민 |
슬로건 | 공정과 혁신으로 새로운 KBS |
웹사이트 | 한국방송공사 - 공식 웹사이트 |
KBS는 Korean Broadcasting System의 약칭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공영방송이다. KBS는 1927년 경성방송국(호출 부호 JODK)으로 라디오방송을 송출하기 시작했다. 1935년 기존의 JODK는 경성중앙방송국으로 개칭하고 조선방송협회를 결성, 1936년부터 부산방송국(JBAK)을 시작으로 평양(JBBK), 청진(JBCK), 이리(JBFK), 함흥(JBDK), 대구(JBGK), 광주(JBHK), 대전(JBIK), 원산(JBJK), 해주(JBKK), 신의주(JBLK), 춘천(JBMK), 마산(JBOK), 목포(JBNK), 성진(JBPK), 청주(JBQK), 강릉(JBRK)에 지역방송국 체제를 갖추었다. 북한의 조선중앙방송의 뿌리이기도 하다. 합천군 영상테마파크에 JODK 사옥을 재현해놓은듯한 건물이 있다. 이후 1947년 국영방송 서울중앙방송으로 재출범했다.
1947년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 호출부호 HL가 인정했고 국영 방송인 대한방송협회에 의해 KBS 약칭으로 정해졌다.[1] 1961년 12월 24일에는 시험방송을 실시했고, 1961년 12월 31일 텔레비전 방송을 개국한 뒤, 1962년 1월 15일에 정식 방송하였다. 한국방송공사의 창립 이전에는 명칭[2]으로 사용하였다. 1963년 1월 1일에 수신료와 시청료,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도 개시하였다. 1963년 1월 1일부터 1969년 4월 30일까지 6년동안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했다. 1969년 4월 30일에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마지막 방송을 마쳤고, 1969년 5월 1일에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폐지했고 아침시간에는 교육방송을 했다.
1973년에는 방송국의 운영처가 국영 방송에서 공영 방송으로 바뀜에 따라 지금의 한국방송공사가 창립되었다.[3][4] 1972년에 여의도 현 사옥을 계획, 1976년 준공하였다.[5][6] 1979년 군쿠데타의 발생 당일에는 반란군 측에서 군용 트럭 한 대 규모의 병력을 투입하여 장악에 성공하였으며, 반란군 측에 최초의 점령지가 되었다.
1980년에는 언론통폐합 지침에 따라 동양방송(서울본사 및 부산지국)과 동아방송 등의 민간 방송국을 인수 합병하였고,[7] 12월 1일부터는 텔레비전 컬러 방송의 허가가 내려지면서 컬러 방송을 개시하였다. 1980년 12월 1일에는 언론통폐합으로 인해서 KBS 제2FM은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폐지했다. 1980년 12월 22일에는 KBS 2TV의 채널은 컬러방송을 개시했고, 1981년 2월 2일에 KBS 3TV를 개국했다. 1981년 3월 7일부터 KBS 1TV와 KBS 제1라디오, KBS 제1FM 및 KBS 2TV와 KBS 제2라디오랑 같이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도 처음 개시 및 재개를 하게 되었다.
1982년 1월 25일에는 KBS 2TV의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 형식 및 변경이 되었고, KBS 1TV의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은 KBS 2TV와 다르게 스포츠프로그램 및 실황중계와 영화 등의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줄이다가 4월에 평일오전시간대에 블록광고를 편성하게 되었고 광고시간이 늘어났다. 라디오 채널도 KBS 제1라디오와 KBS 제1FM 및 KBS 제2라디오도 텔레비전채널과 같이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실시를 하게 되었다.
