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AI tools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창조론(創造論, 영어: Creationism)은 아브라함 계열 설화나 신화, 신앙에 바탕하여 인간, 생명, 지구, 우주 등 만물이 신에 의해 창조되었다는 신학 사상이다. 이 창조는 완전한 무(無)에서의 창조일 수도 있으며, 이전부터 있던 혼돈에 질서를 부여하고 기존의 물질을 사용한 이차적인 창조를 포함한 것일 수도 있다. 연기론이나 이기론 등과 같이 만물 생성의 근본 원리에 관한 형이상학적 또는 종교적 논제의 한 부류로서 연구되기도 한다.
과학의 발전이 가로막혔던 과거 기독교 문화권 등에서 세상의 창조가 객관적이고 절대적인 진리로 받아들여졌으나, 인본주의 철학이 등장하면서 도전받기 시작하였고, 현대에는 과학의 발달로 입자물리학, 지질학, 고고학, 고생물학, 진화학, 유전학, 분자진화와 합성생물학, 인공생명, 빅뱅이론을 위시한 천체물리학, 기타 자연의 기원 및 역사와 관련이 있는 과학 등과 모순되는 점이 많고 실증되지 못하기에 현대에는 객관적이고 절대적인 진리로 받아들여지지 못하고 신학과 형이상학적 영역에만 국한된다.
또한 신앙적 측면의 창조에 대한 의미 부여도 각기 다른데,[1] 근본주의 기독교에서처럼 모든 것이 처음부터 완전한 없음에서 창조신에 의해 완전한 현재 상태의 창조로 형성되어 유지된다는 관점의 시각과, 오늘날 사실로 밝혀진 진화(점점 바뀌는 현상) 등의 현대과학적 사실들을 적극 수용하여 '진화적 유신론'이라는 관점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많은 종교에서 창조에 관한 표현은 해당 종교의 핵심적인 교리에 연관되는 경우가 많으며, 현대에는 교리 중 창조에 대한 해석을 과학적 사실과 비교하는 것이 아닌 신학적, 철학적으로 비교하는 시각이 본바탕인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이 문서에서는 창조에 대한 의미부여의 시각을 다룬 부분으로 구분하여, '좁은 의미의 창조론'로 따로 묶어 다룬다.
일반적으로 창조론의 해석 방식에 따라 과학과 충돌이 거의 없는 유신진화론적인 접근과 과학이라 내세우며 과학 등의 학문을 부정하는 창조과학, 지적설계 등의 사이비과학적인 접근으로 나뉜다. 과학의 발달로 진화가 직접 관찰이 되는 자연 현상으로 밝혀지고, 다양한 화학진화에 의한 생명의 기원이 입증되면서,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등의 근본주의권에서만 유사과학적 시각(젊은 지구 창조론/오랜 지구 창조론)이, 대부분의 복음주의와 자유주의 계열에서는 과학과 충돌이 거의 없는 시각(유신진화론, 선아담인류론)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과학이 발달하기 전의 서구에서는 평평한 지구, 천동설과 마찬가지로 성경이 객관적이고 절대적인 진리로 여기는 시각이 대부분이었고, 이에 따라서 창조론은 우주와 지구의 역사를 이야기하는 역사로도 보여졌다. 하지만 과학의 발달로 지구가 평평하지 않음이 알려지고, 지구의 자전과 공전이 확증되면서 성경을 과학 책으로 보는 시각에 대해 많은 의구심들이 있었다.
1859년 다윈과 월리스에 의해 전해진 "진화"라는 현상은 ‘자연선택’에 따라 환경에 적응한 일부 개체가 자연에서 살아남고, 선택된 변이 형질이 후대에 유전된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당시 다윈은 “지구에 사는 수많은 종(種)이 공통 조상들로부터의 거듭된 분화의 결과물”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으며, 이것을 인간의 조상은 원숭이라는 뜻으로 잘못 해석한 일부 종교 지도자들이 종교에 대한 모독과 신성에 대한 도전이라고 생각하여 분노를 표출했기에 과학과 종교의 대립 구도가 나타나기도 했다.
