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 생성 아벨 군 및 에 대하여, 피터슨 공간 은 쌍대 H-군을 이루므로, 계수를 가진 호모토피 군 은 자연스럽게 군의 구조를 가진다. 만약 추가로 라면 이는 아벨 군을 이룬다.[1]:§3
곱공간과 쐐기합
위상 공간 와 가 주어지면, 다음이 성립한다.
특이 호몰로지는 쐐기합과 같은 당김에 대하여 간단하지만, 밂에 대해서는 복잡하다. 반면 호모토피 군은 밂에 대하여 간단하지만 당김에 대하여 복잡하다. 특히, 공간들의 쐐기합의 호모토피 군은 일반적으로 복잡하다. 다만, 기본군의 경우, 쐐기합의 기본군은 군의 자유곱이다. 초구의 쐐기합의 기본군은 힐튼 정리(영어:Hilton’s theorem)에 의하여 주어진다.[3]
보다 일반적으로, 존 밀너는 힐튼 정리를 다음과 같이 힐튼-밀너 정리(영어:Hilton–Milnor theorem)로 일반화하였다.[4] 이에 따르면, 연결 CW 복합체이 주어졌을 때, 그 쐐기합의 현수의 고리 공간
또한, 의 짝수 차수 호모토피 군은 모두 꼬임 성분밖에 없다. (즉, 짝수 차수 유리수 계수 호모토피 군은 0차원이다.) 이는 유리수 호모토피 이론을 사용하여 보일 수 있다.
리 군의 극대 콤팩트 부분군 가 주어졌을 때, 는 로의 변형 수축을 가지며 (이와사와 겐키치 증명), 따라서 서로 호모토피 동치이다. (리 군은 여러 개의 극대 콤팩트 부분군을 가질 수 있지만, 이들은 모두 서로 호모토피 동치이다.) 따라서, 리 군의 호모토피 군의 계산은 콤팩트 리 군의 경우로 귀결된다.
화이트헤드 괄호는 반대칭이며, -쌍선형이며, 야코비 항등식을 만족시킨다.[6] 그러나 화이트헤드 괄호는 일반적으로 교대 연산이 아니므로 (즉, 일 수 있다) 정수환 위의 리 대수를 이루지 않는다. 다만, 꼬임 부분군에 대하여 몫을 취하면 이는 정수환 위의 등급 리 대수를 이룬다. 이때, 의 등급을 로 잡아야 한다.
이 주어졌다고 하자. 구의 밑점의 포함 함수 는 닫힌 상을 가진 포함 함수이므로 공변올뭉치(영어:cofibration)를 이룬다. 즉, 호모토피 확대 성질을 만족시킨다. 따라서, 와 사이의 호모토피를 에서 사이의 호모토피로 유일하게 확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는 서로 다른 밑점에 대한 호모토피 군 사이의 동형
을 정의하며, 이는 의 호모토피류에만 의존한다. 특히, 일 경우, 가 되며, 따라서 는 위에 작용한다.
일 경우, 기본군의 스스로 위의 작용은 켤레 작용 이다. (기본군의 위의 작용은 자명하다.)
기본군의 모든 차수 호모토피 군에 대한 작용이 자명한 점을 가진 공간을 단순 공간(영어:simple space)이라고 한다. 특히, 단순 공간의 기본군은 (켤레 작용이 자명하므로) 아벨 군이어야 한다.
기본군은 자이페르트-판 캄펀 정리를 사용하여 쉽게 계산할 수 있는 반면, 고차 호모토피 군의 계산은 (심지어 초구와 같은 간단한 경우에도) 일반적으로 매우 어렵다.
보다 일반적으로, 비이산 공간에서 임의의 점을 밑점으로 잡자. 비이산 공간을 공역으로 하는 모든 함수는 연속 함수이며, 따라서 비이산 공간을 공역으로 하는, 같은 정의역을 갖는 모든 함수들은 같은 호모토피류에 속한다. 따라서, 비이산 공간의 호모토피 군은 모두 자명군이다.
Hilton, Peter John (1955). “On the homotopy groups of the union of spheres”. 《Journal of the Londo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30 (2): 154–172. doi:10.1112/jlms/s1-30.2.154. ISSN0024-6107. MR0068218.
Uehara, Hiroshi; Massey, William S. (1957). 〈The Jacobi identity for Whitehead products〉. 《Algebraic geometry and topology. A symposium in honor of S. Lefschetz》 (영어). Princeton University Press. 361–377쪽. MR0091473.
Čech, E. (1932). 〈Höherdimensionale Homotopiegruppen〉. 《Verhandlungen des Internationalen Mathematiker-Kongresses: Zürich 1932. Zweiter Band》 (독일어). O. Füssli. 203쪽. JFM58.0646.06.
Hurewicz, Witold (1935). “Beiträge zur Topologie der Deformationen I. Höherdimensionale Homotopiegruppen”. 《Proceedings of the Section of Sciences, Koninklijke Akademie van Wetenschappen te Amsterdam》 (독일어) 38: 112–119. JFM61.0618.01. Zbl0010.37801.
Hurewicz, Witold (1935). “Beiträge zur Topologie der Deformationen II. Homotopie- und Homologiegruppen”. 《Proceedings of the Section of Sciences, Koninklijke Akademie van Wetenschappen te Amsterdam》 (독일어) 38: 521–528. JFM61.0619.01. Zbl0011.37101.
Hurewicz, Witold (1936). “Beiträge zur Topologie der Deformationen III. Klassen und Homologietypen von Abbildungen”. 《Proceedings of the Section of Sciences, Koninklijke Akademie van Wetenschappen te Amsterdam》 (독일어) 39: 117–126. JFM62.0678.02. Zbl0013.22903.
Hurewicz, Witold (1936). “Beiträge zur Topologie der Deformationen IV. Asphärische Räume”. 《Proceedings of the Section of Sciences, Koninklijke Akademie van Wetenschappen te Amsterdam》 (독일어) 39: 215–224. Zbl0013.28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