1980년대 초 · 중반에는 농민, 종교단체들의 "KBS 시청료 거부 운동" 확산을 일으켰지만, 1983년에 이산가족을 찾습니다를 138일간 방영하게 되었다. 1985년 음성다중방송을 첫 실시하였다. 이후 한국방송공사는 국내 대회의 주관방송사 역할을 하게 되었는데 1985년 5월 1일 KBS 1TV 채널은 술광고를 폐지했고 오후 시간대는 20:00 ~ 22:30분(2시간 30분)의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줄였다.[8]
1986년에 서울 아시안 게임 및 KBS 1TV의 채널은 1986년 7월에 평일 오후 블록광고(20:30~20:35)를 폐지했다. 1988년에는 릴 테이프 입출력 방식의 대형 컴퓨터, 위성 송출 장비, 텔레텍스트, 크로마키 스튜디오 등이 외국 취재진들을 위해서 완비된 최첨단 올림픽 프레스 센터 건물의 개관과 함께 서울 올림픽을 주관 방송하게 되었다. KBS 1TV의 채널은 1988년 ~ 1989년에는 오전에 뉴스를 시작할 때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방영했다.[9]
1990년에는 KBS 방송강령을 처음 제정하였으며, 한국교육개발원 소속의 채널이 교육방송(이하 EBS)으로 분리되었다. KBS 1TV의 채널은 1990년 3월 2일에 평일 블록광고를 폐지했다. 1990년 KBS 1TV의 채널은 광고를 스포츠, 실황중계, 영화 등의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보냈다.[10] 1990년 ~ 1994년까지 스포츠와 실황중계 및 영화 등의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판매를 했다. 1990년 12월 27일에는 KBS 3TV가 폐국했지만 KBS 3TV가 EBS로 바뀌게 되었다.
1994년 7월 23일에는 KBS 1TV 채널은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폐지 결정을 했다.[11]1994년 9월 30일에 KBS 1TV와 KBS 제1라디오 및 KBS 제1FM은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마지막으로 보냈다. 1994년 10월 1일에는 가을개편에 수신료의 징수 제도를 한국전력공사를 통한 위탁 징수로 개선하였다. 동시에 KBS 1TV와 KBS 제1라디오, KBS 제1FM의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폐지하면서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은 편성하지 않게 되었다.[12]KBS 2TV와 KBS 제2라디오만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이 남게 되었지만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시간 및 확대하였다.[13] KBS는 TV수신료와 광고 수입으로 운영을 하고 있는데 공영성 강화를 위해서 KBS 1TV와 KBS 제1라디오, KBS 제1FM은 1994년 10월 1일부터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이 금지되었고,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하지 않고 있다.[14]
1995년[15]에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개설하여 인터넷 방송을 처음 개시하였고, 1997년에는 제34차 아시아 태평양 방송연맹(ABU) 서울총회를 주관 개최하였다. 제15대 대통령 선거일에서는 개표 방송과 전혀 관련이 없는 드라마, 교양 프로그램 등의 평일 방송에 화면 하단의 자막에서, 주유소 주유기처럼 득표수가 실시간으로 올라가는 '프리즘 젬'이라는 방송 기술을 처음 선보였다.
2000년 1월 1일에는 KBS 3라디오 사랑의 소리방송을 개국하고, 같은해 7월 1일에는 KBS 2라디오 FM방송을 개시하였다. 이듬해 2001년에는 지상파 디지털 TV 본방송을 개시하였다. 21년만에 다시 2001년 12월 10일에 라디오 채널인 KBS 2FM의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개시 및 허용을 하였다. 2002년 1월 1일에 KBS 2FM의 라디오 채널에게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재개를 하였다. 2002년에는 국제대회 주관방송사로서 FIFA 한·일 월드컵 공식방송과 부산 아시안게임 주관방송 실시하였다. 제16대 대통령 선거일에는 첨단 선거 예측 시스템인 '디시전K'를 활용하여 선거일에 일몰 시간도 아닌 이른 초저녁 시간대인 선거 방송의 최초 시작 시점에서 예상 당선자를 발표하였다.
2003년 국제위성방송인 KBS 월드를 개국하고, KBS 윤리강령을 제정하였다. 라디오 부문에서는 2라디오와 2FM의 애칭을 해피FM, 쿨FM으로 명명하였다. 2004년에는 팀제를 시행하고 지역국 체계도 9총국 9지역국으로 조정하였다. 2005년에는 APEC 2005 KOREA 주관 방송을 실시하였으며 KBS 지상파 DMB 채널인 U-KBS를 개국하였다.
2006년에는 MMS(멀티모드서비스)를 시험방송하고 2007년에는 지상파 DMB를 전국으로 확대 방송하였다. 또한 같은해 세계 공영방송 총회를 개최하였으며, 1FM의 애칭을 클래식FM으로 명명하였다. 제17대 대통령 선거는 당선인이 거주하던 집 마당에 당선이 확정된 시점부터 개인 휴대용 중화기를 무장한 현역 군인이 들어와 경계를 서는 모습이 방송되어 유명하였다.