과학과 종교의 관계는 이후 진화가 화석, 분자 계통도, 형질의 상동/상사, 종분화 실험 등으로 입증되며, 수많은 반증 시도를 통과하여 과학적 사실로 받아들여지게 되면서,[2] 종교계 내에서도 과학적 사실인 진화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게 되었다. 다윈이 제창한 진화론은 집단유전학, 발생학과 결합하여 더 체계적인 진화생물학이 되었으며, 진화는 동물 행동과 같이 더 복잡한 생물 형질의 자연적인 생성을 이해하는 관점이 제공되는 현대 생물학의 주요 개념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과학이 발달하고 진화생물학이 과학적인 사실로 인정됨에 따라, 창조론을 절대적인 진리로 주장하는 가장 큰 집단인 기독교계는 두 가지의 서로 상반된 태도를 보였다. 첫째는 진화생물학 자체에 대한 부정이다. 극보수주의적 근본주의 계파에서 주로 펼치는 주장으로, 성경 문자주의에 입각해 비과학적인 근거들로 진화생물학을 공격하고, 사이비과학인 젊은 지구 창조론과 창조과학, 지적설계 등을 주장하는 등 반지성주의적 운동을 펼친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주장에 비판 및 반론을 펼친다. 둘째는 진화생물학의 인정이다. 대부분의 기독교인 자유주의와 복음주의 계파에서 이러한 과학적 사실을 받아들임으로써 유신진화론이라 불리는 신학 이론을 발전시켰다.
현대에는 생명의 진화와 우주의 생성에 대한 과학적 설명을 받아들이지만, 그 이면에 신의 개입이 존재한다는 방식으로 믿는 경우가 복음주의를 비롯한 신학적 해석의 정석적 방법으로 채택되어, 성서에 적혀 있는 내용 그대로를 과학적 진실로 받아들이기 전에, 성경의 창조는 비유와 은유이기 때문에 신앙의 차원에서 받아들여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진화가 직접 관찰 가능해진 현대에는 과학과 충돌이 적어 가장 알맞는 창조론의 형태로 인정받고 있다.
창조론은 과학적인 연구 결과를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의 문제 뿐만 아니라, 창조가 기록된 창세기 1-3장의 기록을 어떻게 신학적으로 해석할 것인가의 문제이기도 하다. 이를 젊은 지구 창조론을 주장하는 근본주의는 문자적 해석의 결과이다. 반면 오랜 지구 창조론 등 과학 이론을 존중하는 복음주의계열의 경우 이를 문학적 상징적 언어로 해석하는 골격 해석 등 다양한 신학적 해석을 제시한다.
유신진화론은 과학적으로 밝혀진 지구와 생명의 역사를 대부분 수용하고, 이 모든 과정이 신의 섭리에 의한 창조의 과정이라고 해석하는 이론이다. 과학과의 갈등 요소가 적으며, 신학적으로도 충실한 해석이기에, 기존 창조론의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고, 국제적으로 많은 기독교 계통 학자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창조론 진화론 논쟁에 있어서 기독교 근본주의자들은 유신진화론을 기독교 창조론이 아닌 진화론의 한 형태라고 주장하는데, 이는 과학적 진화론을 그대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는 "유신진화론"이라는 단어에서 가치 중립적인 과학 이론인 진화이론이 마치 유신론과 무신론으로 나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나타난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며, "진화적 유신론", "진화창조론"과 같은 단어들이 유신진화론에 대해 좀 더 제대로 이해하는 단어가 될 수 있다.[3]
유신진화론의 사상적 뿌리는 일부 교부들의 6기간적 견해, 아리우스주의에 뿌리를 둔 유니테리언, 범신론적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관을 수용한 스콜라 철학 및 퀴비에의 다중격변설, 자연발생설과 근세의 세속적 인본주의 및 율리우스 벨하우젠의 문서가설, 베르그송의 생의 철학 등에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의 영향을 받아 19세기말부터 기독교는 물론 유대교와 이슬람교의 내부로 유신론적 진화 사상은 급속히 확산되었다.
유신진화론의 공통된 주장은 다음과 같이 종합할 수 있다.
