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move ads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불교 용어로서의 3도에는 다음의 것들이 있다.[1][2][3][4][5]
3도(三道, 산스크리트어: triṣu mārgeṣu, mārga-traya, 영어: three holy paths, three paths)는 견도(見道) · 수도(修道) · 무학도(無學道)를 말한다. 3도는 부파불교와 대승불교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수행(修行)의 3단계이다. 즉, 부파불교의 수행자인 성문과 대승불교의 수행자인 보살 모두에게 적용되는 불교 일반의 3단계의 수행계위이다.[1][2][3] 3도를 성(聖)스러운 길, 성인(聖人)의 길 또는 완전한 깨달음[聖]에 이르는 길이라는 뜻에서 성도(聖道)라고도 한다.[11]
견도(見道, 산스크리트어: darśana-mārga)는 수행자가 모든 견혹(見惑)에서 벗어나는 지위이다. 견도위(見道位)라고도 한다.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의 번뇌론과 수행론에 따르면, 모든 견혹은 무루지(無漏智) 즉 무루의 지혜가 최초로 나타나는 순간에, 보다 정확히 말하면, 가장 길게 잡아도 16심(十六心) 즉 8인8지(八忍八智)의 16찰나(十六剎那) 동안에 마치 해머로 바위를 산산이 깨뜨리듯이 한꺼번에 끊어진다.[12][13][14][15]
견도(見道)는 부파불교의 수행계위인 성문의 4향4과에서는 수다원향(須陀洹向) 즉 예류향(預流向)에 해당하고,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5위(五位)의 수행계위에서는 제3위인 통달위(通達位)에 해당하고, 대승불교 일반의 52위(五十二位)의 보살 수행계위에서는 초지(初地), 즉 10지(十地) 가운데 첫 번째 계위, 즉 환희지(歡喜地)에 해당한다.[16][17][18] 또한 유식유가행파의 6현관(六現觀)에서는 제4현관인 현관지제현관(現觀智諦現觀)에 해당한다.[19][20]
수도(修道, 산스크리트어: bhāvanā-mārga)는 수행자가 수혹(修惑)을 벗어나기 위해 수행하는 기간 또는 지위이다. 수도위(修道位)라고도 한다. 수도는 견도에서 증득된 무루지를 바탕으로 유루 · 무루의 지혜, 즉 문혜 · 사혜 · 수혜의 3혜와 무루성혜를 반복적으로 닦아서 정의적인 번뇌인 수혹을 제거하는 과정이다.[13][21][22]
수도(修道)는 부파불교의 수행계위인 성문의 4향4과에서는 수다원과(須陀洹果) 즉 예류과(預流果)부터 아라한향(阿羅漢向)까지에 해당하고,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5위(五位)의 수행계위에서는 제4위인 수습위(修習位)에 해당하고,[23] 대승불교 일반의 52위(五十二位)의 보살 수행계위에서는 10지(十地) 가운데 제1지 즉 초지(初地)의 주심(住心)부터 제10지의 출심(出心)까지에 해당한다.[24] 또한 유식유가행파의 6현관(六現觀)에서는 제5현관인 현관변지제현관(現觀邊智諦現觀)에 해당한다.[25][26]
무학도(無學道, 산스크리트어: aśaiksa-mārga)는 수행자의 수행이 완료되어 모든 번뇌를 끊고 진리를 증득한 상태로, 무학(無學) 즉 더 이상 배울 것이 없는 지위이다.[27][28] 무학위(無學位)라고도 한다. 완전한 깨달음을 증득한 상태로 아라한과의 지위, 즉 부처의 지위, 즉 불지(佛地) 또는 여래지(如來地)이다.[13]
무학도(無學道)는 부파불교의 수행계위인 성문의 4향4과에서는 최후의 아라한과(阿羅漢果)에 해당하고,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5위(五位)의 수행계위에서는 최후의 제5위인 구경위(究竟位)에 해당하고,[29] 대승불교 일반의 52위(五十二位)의 보살 수행계위에서는 최후의 제52위인 묘각(妙覺)에 해당한다.[30][31] 또한 유식유가행파의 6현관(六現觀)에서는 최후의 제6현관인 구경현관(究竟現觀)에 해당한다.[32]
3도(三道)는 세친의 《십지경론(十地經論)》에서 설하는 증도(證道) · 조도(助道) · 불주도(不住道)의 동상3도(同相三道)를 말한다.[33][34]
혜원의 《대승의장》 제10권에 따르면 증도(證道) · 조도(助道) · 불주도(不住道)는 다음을 뜻한다.[35]
증도(證道)는 실성(實性)의 이치[理]를 증오(證悟)하는 것을 말한다. 증(證)은 지득계회(知得契會) 즉 앎 · 증득 · 계합 · 깨침을 뜻하는데, 마음이 실성에 그윽히 잠겨서[知], 분별(分別) 즉 실성에 대한 차별심을 모두 잊고[得], 실성에 완전히 계합[契]하여서, 실성(實性)을 철저히 깨침[會]으로써 실성(實性)과 평등한 상태에 있는 것 즉 정등각(正等覺)의 상태에 있는 것을 말한다. 정등각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완전히 평등한 깨달음 또는 철저히 평등한 깨달음이다.[36] 즉, 실성(實性) 즉 진리와 철저히 하나된 상태를 말한다.
