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기하학과 복소기하학에서 준연접 가군층(準連接加群層, 영어: quasicoherent sheaf of modules, 프랑스어: faisceau de modules quasi-cohérent) 또는 단순히 준연접층은 벡터 다발(국소 자유층)의 핵 · 여핵으로 구성할 수 있는 가군층이다. 이는 연접층의 개념의 일반화이다. 연접 가군층의 범주는 아벨 범주를 이루지만, 이는 단사 대상을 충분히 가지는 범주가 아니므로 그 층 코호몰로지를 정의하기가 복잡하다. 이 대신, 모든 무한 차원일 수 있는 벡터 다발을 포함하는 아벨 범주인 준연접 가군층의 범주는 단사 대상을 충분히 가지는 범주이며, 따라서 층 코호몰로지를 쉽게 정의할 수 있다.
환 달린 공간 위에서,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가군층 를 국소 단면 생성 가군층(局所斷面生成加群層, 영어: sheaf of modules locally generated by sections)이라고 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층의 완전열 이 존재하게 되는 열린 근방 와 기수 가 존재한다.
환 달린 공간 위에서,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가군층 를 준연접 가군층(準連接加群層, 영어: quasicoherent sheaf of modules, 프랑스어: faisceau de modules quasi-cohérent) 또는 단순히 준연접층이라고 한다.[1]:45, (5.1.3)
- 임의의 에 대하여, 층의 완전열 이 존재하게 되는 열린 근방 와 기수 가 존재한다.
국소 단면 생성 가군층/준연접 가군층의 정의에서, 기수 가 자연수이어야 한다는 조건을 추가하면 각각 유한 생성 가군층/유한 표시 가군층의 개념을 얻는다.
아핀 스킴 위의 준연접층
가환환 위의 다음과 같은 두 범주는 서로 동치이다.
- -가군의 범주
- 의 스펙트럼 위의 준연접 가군층의 범주
구체적으로, -가군 에 대응하는 준연접 가군층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가군층 이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여기서
는 로 생성되는 곱셈 모노이드에서의 국소화이며, 그 스펙트럼은 의 열린집합을 정의한다.
반대로, 위의 준연접 가군층 에 대응하는 -가군은 이다.
스킴 의 닫힌 부분 스킴 에 대응하는 아이디얼 층은 준연접 가군층이다. 특히, 전체에 대응하는 영 준연접층 은 (자명하게) 준연접층이며, 공집합 에 대응하는 구조층 역시 준연접층이다. (반면, 국소 뇌터 스킴이 아닌 스킴의 경우 구조층이 연접층이 아닐 수 있다.)
체 의 스펙트럼 위에서는 준층과 층과 준연접층의 개념이 일치하며, 이들은 모두 -벡터 공간으로 주어진다. (이 가운데 연접층은 유한 차원 -벡터 공간이다.)
이산 값매김환 위의 준연접층과 준연접층이 아닌 가군층
이산 값매김환 의 스펙트럼 는 시에르핀스키 공간이며, 이는 두 개의 점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닫힌점은 극대 아이디얼 에 대응하며, 이는 잉여류체 에 해당한다. 닫힌점이 아닌 점은 영 아이디얼 에 대응하며, 이는 분수체 에 해당한다.
시에르핀스키 공간 위에서는 열린집합의 부분 순서 집합이 (크기 3의) 전순서 집합이며, 특히 두 열린집합의 합집합을 취하여 더 큰 열린집합을 만들 수 없다. 따라서, 이 경우 모든 준층이 층을 이룬다.
위의 임의의 가군 (준)층 는 따라서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구성된다.
- . 이는 -가군이다.
- . 이는 -벡터 공간이다.
- 의 제약 사상 . 이는 -선형 변환이다.
즉, 위의 가군층은 위와 같은 로 주어진다.
아핀 스킴 위의 준연접 가군층은 -가군 만으로 주어진다. 이 경우, 의 단면은 (가군에 대응하는 준연접층의 정의에 따라) 이다. 즉, -가군층 가운데 준연접층인 것은 가 -벡터 공간의 동형 사상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