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론에서 쌍가군(雙加群, 영어: bimodule 바이모듈[*])은 왼쪽 가군과 오른쪽 가군의 구조를 동시에 가지며, 두 구조가 서로 결합 법칙을 만족시키는 대수 구조이다.
환 와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쌍가군(영어: -bimodule) 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 아벨 군
- 위의 -왼쪽 가군 구조
- 위의 -오른쪽 가군 구조
이는 다음과 같은 호환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 모든 , , 에 대하여,
보다 일반적으로, 가환환 와 -단위 결합 대수 와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쌍가군 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 아벨 군
- 위의 -왼쪽 가군 구조
- 위의 -오른쪽 가군 구조
이는 다음과 같은 호환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 모든 , , 에 대하여,
- 모든 에 대하여,
-쌍가군은 일 때 -쌍가군의 개념과 같다.
두 -쌍가군 , 사이의 쌍가군 준동형(영어: bimodule homomorphism) 은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아벨 군 준동형이다.
- 는 -왼쪽 가군의 가군 준동형을 이룬다. 즉, 이다.
- 는 -오른쪽 가군의 가군 준동형을 이룬다. 즉, 이다.
가군과의 관계
다음 네 개념들이 서로 동치이다.
- -쌍가군
- -쌍가군
- -왼쪽 가군
- -오른쪽 가군
(여기서 는 반대환을 뜻한다.)
다음 세 개념들이 서로 동치이다.
- 아벨 군
- -가군
- -쌍가군
환 에 대하여, 다음 네 개념들이 서로 동치이다.
- -왼쪽 가군
- -오른쪽 가군
- -쌍가군
- -쌍가군
환 에 대하여, 다음 네 개념들이 서로 동치이다.
- -오른쪽 가군
- -왼쪽 가군
- -쌍가군
- -쌍가군
가환환 에 대하여, 다음 네 개념들이 서로 동치이다.
- -가군
- -쌍가군
- -쌍가군
- -쌍가군
또한, 위 개념들에 대한 준동형들 또한 서로 동치이다. 예를 들어, -쌍가군 준동형은 -왼쪽 가군의 가군 준동형과 같은 개념이다.
즉, 쌍가군의 개념은 가군의 개념의 특수한 경우로 생각할 수 있으며, 반대로 가군의 개념을 쌍가군의 개념의 특수한 경우로 생각할 수 있다.
가환환 에 대하여, 모든 -가군 (즉, -쌍가군)은 망각을 통하여 -쌍가군을 이루지만, 일반적으로 -쌍가군이 아닌 -쌍가군이 존재한다.
텐서곱 가군과 준동형 가군
-쌍가군 및 -쌍가군 이 주어졌을 때, 텐서곱
은 자연스럽게 -쌍가군을 이룬다. 이는 쌍가군 범주의 가법 함자
를 정의한다.
또한, -쌍가군 및 -쌍가군 가 주어졌을 때, 왼쪽 가군 준동형군
은
를 통해 -쌍가군을 이룬다. 이는 쌍가군 범주의 가법 함자
를 정의한다. 반대로, 오른쪽 가군 준동형을 사용한다면 -쌍가군 및 -쌍가군 가 주어졌을 때, 준동형군
은
를 통해 쌍가군을 이루며, 쌍가군 범주의 가법 함자
를 정의한다.
이는 다음과 같이 수반 함자를 이룬다.
특히, 또는 또는 를 놓으면 각종 가군 범주 위의 다음과 같은 가법 함자들을 얻는다.
쌍가군의 2-범주
임의의 가환환 와 -단위 결합 대수 , 에 대하여, -쌍가군을 대상으로 하고, -쌍가군 준동형을 사상으로 하는 범주 가 존재한다. 인 경우 이는 단순히 로 표기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가환환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2-범주 가 존재한다.
- 의 대상은 -단위 결합 대수이다. (즉, 의 대상과 같다.)
- 에서, 단위 결합 대수 , 사이의 1-사상은 -쌍가군 이다. 의 정의역은 , 공역은 이다.
- 두 쌍가군 , 의 합성은 쌍가군의 텐서곱 이다.
- 환 위의 항등 사상은 이다.
- 같은 정의역과 공역을 갖는 두 1-사상 , 사이의 2-사상은 -쌍가군 준동형이다. 즉, 범주로서 이다.
아이디얼
환 의 왼쪽 아이디얼은 -왼쪽 가군을 이루며, 오른쪽 아이디얼은 -오른쪽 가군을 이룬다. 의 양쪽 아이디얼 은 -쌍가군을 이룬다.
특히, 전체는 의 양쪽 아이디얼이며, 따라서 -쌍가군을 이룬다.
보다 일반적으로, 가환환 위의 단위 결합 대수 가 주어졌을 때, -가군을 이루는 -양쪽 아이디얼 는 -쌍가군을 이룬다. 특히, 전체는 -쌍가군을 이룬다.
행렬 쌍가군
환 위의 행렬로 구성된 아벨 군 을 생각하자. 만약 이라면 (즉, 정사각 행렬이라면) 는 환을 이룬다.
행렬의 곱셈은 자연스러운 -쌍선형 함수
를 이룬다. 이에 따라, 는 자연스럽게 -쌍가군을 이룬다.
물론, 는 (대각 행렬로서) 의 부분환을 이룬다. 이에 따라, 는 -쌍가군을 이룬다. 이 경우, 는 단순히 자유 가군 으로 생각할 수 있다.
쌍가군에 대하여, 호흐실트 호몰로지와 호흐실트 코호몰로지를 정의할 수 있다.
쌍가군의 개념은 모리타 동치 및 모리타 쌍대성을 정의할 때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