유신진화론은 전 NIH학장이었던 프랜시스 콜린스(Francis Collins)가 설립한 바이오로고스(BioLogos)를 통해 과학과 신학의 조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진화와 창조의 관계를 바라보는 관점에서 분리론과 조화론으로 구분되며, 진화의 방식을 바라보는 관점에서 열린 진화, 계획된 진화, 인도된 진화로 구분된다.
중립적 입장으로 과학자들의 대부분은 이 시각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과학적 발견과 신학적 믿음의 철저한 분리를 통해 진화라는 과학적 사실을 받아들이되, 창조는 이와는 분리되는 형이상학적인 부분이라는 점을 인정한다. 일반적으로 열린 진화의 입장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바이오로고스를 비롯해 많은 신학자들이 이 시각을 갖고 있으며, 진화를 창조의 한 방식으로 보아 진화의 과정에 대한 연구에 신학자들 역시 참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계획된 진화와 인도된 진화가 여기에 해당한다.
창조를 이미 증명된 과학이론인 진화론과 대립시키면서 과학 이론의 범주로 올려놓기 위한 일련의 사이비과학적 시도들을 특별히 지칭할 때 과학계에서는 창조설(-說)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기독교와 유대교의 창세기 경전과 이슬람교의 꾸란에서는 세상의 기원에 대해 묘사하면서 유일신이 세상을 창조하였다고 적고 있으나, 그 방법에 대해 제대로 서술되어 있지는 않다. 이를 과학으로 증명하려는 유사과학적 시도가 제7일 안식교를 중심으로 기독교계와 이슬람교계 등 아브라함계 종교권에서 이뤄지고 있으며, 스스로 창조과학이라 일컫는 부류는 통일교의 진화반대 주장을 답습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과학 이론과 종교적 믿음이라는 전혀 다른 가치 체계를 같은 위치에 놓고 비교한다는 점에서 오해의 이유가 된다는 점을 지적한다. 현재 진화는 그 현상이 직접 관찰되어 과학이론으로 인정받기 때문에, 진화론의 부정은 종교적 근거나 왜곡된 근거만을 제시한다. 또 미국의 일부 주에서는 창조론을 학교 정규 교과 과정에 반영하는 문제가 재판으로 비화하기도 했다.
일부 창조론자들은 창조론에 대한 반론에도 불구하고 네스호의 괴물 사건(루머로 밝혀짐), 1977년 일본 원양어선이 뉴질랜드에서 건졌다는 수장룡(돌묵상어 사체인 즈이요마루 소동) 등이 발견되었다며 과학적 사례라고 주장하나 과학적 근거는 존재하지 않는다.
젊은 지구 창조론은 성경 기독교의 극보수주의세력이 문자주의적(축자영감설) 해석을 토대로 하여 성경에 기록된 대로[4] 지구의 나이가 6,000~10,000년이라고 주장하며, 신(하나의 신령)에 의해 최초의 6일 동안 모든 창조가 이루어졌다는 주장이다. 창조과학 역시 상당 부분 이 젊은 지구 창조론에 바탕을 두고 있다.
젊은 지구 창조론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과학계가 진화론을 비롯한 다양한 주유 과학 이론을 받아들이는 것이 맹목적이거나 왜곡된 사실에 근거한다고 보는 경우가 많다. 또한 창조과학 지지자들은 창조과학의 체계가 명백하게 과학성의 부재를 가진 편협한 종교적 사이비과학임에도 불구하고, 유사종교나 이단종파가 아닌 참 과학이라고 주장한다. 물론 주류 종교계와 학계는 과학적인 방법을 따르지 않는 창조과학을 인정하지 않는다. 소위 창조과학자라고 불리는 자들은 학문적 규범을 무시하거나 지키지 않으며, 과학이라고 주장하면서 사실상 과학적 방법에 의한 연구는 하지 않고, 실제 과학의 이론으로 받아들여지는 것들을 아무런 과학적 근거없이 궤변이나 역설 등으로 공격하는 경향이 있다.[5]
이들은 일반적으로 과학에 초자연적인 속성의 창조를 강제로 끼워넣으며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가짜라는 루머, 다윈의 유언 조작 등 각종 거짓 근거를 동원하여 사람들을 현혹한다. 이들은 자신들끼리는 과학적으로 혁혁한 업적을 세우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주류 학계에 논문을 낸 바가 없고 실제로 학문 발전에 기여했다고 인정받지 못한다. 또 미국의 일부 주에서는 창조론을 학교 정규 교과 과정에 반영하는 문제가 재판으로 비화하기도 했다.