2010년에는 G20 서울 정상회의의 주관 방송을 실시하였으며, 울릉도·독도의 DMB 방송 서비스를 개시하였다. 2011년에는 대구 세계 육상 선수권대회의 주관방송을 맡은 동시에 3D 중계방송을 실시하였으며, 개국 50주년을 맞았다. 이듬해인 2012년에는 여수 엑스포의 주관방송을 실시했다.
2013년에는 KBS 월드 개국 10주년, 공사창립 40주년을 맞이하였다. 2014년에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한을 주관방송하였으며, 같은해 열린 ITU 전권회의도 주관방송하였다. 또한 해외 대상 24시간방송 서비스인 KBS WORLD 24가 출범하였다. 2015년 10월 9일에는 지난 1983년에 방송된 《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2017년에는 한국방송 개시 90주년을 맞았다. 2018년 4월 양승동 사장 취임 이후 정치와 자본 권력으로부터 독립하려는 노력이 이어졌으며, 이 같은 취재제작 자율성 확보 노력은 2019년 11월 KBS 방송 편성규약 개정으로 결실을 보았다.
2021년 7월 19일에는 KBS 다채널 방송이 개국되었다[16]. 9-2 채널은 7월 19일부터 9월 5일까지 올림픽 전용 채널로 활용, 올림픽 끝난 뒤 9월 6일부터 KBS NEWS D로 전환. 9-3 채널은 KBS 1라디오의 보이는 라디오와 독도 실시간 라이브로 활용. 7-2 채널은 9월 30일까지 서비스가 제공되었다. 8월 31일에는 9-2 채널을 24시간 재난전문채널 신설 계획을 발표되었다[17].
1974년 4월 착공하여 1976년 11월 1일 준공된 본관건물은 지하1층, 지상7층 연건평 34,000평의 규모로 준공되었다. TV스튜디오 7개, 라디오스튜디오 19개등 최신 설비를 갖추고 있다. 현재 라디오센터, 시사교양, 외주제작파트의 사무실이 위치하고 있다.
1985년 12월 착공되어 1988년 6월 완공된 신관 건물은, 서울 올림픽의 국제종합방송센터(IBC)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건축 되었다. 서울 올림픽 폐막 이후에는 방송 제작 시설로 활용하고 있다. 지하2층, 지상9층 규모로, 4개의 TV스튜디오, 2천석 규모의 공개홀이 자리잡고 있다. 현재 보도본부를 비롯한, 예능본부, 드라마본부, 시사교양본부, 외주제작파트 등이 사용하고 있다.
1977년 11월 착공된 별관은 1980년 4월 14일 준공되어 동양방송의 본사로 사용하고 있었다. 1980년 언론통폐합 조치로 동양방송의 여의도 사옥을 인수받아 별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1991년 9월 7일 개관한 KBS홀은 1,660석의 규모의 10,890m2면적의 종합 공연장으로 가변식 무대와 오케스트라 피트가 설치되어 있어서 오페라나 발레와 뮤지컬 등의 무대 작품 공연도 열리고 있으며 방송사 주최의 대규모 특집 프로그램, 시상식 등에도 이용되고 있다.