조도(助道)는 부좌자순(扶佐資順) 즉 도움 · 보좌(補佐) · 자량 · 계합의 뜻으로 6바라밀 · 10바라밀 등의 바라밀[度]과 같은 수행을 반복하여 실천하는 것으로 이러한 실천이 보리(菩提)를 증득하는 자량[資]이 되고 보리에 계합[順]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불주도(不住道)는 이착(離著) 즉 집착을 떠남의 뜻으로, 교혜쌍유(巧慧雙遊) 즉 교혜쌍수(巧慧雙修) 즉 교(巧)와 혜(慧)를 함께 공부[遊]하여서 즉 방편(方便)과 지혜(智慧)를 함께 닦아서 그 결과 치우침[偏]이 없는 것을 말한다.
혜원에 따르면, 증도(證道) · 조도(助道) · 불주도(不住道)의 3도는 동일한 도(道) 즉 동일한 길의 3가지 측면으로, 모두 '법을 성취하는 것[法成]' 즉 '깨달음에 도달하는 길'의 한 측면을 보여준다. 혜원은 다시 간략히 요약하여 도(道) 즉 성도(聖道)는 "깨달음에 도달하기에 증도(證道)이고, 그것의 자량이 되기에 조도(助道)이고, 범부와 성인을 모두 뛰어넘기에 불주도(不住道)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3도(三道, 영어: three paths, three evil destinies)는 혹도(惑道) · 업도(業道) · 고도(苦道)를 말한다. 혹도는 번뇌도(煩惱道)라고도 한다.[4][37][38]
3도는 3륜(三輪) · 3취(三聚) 또는 윤회3도(輪廻三道)라고도 한다.[5][39]
3도에서 '도(道)'는 '다른 것으로 통하는 길'이라는 뜻으로 원인이 되어 결과를 낳는 것 즉 인과관계를 뜻한다. 3도는 유정이 생사윤회를 반복하게 되는 과정을 인과관계[道]의 관점에서 3단계로 나눈 것으로, 탐 · 진 · 치 등의 번뇌[惑]가 원인이 되어 신업 · 구업 · 의업의 업(業)이 일어나고 업(業)이 원인이 되어 고(苦) 즉 3계6도의 삶 즉 5취온이라는 이숙과(異熟果)가 생겨나는 것을 말한다.
천태종의 개조 지의(智顗: 538~597)는 《금광명경현의(金光明經玄義)》 상권에서 3도를 12연기와 관련시켜 해설하고 있다.[40]
지의의 설명에 따르면, 12연기 가운데 과거 생의 무명(無明)과 현재 생의 애(愛) · 취(取)의 3가지 지분이 혹도(惑道) 즉 번뇌도(煩惱道)에 해당한다. 그리고 과거 생의 행(行)과 현재 생의 유(有)의 2가지 지분이 업도(業道)에 해당한다. 그리고 현재 생의 식(識) · 명색(名色) · 6입(六入) · 촉(觸) · 수(受)와 미래 생의 생(生) · 노사(老死)의 7가지 지분이 고도(苦道)에 해당한다.
지의의 이 설명은 인도불교의 유식학(唯識學) 총 3기 중 제3기의 논사인 안혜(安慧: 475~555)가 저술한 《대승광오온론(大乘廣五蘊論)》에 나오는 설명과 정확히 일치한다. 《대승광오온론》은 지바가라(地婆訶羅, Divākara)가 685년에 한역하였다.[41]
안혜는 《대승광오온론》에서 인과(因果)를 부정하는 그릇된 견해인 사견(邪見)에 대해 설명하면서, 12연기의 12지분을 원인[因]과 결과[果]로 나누고, 다시 원인[因]을 번뇌와 업으로 나누고 있다. 달리 말하면, 번뇌와 번뇌의 작용과 동시에 형성되는 업과 업에 의해 생겨나는 결과로 나누고 있는데, 그 구분은 다음과 같다.[42][43]
3도(三塗, 산스크리트어: apāya-patha, preta-triyag-naraka, 영어: three paths, three kinds of evil destination)는 3도(三途)라고도 하며, 화도(火塗) · 도도(刀途) · 혈도(血途)를 말한다. 각각 6도(六道) 가운데 지옥도 · 아귀도 · 축생도에 해당한다. 3악도(三惡道) · 3악취(三惡趣) · 3도처(三道處)와 동의어이다.[6][8][9]
한자어 도(塗)에는 '길[道]'의 뜻도 있지만 괴로움의 뜻도 있는데, 3도(三塗)는 악을 행한 유정이 윤회하여 태어나는 3가지 생존 상태에서 겪게 되는 괴로움을 강조하는 표현이다.[7][9] 불교에서 유정 또는 중생은 천인 · 인간 · 아수라 · 동물 · 아귀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화도(火塗)는 지옥도에 태어난 유정이 맹렬히 타오르는 불길에 의해 끊임없이 받는 괴로움을 가리킨다.[44][45]
도도(刀途)는 아귀도 즉 염마왕의 세계에 태어난 유정이 칼과 몽둥이에 의해 끊임없이 핍박당하는 괴로움을 가리킨다.[46][47]
혈도(血途)는 축생도 즉 동물의 세계에 태어난 유정이 끊임없이 서로 잡아먹고 잡아먹히는 약육강식(弱肉强食)의 괴로움을 가리킨다.[48][49]
3도처(三道處, 영어: places of three paths)는 지옥도 · 아귀도 · 축생도를 말하며, 3악도(三惡道) · 3악취(三惡趣) · 3도(三塗, 三途)와 동의어이다.[10]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