오랜 지구 창조론은 과학적으로 밝혀진 지구와 우주의 나이를 인정하고, 긴 시간에 걸쳐서 개개의 생명체들이 창조되었다고 주장하는 이론이다. 창세기의 창조가 문자적인 6일에 이루어져 있다고 해석하지 않고, 날-연대 이론(day-age theory)등의 설명과 같이 오랜 시간이 걸려 이루어진 것으로 해석한다. 또는 간격론(gap theory)으로 제시된 것과 같이 창조는 6일간에 이루어졌지만, 그 전에 긴 시간이 존재했던 것으로 설명하여 과학적으로 밝혀진 지구의 나이와의 갈등을 해소하기도 한다. 이 이론은 과학계의 많은 이론들을 수용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창세기의 해석에 있어서 문자적 해석과 상징적 해석을 함께 사용한다는 것에서 젊은 지구 창조론자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또한 역시 명백하게 관찰 가능한 현상인 진화와 이를 연구하는 진화학의 과학적인 가치를 인정하지 않기에 과학계와의 갈등은 여전히 안고 있다.
점진적 창조론은 신이 수억 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새로운 형태의 생명체를 창조했다는 종교적 믿음이다. 오래된 지구 창조론의 한 형태로서, 그것은 지구의 나이에 대한 주류 지질학적, 우주론적 추정, 소진화와 같은 생물학의 일부 교리, 고고학을 받아들인다. 이러한 견해에 따르면, 창조는 모든 "종류"의 식물과 동물이 수백만 년 동안 지속되는 단계적으로 나타나는 빠른 폭발로 일어났다. 폭발 뒤에는 새로운 도착을 수용하기 위해 정체 또는 평형 기간이 뒤따른다. 이러한 폭발은 신의 개입에 의해 신이 새로운 유형의 유기체를 창조한 사례를 나타낸다. 고고학적 기록에서 볼 때, 점진적 창조론은 "종은 조상의 꾸준한 변형에 의해 점진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한꺼번에 나타나 "온전히 형성된" 상태로 나타난다.
이 견해는 대진화를 거부하며, 생물학적으로 지지할 수 없고 화석 기록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마지막 보편적 공통 조상으로부터의 공통 후손이라는 개념을 거부한다. 따라서 대진화에 대한 증거는 거짓이라고 주장되지만, 소진화는 창조주가 환경적 적응과 생존을 위해 유전학의 구조로 설계한 유전적 매개변수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지자들은 그것을 문자적 창조론과 진화론 사이의 중간 지점으로 본다. 휴 로스(Hugh Ross)가 설립한 '믿어야 할 이유(Reasons To Believe)'와 같은 단체들은 이러한 창조론을 조장하고 있다.
점진적 창조론은 창세기의 창조 설사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 예를 들어 시대 창조론이나 틀/은유적/시적 관점과 함께 주장될 수 있다.
창조론의 주체인 신에 관한 설명을 제외한 창조론이자 유사과학이다. 통일교가 주도적으로 주장하기 시작했다. 2005년 말경 키츠밀러 소송 사건에서는 지적 설계론의 완패였다. 존 E. 존스 3세는 판결문에서 "지적 설계론은 과학이 아니며, 나아가 지적 설계설은 창조론, 따라서 그 종교적인 조상들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다."고 했다. 이 재판에서 지적설계를 주장하던 마이클 베히에 대항하는 측은 베히가 인용한 편모 관련 논문의 저자들을 직접 불렀으며, 그들은 이곳에서 베히가 사실과 다른 주장을 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해 주었다.