2000년 준공된 수원센터는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작·미술·편의 시설과 오픈세트장, 특수촬영장 및 관련 부대시설로 구성된 종합영상제작단지이므로, KBS 1TV의 경기 및 인천 지역의 보도 업무를 전담하는 지역 방송국인 KBS경인방송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역대 (대수) |
성명 | 임기 | 비고 |
---|---|---|---|
제1·2대 | (故)홍경모 | 1973년 2월 21일 ~ 1979년 2월 22일 | |
제3대 | (故)최세경 | 1979년 2월 22일 ~ 1980년 7월 28일 | |
제4·5대 | 이원홍 | 1980년 7월 28일 ~ 1985년 2월 19일 | |
제6대 | 박현태 | 1985년 2월 19일 ~ 1986년 8월 29일 | |
제7대 | (故)정구호 | 1986년 8월 29일 ~ 1988년 11월 3일 | |
제8대 | (故)서영훈 | 1988년 11월 3일 ~ 1990년 4월 9일(사퇴) | |
제9대 | (故)서기원 | 1990년 4월 9일 ~ 1993년 3월 17일(사퇴) | |
제10·11대 | 홍두표 | 1993년 3월 18일 ~ 1998년 4월 1일(사퇴) | |
제12·13대 | (故)박권상 | 1998년 4월 20일 ~ 2003년 3월 24일(사퇴) | 원로 언론인 |
제14대 | 서동구 | 2003년 3월 25일 ~ 2003년 4월 2일(사퇴) | |
제15·16·17대 | 정연주 | 2003년 4월 25일 ~ 2008년 8월 11일(해임) | 동아일보 기자 |
제18대 | 이병순 | 2008년 8월 27일 ~ 2009년 11월 23일 | 공채 기자 |
제19대 | 김인규 | 2009년 11월 24일 ~ 2012년 11월 23일 | |
제20대 | 길환영 | 2012년 11월 24일 ~ 2014년 6월 10일(해임) | 공채 프로듀서 |
제21대 | 조대현 | 2014년 7월 28일 ~ 2015년 11월 23일 | |
제22대 | 고대영 | 2015년 11월 24일 ~ 2018년 1월 23일(해임) | 공채 기자 |
제23·24대 | 양승동 | 2018년 4월 9일 ~ 2021년 12월 9일 | 공채 프로듀서[20] |
제25대 | 김의철 | 2021년 12월 10일 ~ 2023년 9월 12일(해임) | 공채 기자 |
제26대 | 박민 | 2023년 11월 12일 ~ | 문화일보 기자 |
역대 (대수) |
성명 | 이사장 |
---|---|---|
1기 | 고병익, 김남조, 김동철, 김동환, 김찬국, 박경환, 신세호, 양호민, 이인호, 전응덕, 한운사 | 노정팔 |
2기 | 강찬선, 김갑현, 김동철, 김동환, 김춘수, 박흥수, 송재극, 윤여훈, 이인호, 이혜복, 전응덕, 한남석, 홍기선 | |
3기 | 곽수일, 김규칠, 김우창, 신낙균, 이각범, 전대련, 조요한, 조찬길, 최영도, 최정호, 추광영 | 김태길 |
4기 | 강현두, 박성수, 백정란, 인명진, 임홍빈, 정구현, 정동윤, 한상진 | 김채윤, 이세중 |
5기 | 곽배희, 김금수, 김선우, 김창국, 김철수, 박범신, 송재극, 이상희, 이연택, 전응덕, 황정태 | 지명관 |
6기 | 김상희, 김우철, 김인규, 박범신, 박원순, 백승헌, 윤수경, 이영덕, 이영자, 이형모, 전응덕 | 이종수 |
7기 | 강성철, 권혁부, 김현태, 남인순, 박동영, 박만, 방석호, 신태섭, 이기욱, 이지영, 이춘발, 이춘호, 조상기, 추광영 | 김금수, 유재천 |
8기 | 고영신, 김영호, 남승자, 이상인, 이창근, 이창현, 정윤식, 진홍순, 홍수완, 황근 | 손병두 |
9기 | 김주언, [[양성수, 이규환, 이병혜, 이상인, 임정규, 조준상, 최양수, 최영묵, 한진만 | 이길영, 이인호 |
10기 | 강규형(해임), 권태선, 김경민(사퇴), 김서중, 변석찬, 이원일, 장주영, 전영일, 조우석, 차기환, 조용환, 김상근(도중합류) | 이인호 |
11기 | 전영일, 권태선, 변석찬, 조우석, 이원일, 조용환, 김서중, 차기환, 장주영 | 김상근 |
12기 | 강형철, 김경달, 김영근, 김태일, 문건영, 박옥희, 서재석, 조용환, 천영식, 황우섭 | |
13기 | 강형철, 김경달, 김영근, 김태일, 문건영, 박옥희, 서재석, 황우섭, 서정욱, 류일형 | |
14기 | 이상요, 김찬태, 권순범, 이석래, 윤석년, 이은수, 류일형, 정재권, 김종민, 조숙형 | 남영진 |
15기 | 이상요, 김찬태, 권순범, 이석래, 황근, 이은수, 류일형, 정재권, 김종민(사퇴), 이동욱(도중합류), 조숙형 | 서기석 |
16기 | 류현순, 이상요, 김찬태, 권순범, 이인철, 류일형, 허엽, 정재권, 이건, 황성욱 |
지금의 폰트는 1984년 8월 1일에 전문 디자인 기업인 디자인포커스에서 제작과정하여 1984년 10월 29일부터 사용되었다. 1984년 10월 새로운 폰트와 동시에 원형과 태극문양과 사람의 눈 모양으로 세계와 한국과 전파를 표현하였다.[21] 6개의 선으로 된 로고와 4개의 선으로 된 로고가 있으며, 1985년 11월 4일 통합로고가 추인되었다.
