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람어

언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아람어(ארמית / ܐܪܡܝܐ 아라마야 / 아라미트)는 한때 시리아, 메소포타미아에서 기원전 500년경부터 기원후 600년 무렵까지 고대 오리엔트 지역의 국제어로 사용되었으며, 아프로아시아어족셈어파의 북서셈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고대에는 아람 문자로 표기했으나, 현재는 아람 문자에서 파생된 시리아 문자를 쓴다.

간략 정보 사용 국가, 언어 인구 ...
아람어
ארמית(아라미트), ܐܪܡܝܐ(아라마야)
사용 국가 이라크 및 소수 국가들.
언어 인구 445,000여 명
언어 계통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파
  서셈어군
   중부셈어
    북서셈어
     아람어
공용어 및 표준
공용어로 쓰는 나라 없음.
언어 부호
ISO 639-2 arc
ISO 639-3 다수:
arc  성서 아람어
aii  아시리아 신아람어
aij  리샤니드 노샨어
amw  신 서아람어
bhn  보탄 신아람어
bjf  바르자니 유대 신아람어
cld  칼데아 신아람어
hrt  헤르테빈어
huy  훌라울라어
kqd  코이 산자크 수라트어
lhs  믈라소어
lsd  리샤나 데니어
mid  현대 만데아어
myz  고전 만데아어
sam  사마리아 아람어
syc  시리아어
syn  세나야어
tmr  유대 아람어
trg  리샨 디단어
tru  투로요어
닫기

기원전 1000년 전후에 아라비아 반도에서 출현한 아람인은 메소포타미아, 시리아 전역에 침투하여, 아람어는 그에 따라 화자 인구와 그 활동 범위를 한꺼번에 확대했다. 그 후 계속 아시리아, 신 바빌로니아, 아케메네스조 페르시아 등의 대제국에서도 아람어가 국제적인 공용어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고대 아람어 연구는 아시리아학의 기초가 되었다. 또한 갈릴리 지방에서 생활하였던 예수가 사용한 언어라고 한다.

중세에 사용이 쇠퇴하여 오늘날에는 시리아 정교회의 전례 언어로만 남아 있는 시리아어가 대표적이나, 시리아와 이라크에 걸쳐 사는 아시리아인들은 아직도 신아람어로 불리는 현대 아람어 방언들을 일상 언어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정확하게 쓰이는 아람어는 이미 현존하지 않은 오래전의 역사이다.

아람어의 방언

서방파방언에는 타나크의 아람어나 사마리아어, 예수가 쓰던 크리스트 팔레스티나 아람어 등이 있는데, 시리아레바논의 일부에서는 현재도 쓰이고 있다.

동방파방언에는 바빌로니아 탈무드, 시리아어·만데아어 등이 있고, 현재도 아르메니아메소포타미아, 중동의 일부에서 쓰인다.

제국 아람 알파벳

프란츠 로젠탈(독일어: Franz Rosenthal)은 A Grammar of Biblical Aramaic에서 기원전 5세기이집트에서 사용된 알파벳을 다음과 같이 기술하였다.

자세한 정보 글자 이름, 글자 형태 ...
글자 이름 글자 형태 히브리 문자 시리아 문자 음값
Ālaph א ܐ /ʔ/; /aː/, /eː/
Bēth ב ܒ /b/, /v/
Gāmal ג ܓ /ɡ/, /ɣ/
Dālath ד ܕ /d/, /ð/
ה ܗ /h/
Waw ו ܘ /w/; /oː/, /uː/
Zain ז ܙ /z/
Ḥēth ח ܚ /ħ/
Ṭēth ט ܛ emphatic /tˁ/
Yudh י ܝ /j/; /iː/, /eː/
Kāph כ ך ܟܟ /k/, /x/
Lāmadh ל ܠ /l/
Mim מ ם ܡܡ /m/
Nun נ ן ܢܢ ܢ /n/
Semkath ס ܣ /s/
‘Ē ע ܥ /ʕ/
פ ף ܦ /p/, /f/
Ṣādhē , צ ץ ܨ emphatic /sˤ/
Qoph ק ܩ /q/
Rēsh ר ܪ /r/
Shin ש ܫ /ʃ/
Tau ת ܬ /t/, /θ/
닫기

음운

홀소리

자세한 정보 전설, 후설 ...
닫기

닿소리

자세한 정보 입술소리, 치음 ...
닫기

같이 보기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