일부 젊은 지구 창조론자들이 신봉하는 사이비과학으로서 기존의 창세기의 해석에 기반한 창조론적 믿음을 참 과학이라고 주장하는 행위이다. 창조과학이 주장하는 것 중에 인용오류나 궤변, 전제조건 왜곡 등으로 과학적 사실과 일치하는 것은 단 하나도 없으며, 창조론으로서 신앙도 아니라고 스스로 주장하므로 이는 사이비 종교보다 사이비과학 항목으로 분류한다. 과학계에서는 창조과학의 주장을 정설이나 이론으로 인정할 수 없지만, 종교계에서도 신흥 종파의 차용, 신앙 붕괴나 이단 갈등 발생, 장기간 지속으로 인한 뜻하지 않은 부정적인 역효과 현상 초래 등의 우려로 거리를 두거나 배척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기독교에서 말하는 창조론은 성경 해석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들이 있다.[6]
기독교적인 창조론은 기독교 신학에서 다음과 같은 신학적 의미를 갖는다.[7]
이슬람교에서는 꾸란에 의거하여 모든 존재의 근원을 알라, 즉 신으로 본다. 꾸란에 따르면 신은 인간과 우주를 창조(khalq)했으며, 인간들에게 다른 피조물을 선물로 주었다고 한다. 구체적으로 신은 천사(43:19), 진(55:15 - 진은 연기 없는 불로 창조), 하늘과 땅(14:19), 태양과 달, 낮과 밤(41:37), 천둥(13:3), 나무, 과일, 곡식과 향기로운 꽃(55:10~12), 수중 생물(24:45) 등의 창조주이다.[8]
이슬람교 신학에서 다루는 창조론에서 생기는 이론적 쟁점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꾸란에서 '알라'를 배타적인 창조주로 취급하는지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수라 13:16의 다음과 같은 구절이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알라와 다른 '샤리크'(동반자, 우상)에게도 창조의 능력이 있다는 듯한 언급이 있다. 일반적으로 꾸란에서 창조의 능력은 알라(유일신)에게만 귀속되나, 이 구절만이 예외이다.[8]
“ | 일러가로되 천지의 주님이 누구이뇨, 일러가로되 하나님이라, 일러가로되 스스로를 위하여 유용함도 해악도 없는 그분 아닌 다른 것을 보호자로 택하였느뇨, 일러가로되 장님과 보는 자가 같을 수 있으며, 암흑과 빛이 같을 수 있느뇨, 또한 그들은 그들이 만든 우상을 그분이 창조한 것처럼 숭배하여 창조된 것이 그들에게 혼돈됨인가, 일러가로되 하나님께서 만물을 창조하였으며, 그분은 홀로 전능하심이라 - 사우디 국왕역 《성 꾸란 의미의 한국어 번역》, 수라 13:16. | ” |
이는 아래의 번역에서 보다 명확하게 드러난다.(볼드체)
“ | 말하라. 하늘들과 땅의 주님은 누구인가? 말하라. 알라 말하라. 왜 너희들이 그 분(알라)이 아닌 (다른) 보호자를 취했니? 그들 자신에게 유익과 해로움도 주지 못한다. 말하라. 시각 장애자가 시각 정상인과 동등하냐? 또는 깜깜한 어둠이 빛과 동등하니? 또는 그들이 알라의 슈라카(동반자들, 샤리크의 복수)를 만들어 알라가 창조한 것과 유사한 것을 슈라카가 창조한 것이 알라의 것과 구별이 안 된다는 말인가? 말하라. 알라는 만물의 창조주이다. 그 분은 한 분이시다. - 공일주, 《꾸란의 이해》,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10, 122쪽에서 재인용. | ” |
그러나 이는 정통 교리를 따르는 한 심각한 쟁점이 되지는 않는다. 신 자체의 존재론, 또 이에 의거해 신이 이룬 창조의 특성과 꾸란의 존재를 어떻게 신학적으로 설명할 것이냐가 보다 중요한 쟁점이 되는데, 이에 대해 어떠한 의견을 개진하느냐에 따라 신학의 학파가 무으타질라파, 아슈아리파, 마투리디파 등으로 다양하게 갈리게 되었다.