층별 | 지명 |
---|---|
9층 | 창고 |
8층 | 보도본부,아나운서본부 |
7층 | 감사실장, 기획감사부, 콘텐츠제작감사부, 사업/인프라감사부, 대외협력국, 대외협력부, 커뮤니케이션부 |
6층 | 사장, 감사, 부사장, 전략기획실장, 제작2본부장, 기술본부장, 경영본부장, 비서실, 인적자원실장, 인사운영부, 노사협력주간, 노사협력부, 국제협력부, 혁신추진부, 대회의실 |
5층 | 라디오센터장, 라디오편성기획국, 1라디오국, 2FM부, 2라디오부, 1FM부, 남북교류협력단, 남북교류협력부, R국제방송부, 라디오기술국, 라디오기술 총감독1, 경영정보국, 경영정보부, 정보인프라부, 교향악단, 투브 RS-1~17, R주조, 성우실 |
4층 | 콘텐츠아카이브부, 라디오기획부, 라디오편성부, 디지털오디오부, 한민족방송부, 라디오기술 총감독2, 시설관리부, 라디오생방센터(1라디오, 1FM(Classic FM), 한민족방송, 월드 라디오) |
3층 | 전략기획국, 전략기획부, PSM전략부, 예산국, 예산부, 인사기획부, 아나운서실, 아나운서1~2부, 제작기획2부, 콘텐츠프로모션부, TV기술국, TV기술 총감독1~4, 후반제작부, 음향디자인실, TS-6~7, 제작편집실-1~9, 인터뷰룸, 제1회의실 |
2층 | 성평등센터, 성평등부, 시청자센터, 시청자서비스부, 경영관리국, 총무부, TS-1~5, 출연자분장/대기실, 라디오생방센터(2라디오(Happy FM), 2FM(Cool FM), 교통정보센터, 3라디오(사랑의 소리방송)) |
1층 | 안전관리실, 도서관, 의무실, 치과, KBS 시큐리티, 방송차량서비스 |
지하 1층 | 본관식당, 아나운서교육장, 사진스튜디오 |
지하 2층 | 지하주차장 |
연도 | 방송지표 |
---|---|
1986년 | 하나로 세계로 미래로 |
1987년 | 믿는 사회, 밝은 내일, 세계와 함께 |
1990년 | 인간화, 민주화, 세계화-21세기를 준비합니다. |
1991년 | 환경을 지킵시다 |
1992년 | 우리의 선택이 우리를 살린다 |
1993년 | 새로운 출발, 국민의 힘을 모읍시다. |
1994년 | 국민과 함께 세계로/그린정신 - 인간사랑, 자연사랑, 나라사랑 |
1995년 | 광복 50주년 새 반세기의 출발 |
1996년 | 21세기 앞으로 5년 국민과 함께 KBS가 열어갑니다. |
1997년 | KBS 50년, 새로운 반세기 국민과 함께 |
1998년 | 경제위기 극복, 국민과 함께 KBS가 앞장섭니다. |
1999년 | 21세기가 눈앞에 다시 일어서는 한국 |
2000년 | 벽을 넘어서 화합의 시대로 |
2001년 | 디지털 KBS, 희망을 함께 나눔을 함께 |
2002년 | 2002 코리아 하나되어 세계로 미래로 |
2003년 | 새출발 대한민국 화합의 시대로 |
2004년 | 함께 가자 대한민국 |
2005년 | 국민감동 KBS |
2006년 | 아시아의 창 KBS |
2007년 | 한국인의 희망 KBS |
2008년 | 하나되는 대한민국 함께하는 KBS |
2009년 | 공정 공익 KBS |
2010년 | 희망2010 대한민국의 힘 KBS |
2011년 | 시청자와 함께 디지털 KBS |
2012년 | 하나되는 대한민국 글로벌 KBS |
2013년 | 글로벌 KBS, 행복한 대한민국 |
2014년 | 창의와 신뢰로 미래를 여는 KBS |
2015년 | 광복 70년 미래 30년, 대한민국 100년의 드라마 |
2016년 | 청년 대한민국 |
2017년 | 희망 2017 KBS가 함께 합니다. |
2018년 | 희망과 감동 KBS가 함께 합니다. |
2019년 | 함께하는 평화 함께여는 미래 |
2020년 | 2020 새로운 시작, 공정 창의 혁신 KBS |
2021년 | 수신료의 가치를 더욱 높이며 국민의 방송으로 거듭나겠습니다. |
2022년 | 신뢰로 여는 통합의 창 KBS |
2023년 | |
2024년 | 공정과 혁신으로 새로운 KBS |
한국방송공사 본사가 직접 관할하는 송출 시설망만을 다룬다.
