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AI tools
북아프리카와 동아프리카, 사헬, 서아시아 등에서 쓰이는 240여 언어의 어족이다.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아프리카아시아어족 또는 아프로아시아어족(영어: Afroasiatic languages)은 약 300개의 언어가 소속된 거대한 어족이다.[2] 추정치는 학자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2,000년에서 18,000년 전에는 하나의 언어였을 것으로 학자들은 생각한다. 세계에서 가장 기록된 역사가 오래되고 잘 확립된 어족으로서, 이 어족에 포함되는 언어들은 서아시아와 북아프리카, 아프리카의 뿔에서 우세하게 사용되며 사헬의 일부 지역에서도 사용된다. 1950년 조지프 그린버그에 의해 처음 정립된 분류로서, 옛날에는 셈족과 함족이라는 민족 분류에 따라 함셈어족(영어: Hamito-Semitic)[3] 혹은 셈함어족(영어: Semito-Hamitic)[4]이라고도 불렸다.
오늘날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은 5억 명 이상의 모어 화자를 가졌고, 인도유럽어족과 중국티베트어족, 니제르콩고어족에 이어) 모든 어족 중 4번째로 큰 어족이다.[5] 이 어족은 베르베르어파, 차드어파, 쿠시어파, 이집트어파, 오모어파, 셈어파라는 여섯 어파로 나뉜다.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 혹은 방언연속체는 단연 아랍어이다. 아랍어는 셈어파에서 사실상 구분되는 언어 변이형들의 집합으로서, 약 3억 1,300만 명의 모어 화자를 가졌으며, 주로 서아시아와 북아프리카에 집중되어 있다.[6]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는 현재 사용되는 언어 이외에도 여러 중요한 고대 언어가 속한다. 고대 이집트어나 셈어파에 속하는 아카드어, 성서 히브리어, 고대 아람어와 같은 언어들이다.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원향 및 최초의 공통 조상 언어(아프리카아시아조어)가 사용된 시기에 대해서는 아직 역사언어학계의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 현재까지 원향으로 제안된 지역에는 북아프리카와 아프리카의 뿔, 사하라 동부, 레반트 지역이 있다.
일반적으로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은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6개의 어파가 있다는 것에는 일반적으로 합의가 되어 있으나,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을 연구하는 언어학자들은 몇 가지 사항에서 합의하지 못하고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아랍어가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이며 3억명이 넘는 모어 화자를 가지고 있다.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언어 중 널리 사용되는 다른 언어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가장 오래된 기록 증거는 고대 이집트어 비문이며 기원전 3,400년(5400년 전)의 것으로 추정된다.[25]이집트 신성문자를 닮은 게르제(나카다 II) 토기의 상징은 대략 기원전 4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더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도 있음을 암시한다. 따라서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기원 시기는 적어도 이보다는 오래되어야 한다. 하지만 고대 이집트어는 아프리카아시아조어와 매우 다르며(Trombetti 1905: 1–2), 두 언어 사이에는 상당한 시간이 경과했어야 한다. 아프리카아시아조어가 사용된 연대의 추정치는 학자마다 크게 다르다. 기원 시기의 추정치는 기원전 7,500년경 (9,500년 전)에서 기원전 16,000년경(18,000년 전) 사이에 해당한다. 이고르 디야코노프(Diakonoff, 1988: 33n)에 따르면, 아프리카아시아조어는 기원전 10,000년경에 사용됐다. Christipher Ehret(2002: 35–36)은 아프리카아시아조어가 늦어도 11,000년경, 어쩌면 가장 이르게는 기원전 16,000년경에 사용되었다고 주장한다. 이 연대는 다른 조어들에 부여된 기원 시기들보다 이르다.
과거에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기원지를 오리엔트에서 찾는 시각도 있었지만, 현재는 북동쪽 아프리카의 수단과 에티오피아 부근이라는 것이 정설로 되어 있다.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확산과 관련하는 유전자로서 Y염색체 하플로 그룹 E1b1b 계통을 들 수 있다[26]. E1b1b는 북동 아프리카에서 발상되었으며, 이러한 언어 계통수, Y염색체 계통수 모두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아프리카 기원을 나타내고 있다.