힌두교 문헌에서는 여러 가지 창조에 대한 언급이 발견된다. 이는 주로 《리그 베다》에서 볼 수 있는데,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베다의 언급을 근거로 힌두교의 육파 철학이 세계의 창조 문제를 논한다.[9]
조로아스터교에서의 창조 과정 묘사는 기독교 및 이슬람교와 유사하게 전개된다. 하늘, 물, 땅, 식물, 동물, 인간을 6단계로 365일에 걸쳐 창조되었다고 하는데, 선신(善神) 아후라 마즈다와 악신(惡神) 아흐리만의 대립이 강하게 드러나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면, 선신이 땅 위에 인간들의 16개 국가를 창조하자 악신은 그에 대항하는 것을 만들었다고 한다. 선신이 최초로 좋은 나라 '하르야나 와에자프'(동 이란)를 만들자 악신은 뱀과 겨울을, 다른 나라 '니사야'를 만들자 불신(不信)의 죄를, '할라와이티'를 만들자 죽은 자를 묻는 죄를, '카쿠라'를 만들자 죽은 자를 태우는 죄를, 일곱 강(江)의 지방을 만들자 월경(月經)과 혹서(酷暑)를 창조하였다. 선신이 인간들을 위한 나라를 만들 때마다 악신은 방해물을 만들어 그 나라의 번영을 방해하는 자로 묘사되는 것이다.[10]
창조론은 과학 이론이 아니기 때문에 주류 과학계는 사실로 이미 명백히 밝혀진 진화를 더 탐구해가는 것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다만 일부 창조론자들이 비과학적인 근거로 진화론을 공격할 때, 과학적인 근거들로 이를 반박하는 방식으로 입장을 표명한다. 기독교 창조론은 그 존재 여부에 대해 과학적·논리적 반증이 불가능한 특정 종교의 설계자가 존재함을 기본 전제로 하기 때문에, 기독교 창조론은 과학 이론이 아니라 형이상학 이론으로 간주된다.[11][12]
이미 명백히 사실로 밝혀진 생물학적 진화와는 별개로 생명 출현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인 화학진화의 모델들은 1952년도에 스탠리 밀러의 실험에 의해 유기물 생성이 연구된 직후, 그 당시에는 그 후 그러한 유기물들로부터 생명현상을 일으키는 것 자체가 또 하나의 엄청난 문제라고 생각되기도 했었다. 하지만, 리보자임의 발견으로 RNA월드라는 모델에 기반한 연구가 진행되고, 인공 세포의 형성 등이 이루어져 화학진화를 받아들일 수 있는 것 역시 창조론자 일부는 유신론의 일부로 인식하기도 한다. 생물의 진화에서 발견되는 매 세대마다 증가하는 유전정보를 통해 분자적 복잡성이 대부분 설명이 됨으로써, 이러한 복잡성을 통해, 화학진화나 진화를 받아들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당히 역사가 깊은 신학적 관점이자 진화를 비롯한 과학적 사실들을 수용하는 유신진화론 역시 현대의 게놈 프로젝트 등의 과학적 발견과 관찰 등을 통해 진화가 사실로 증명되고, 화학진화의 과정들이 하나하나 밝혀감에 따라 창조론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고 보기에 과학계와의 마찰은 줄어들고 있다.
1980년 〈미국 교육위원회 저널〉(Amercian School Board Journal)에 따르면 2/3이 공립학교에서 창조론 역시 교육해야 한다고 했다. 19%는 진화 교육을 없애야 한다고 했고, 48%는 둘 다 가르쳐야 한다고 했다. 1986년에는 미국변호사협회(American Bar Association)에서 설문조사를 했는데, 변호사들의 2/3이 공립학교에서 창조론을 가르치는 게 미국 수정헌법 1조(종교에 관련된 조항이 포함됨)에 어긋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하였다.
1991년 미국 전역에 대한 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미국인의 47%는 최근의 특별 창조에 대해 믿는다고 하였고, 40%는 유신진화론을 선호한다고 하였다. 흑인들, 여성들, 가난한 사람들일수록 창조론을 더 잘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었다.[13]
2005년 갤럽의 조사에 따르면 53%의 미국인들이 "하나님이 인간을 성경에서 정확히 묘사하는 방식대로 현재의 형태로 창조하셨다"고 믿는다고 했다. 또한 조사 결과는 65.5%의 미국인들이 창조론이 결정적이거나 있을 법한 사실로 본다고 하였다. 같은 해 뉴스위크에서 한 조사에 따르면 80%의 미국인들이 하나님이 우주를 창조했다고 믿는다고 한다.[14]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