송신소 | UHD | HD | 송신소 위치 | 비고 | ||||
---|---|---|---|---|---|---|---|---|
물리채널 | 출력 | 물리채널 | 출력 | |||||
1TV | 2TV | 1TV | 2TV | |||||
관악산 송신소 | CH 52 | CH 56 | 5kW | CH 15 | CH 17 | 2.5kW | 경기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산3-1 | |
남산 중계소 | CH 52 | CH 56 | 5kW | CH 22 | CH 45 | 5kW | 서울 용산구 용산동2가 산1-3 | |
불광 중계소 | CH 52 | CH 56 | 900W | CH 26 | CH 28 | 90W | 경기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산30-1 (매봉) | [22] |
백련 중계소 | CH 52 | CH 56 | 900W | CH 20 | CH 51 | 90W | 서울 은평구 응암1동 산7-250 백련산 | [22] |
장위 중계소 | CH 52 | CH 56 | 900W | CH 38 | CH 47 | 90W | 서울 성북구 장위동 산3-92 | [22] |
송신소 | 채널 | 출력 | 송신소 위치 | 비고 | |
---|---|---|---|---|---|
1TV | 2TV | ||||
남산 송신소 | CH 9 | CH 7 | 50kW | 서울 용산구 용산동2가 산1-3 | |
관악산 중계소 | CH 25 | CH 37 | 30kW / 10kW | 경기 과천시 중앙동 산10 | |
불광 중계소 | CH 49 | CH 52 | 500W | 경기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산30-1 (매봉) | |
백련 중계소 | CH 20 | CH 32 | 500W | 서울 은평구 응암1동 산7-250 백련산 | |
정릉 중계소 | CH 53 | CH 57 | 100W | 서울 성북구 성북동 산10 | |
동소문 중계소 | CH 49 | CH 36 | 10W | 서울 성북구 돈암2동 616-100 한신아파트 106동 | |
장위 중계소 | CH 20 | CH 45 | 500W | 서울 성북구 장위동 산3-92 | |
행당 중계소 | CH 57 | CH 21 | 10W | 서울 성동구 행당2동 328-1 한진아파트 106동 |
KBS 1라디오 | ||||||||
---|---|---|---|---|---|---|---|---|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호출부호 | 송신소 위치 | 비고 | |||
소래 송신소 | AM 711kHz | 500kW | HLKA | 경기 시흥시 미산동 484 | ||||
관악산 송신소 | FM 97.3MHz | 10kW | HLKA-SFM | 경기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산3-1 | ||||
진촌 중계소 | FM 96.3MHz | 100W | - | 인천 옹진군 백령면 북포리 산138-3 | ||||
용문산 중계소 | FM 90.3MHz | 1kW | - | 경기 양평군 옥천면 용천리 산25-1 | ||||
감악산 중계소 | FM 91.5MHz | 50W[23] | - | 경기 파주시 적성면 객현리 산182 | ||||
성남 중계소 | FM 93.5MHz | 20W | - | 경기 성남시 중원구 은행2동 산2-2 검단산 | ||||
용인 중계소 | FM 88.1MHz | 20W | - | 경기 용인시 처인구 역북동 산3-1 | ||||
KBS 2라디오(해피FM) | ||||||||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호출부호 | 송신소 위치 | 비고 | |||
남양 송신소 | AM 603kHz | 250kW(주간) 500kW(야간) | HLSA | 경기 화성시 송산면 고정리 625-2 | ||||
관악산 송신소 | FM 106.1MHz | 10kW | HLSA-SFM | 경기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산3-1 | ||||
KBS 3라디오(사랑의 소리방송) | ||||||||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호출부호 | 송신소 위치 | 비고 | |||