↓ 수 | 언어 → | 아랍어 | 카빌어 | 소말리어 | 베자어 | 하우사어 |
---|---|---|---|---|---|---|
동사 → | katab | afeg | naw | |||
의미 → | 쓰다 | 날다 | 오다 | 실패하다 | 마시다 | |
singular | 1 | ʼaktubu | ttafgeɣ | imaadaa | anáw | ina shan |
2f | taktubīna | tettafgeḍ | timaadaa | tináwi | kina shan | |
2m | taktubu | tináwa | kana shan | |||
3f | tettafeg | tináw | tana shan | |||
3m | yaktubu | yettafeg | yimaadaa | ináw | yana shan | |
dual | 2 | taktubāni | ||||
3f | ||||||
3m | yaktubāni | |||||
plural | 1 | naktubu | nettafeg | nimaadnaa | nínaw | muna shan |
2m | taktubūna | tettafgem | timaadaan | tínawna | kuna shan | |
2f | taktubna | tettafgemt | ||||
3m | yaktubūna | ttafgen | yimaadaan | ínawna | suna shan | |
3f | yaktubna | ttafgent |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언어가 광범위하게 공유하는(그러나 모두가 공유하는 것은 아닌) 특징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언어 사이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공유되는 특징 한 가지는 접미사를 이용하는 동사 활용으로(이 단락 첫부분의 표를 참고), /ʔ t n y/로 시작하는 접미사들의 독특한 패턴을 가지며, 특히 3인칭 단수 남성의 /y-/가 3인칭 단수 여성과 2인칭 단수의 /t-/와 대립하는 패턴을 가진다.
Ehret(1996)에 따르면, 오모어파와 차드어파 및 특정 쿠시어파에서 성조 언어들이 나타난다. 셈어파와 베르베르어파, 이집트어파에서는 일반적으로 성조를 음소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다음은 아프리카아시아어족 동계어의 몇 가지 예시로, 열 가지 대명사와 3 개의 명사, 3개의 동사를 포함한다.
아프리카아시아조어 | 오모어파 | 쿠시어파 | 차드어파 | 이집트어파 | 셈어파 | 베르베르어파 |
---|---|---|---|---|---|---|
*Ɂân- / *Ɂîn- 또는 *ân- / *în- ‘내가’ (독립 대명사) | *in- ‘내가’ (Maji (북오모어군)) | *Ɂâni ‘내가’ | *nV ‘I’ | ink, *ʲānak '내가' | *Ɂn ‘내가’ | nek / nec ‘내가, 나를’ |
*i 또는 *yi ‘나를, 나의’ (의존) | i ‘내가, 나를 , 나의’ (아리어 (남오모어군)) | *i 또는 *yi ‘나의’ | *i ‘나를, 나의’ (의존) | -i, *-aʲ (1인칭 단수 접미사) | *-i ‘나를, 나의’ | inu / nnu / iw ‘my’ |
*Ɂǎnn- / *Ɂǐnn- 또는 *ǎnn- / *ǐnn- ‘우리’ | *nona / *nuna / *nina (북오모어군) | *Ɂǎnn- / *Ɂǐnn- ‘우리’ | — | inn, *ʲānan ‘우리’ | *Ɂnn ‘우리’ | nekni / necnin / neccin ‘우리’ |
*Ɂânt- / *Ɂînt- 또는 *ânt- / *înt- ‘너’ | *int- ‘너’ | *Ɂânt- ‘너’ | — | nt-, *ʲānt- ‘너’ | *Ɂnt ‘너’ | netta "그" (keyy / cek "너"(남성) ) |
*ku, *ka ‘너’ (남성 단수, 의존) | — | *ku ‘너의’ (남성 단수) (PSC) | *ka, *ku (남성 단수) | -k (2인칭 남성 단수) | -ka (2인칭 남성 단수 접미사) (아랍어) | inek / nnek / -k "너의" (남성 단수) |
*ki ‘너’ (여성 단수, 의존) | — | *ki ‘너의’ (여성 단수) | *ki ‘너’ (여성 단수) | -ṯ (여성 단수 접미사, < *ki) | -ki (2인칭 단수 여성 접미사. ) (아랍어) | -m / nnem / inem "너의" (여성 단수) |
*kūna ‘너희’ (의존) | — | *kuna ‘너희의’ (PSC) | *kun ‘너희’ | -ṯn, *-ṯin ‘너희’ | *-kn ‘너희, 너희의’(여성 복수) | -kent, kennint "너희" (여성 복수) |
*si, *isi ‘그, 그녀, 그것’ | *is- ‘그가’ | *Ɂusu ‘그가’, *Ɂisi ‘그녀가’ | *sV ‘그가’ | sw, *suw ‘그가, 그를’, sy, *siʲ ‘그녀가, 그녀를’ | *-šɁ ‘그가’, *-sɁ ‘그녀가’ (MSA) | -s / nnes / ines "그의/그녀의/그것의" |
