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 배출(영어: viral shedding)은 증식된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에로부터 외부로 퍼져나오는 현상을 의미한다. 충분히 증식되어 숙주세포가 숙주로서의 기능을 상실함에 따라 바이러스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배출된다.[1]

간략 정보
바이러스 생활사
Thumb
닫기

바이러스 배출은 세포 하나에서의 배출, 신체 한 부위에서 다른 부위로의 배출,[2] 신체에서 외부 환경으로의 배출 등을 의미한다.[3]

방식

출아

Thumb
바이러스 출아

외피바이러스는 출아를 통해 세포막에서 기원한 외피를 보유할 수 있다. 이러한 바이러스로는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 단순포진바이러스,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가 있다. 바이러스의 글루코실화된 뉴클레오캡시드가 숙주세포막과 상호작용하여 세포막에 붙은 후 세포막에 삽입된다. 바이러스가 성공적으로 출아를 마치기 위해서는 바이러스가 막단백질의 세포질로 돌출된 부위와 연결되어야한다.[4] 출아를 통해 세포막이 점진적으로 소비됨에 따라 세포는 서서히 죽어가는데, 일부 항바이러스 기작은 바로 세포의 이런 현상을 감지함으로써 일어난다.[5] 출아식 배출은 진핵생물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었으며 현재 고균원핵생물에서의 배출기작도 연구되고있다.[6]

아폽토시스

동물세포는 바이러스로부터 심한 공격을 받으면 자살하도록 짜여져있는데, 이를 통해 바이러스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아폽토시스는 단순히 세포가 터지는게 아니라 유전체를 쪼개어 수많은 소포로 나뉜 뒤 이를 대식세포가 처리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아폽토시스를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는 경우 대식세포를 감염시켜 신체의 다른 부분들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로를 따르는 바이러스는 대부분 외피가 없는 종류들이지만, 일부 외피 바이러스의 경우 이 경로를 따를 수도 있다.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는 때때로 이 경로를 통해 대식세포를 감염시키기도 한다.[7]

세포외배출

바이러스는 세포외배출을 통해 숙주세포를 파괴하지 않고 배출되기도 한다. 핵이나 엔도솜의 막에서 기원한 외피를 가지고 있는 바이러스들이 특히 이 배출방법을 따른다.[8] 복제된 바이러스들은 세포 내부에서 조립되어 소포를 통해 막으로 전달되고 방출된다. 이 방법을 따르는 바이러스는 대부분 외피가 없는 바이러스들이나, 일부 외피 바이러스 역시 이러한 방식을 통해 배출된다. 대표적인 예시로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가 있다.[9]

전염성

바이러스에 감염된 개체가 현재 바이러스 배출 단계에 놓여있다면, 그 개체는 전염력이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개체가 단위시간당 얼마나 많은 바이러스를 배출하느냐 하는 것이다. 생식기 헤르페스를 일으키는 HSV-2는 배출에 수반되는 발열 등의 증상이 없으며, 따라서 사람과 사람 사이에 바이러스가 퍼지는 것을 미리 찾아내기 어렵다.[10] 감염된 개체가 바이러스를 얼마나 오랫동안 배출하는지 역시 연구된다. 밀라노대학교의 한 연구팀은 A/H1N1/2009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배출이 젊은 사람에게서 더 길게 이루어진다는 것을 보였다. 그러나 어린이 양성 환자의 인두를 전수조사한 결과, 15세 이하의 경우 배출기간은 모두 비슷한 것으로 밝혀졌다. 바이러스 배출 기간은 대략 15일로 밝혀졌으며, 긴 기간에 따라 방역을 통한 예방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11]

각주

Wikiwand in your browser!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