화성 송신소 | AM 1134kHz | 500kW | HLKC | 경기 화성시 마도면 두곡리 113 | ||||
관악산 송신소 | FM 104.9MHz | 2kW | HLKC-SFM | 경기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산3-1 | ||||
KBS 1FM(클래식FM) | ||||||||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호출부호 | 송신소 위치 | 비고 | |||
관악산 송신소 | FM 93.1MHz | 10kW | HLKA-FM | 경기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산3-1 | ||||
KBS 2FM(쿨FM) | ||||||||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호출부호 | 송신소 위치 | 비고 | |||
관악산 송신소 | FM 89.1MHz | 10kW | HLSA-FM | 경기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산3-1 | ||||
백령 중계소 | FM 90.9MHz | 100W | - | 인천 옹진군 백령면 북포리 산138-3 | ||||
성남 중계소 | FM 97.7MHz | 20W | - | 경기 성남시 중원구 은행2동 산2-2 검단산 | ||||
KBS 한민족 제1방송 | ||||||||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호출부호 | 송신소 위치 | 비고 | |||
당진 송신소 | AM 972kHz | 1000kW(주간) 1500kW(야간) | HLCA | 충남 당진시 석문면 삼화리 산100 | ||||
화성 송신소 | SW 6015kHz | 100㎾ | 경기도 화성시 마도면 두곡리 113[24] | |||||
KBS 한민족 제2방송 | ||||||||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호출부호 | 송신소 위치 | 비고 | |||
김제 송신소 | AM 1170kHz | 500kW | HLSR | 전북 김제시 신곡동 338-1 |
KBS 본사 근무 아나운서 | |||
---|---|---|---|
연도 | 기수 | 남성 | 여성 |
1991년 | (18기) | 임수민[25], 태의경[26], 성기영, 정용실[27] | |
1993년 | (19기) | 성세정 | 김성은[28] |
1994년 | (20기) | 이형걸, 최승돈[29] | 변우영[30] |
1995년 | (21기)[31] | 김재원[32], 한상권, 김홍성 | |
(22기)[33] | 김태규[34], 원석현, 유지철 | 백정원[35], 신윤주 | |
1996년 | (23기)[36] | 이창진, 최시중 | |
1997년 | (24기)[37] | 김은성, 윤인구[38], 오태훈, 이재후 | 신성원[39], 윤지영[40], 홍소연 |
1998년 | (25기)[41] | 이재홍 | |
2000년 | (26기)[42] | 배창복, 이규봉, 장웅[43] | 박주아, 최원정[44], 최윤경 |
2001년 | (27기)[45] | 박노원, 김기만[46] | |
2002년 | (28기)[47] | 김희수, 이상협, 이영호 | 김지윤 |
2003년 | (29기)[48] | 이상호 | 김보민, 박사임, 백승주, 이승연 |
2004년 | (30기)[49] | 박태원 | 김진희 |
2005년 | (31기)[50] | 김재홍 | 윤수영, 이선영 |
2007년 | (33기)[51] | 오언종[52] | 박지현, 엄지인, 장수연 |
2008년 | (34기)[53] | 김승휘 | 가애란, 유지원 |
2009년 | (35기)[54] | 김솔희, 이현주 | |
2011년 | (37기)[55] | 오승원 | 이지연, 전주리 |
2012년 | (38기)[56] | 한상헌 | 이슬기, 정지원 |
2013년 | (39기)[57] | 강승화, 조항리 | 이각경, 이승현 |
2015년 | (42기)[58] | 이재성 | 박소현 |
2016년 | (43기)[59] | 강성규, 김종현 | |
2018년 | (45기)[60] | 남현종 | 박지원 |
2019년 | (46기)[61] | 김진웅, 이광엽 | 이윤정 |
2021년 | (47기)[62] | 김진현, 임지웅 | 홍주연 |
2023년 | (50기)[63] | 박철규 | 정은혜, 허유원, 이예원 |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