*ma, *mi ‘무엇?’ | *ma- ‘무엇?’ (NOm) | *ma, *mi (의문사 어근) | *mi, *ma ‘무엇?’ | m ‘무엇?’, ‘누구?’ | mā (아랍어, 히브리어) / mu? (아시리아어) ‘무엇?’ | ma? / mayen? / min? "무엇?" |
*wa, *wi ‘무엇?’ | *w- ‘무엇?’ | *wä / *wɨ ‘무엇?’ (아가우어) | *wa ‘누구?’ | wy ‘어떻게...!’ | mamek? / mamec? / amek? "어떻게? | |
*dîm- / *dâm- ‘피’ | *dam- ‘피’ (공가어) | *dîm- / *dâm- ‘red’ | *d-m- ‘피’ (서차드어군) | i-dm-i ‘붉은 리넨’ | *dm / dǝma (아시리아어) / dom (히브리어) ‘피’ | idammen "피" |
*îts ‘형제’ | *itsim- ‘형제’ | *itsan or *isan ‘형제’ | *sin ‘형제’ | sn, *san ‘형제’ | aẖ (Hebrew) "형제" | uma / gʷma "형제" |
*sǔm / *sǐm- ‘이름’ | *sum(ts)- ‘이름’ (북오모어군) | *sǔm / *sǐm- ‘이름’ | *ṣǝm ‘이름’ | smi ‘보고하다 ,알리다’ | *ism (아랍어) / shǝma (아시리아어) ‘이름’ | isen / isem "이름" |
*-lisʼ- ‘핥다’ | litsʼ- ‘핥다’ (디메어 (남오모어군)) | — | *alǝsi ‘혀’ | ns, *nīs ‘혀’ | *lsn ‘혀’ | iles "혀" |
*-maaw- ‘죽다’ | — | *-umaaw- / *-am-w(t)- ‘죽다’ (소말리조어, 2단계) | *mǝtǝ ‘죽다’ | mwt ‘죽다’ | *mwt / mawta (아시리아어) ‘죽다’ | mmet "죽다" |
*-bǐn- ‘짓다, 만들다; 집’ | bin- ‘짓다, 만들다’ (디메어 (남오모어군)) | *mǐn- / *mǎn- ‘집’; man- ‘만들다’ (베자어) | *bn ‘짓다’; *bǝn- ‘집’ | — | *bnn / bani (아시리아어) / bana (히브리어) ‘짓다’ | *bn(?) (esk "짓다") |
수 | 아프리카아시아조어 형태 | 의미 | 베르베르어파 | 차드어파 | 쿠시어파 | 이집트어파 | 오모어파 | 셈어파 |
---|---|---|---|---|---|---|---|---|
1 | *ʔab | 아버지 | ✔ | ✔ | ✔ | ✔ | ||
2 | (ʔa-)bVr | 소 | ✔ | ✔ | ✔ | ✔ | ||
3 | (ʔa-)dVm | 붉다, 피 | ✔ | ✔ | ✔ | ✔ | ✔ | |
4 | *(ʔa-)dVm | 땅, 들, 흙 | ✔ | ✔ | ||||
5 | ʔa-pay- | 입 | ✔ | ✔ | ✔ | |||
6 | ʔigar/ *ḳʷar- | 집, 울타리 | ✔ | ✔ | ✔ | ✔ | ✔ | |
7 | *ʔil- | 눈 | ✔ | ✔ | ✔ | ✔ | ||
8 | (ʔi-)sim- | 이름 | ✔ | ✔ | ✔ | ✔ | ||
9 | *ʕayn- | 눈 | ✔ | ✔ | ||||
10 | *baʔ- | 가다 | ✔ | ✔ | ✔ | |||
11 | *bar- | 아들 | ✔ | ✔ | ✔ | |||
12 | *gamm- | 갈기, 턱수염 | ✔ | ✔ | ✔ | |||
13 | *gVn | 볼, 턱 | ✔ | ✔ | ||||
14 | *gʷarʕ- | 목구멍 | ✔ | ✔ | ✔ | |||
15 | *gʷinaʕ- | 손 | ✔ | ✔ | ||||
16 | *kVn- | 남편의 다른 아내 | ✔ | ✔ | ✔ | |||
17 | *kʷaly | 콩팥 | ✔ | ✔ | ✔ | ✔ | ||
18 | *ḳa(wa)l-/ *qʷar- | 말하다, 부르다 | ✔ | ✔ | ||||
19 | *ḳas- | 뼈 | ✔ | ✔ | ✔ | |||
20 | *libb | 심장 | ✔ | ✔ | ✔ | |||
21 | *lis- | 혀 | ✔ | ✔ | ✔ | |||
22 | *maʔ- | 물 | ✔ | ✔ | ✔ | ✔ | ||
23 | *mawVt- | 죽다 | ✔ | ✔ | ✔ | ✔ | ||
24 | *sin- | 이, 이빨 | ✔ | ✔ | ✔ | |||
25 | *siwan- | 알다 | ✔ | ✔ | ✔ | |||
26 | *inn- | 나, 우리 | ✔ | ✔ | ✔ | ✔ | ||
27 | *-k- | 너 | ✔ | ✔ | ✔ | ✔ | ||
28 | *zwr | 씨앗 | ✔ | ✔ | ||||
29 | *ŝVr | 뿌리 | ✔ | ✔ | ||||
30 | *šun | 자다, 꿈꾸다 | ✔ | ✔ | ||||
주요한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어원 사전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