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잡는꼬리(prehensile tail, grasping tail)는 어떤 물건을 움켜쥐거나 붙잡기 위해 적응한 꼬리다.[1] 완전한 잡는꼬리는 대상을 붙잡고 조작하고, 특히 수목성 생물이 나무 위에서 먹이를 찾아먹는 데 사용할 수 있다. 꼬리가 이걸 할 수 없다면 불완전한 잡는꼬리라고 부른다 - 이런꼬리는 보통 가지에 매달리거나 기어오르는 용도로 사용한다. 영어 단어 prehensile 은 "잡을 수 있는"이라는 의미이며, "잡는"이라는 뜻의 라틴어 단어 prehendere에서 유래하였다.[2]
잡는꼬리가 달린 동물의 분포는 흥미를 끌만한 요소다. 잡는꼬리는 대개 신세계, 그 중에서도 포유류가 가지고 있다.[1]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보다 남아메리카에 잡는꼬리를 지닌 동물이 훨씬 많다. 학자들은 잡는꼬리를 가진 동물이 남아메리카에 더 많은 이유는 삼림이 아프리카나 동남아시아보다 더 많기 때문이라고 논쟁해왔다.[3] 이와 대조적으로 동남아시아와 같이 듬성듬성한 삼림에서는 박쥐원숭이(en:colugos), 날뱀(en:flying snakes)같은 활강동물(en:Flying and gliding animals)이 더 흔하다; 남아메리카에서도 몇몇 활강하는 척추동물이 발견되기는 한다. 남아메리카의 우림은 덩굴나무가 더 많기도 한데, 아프리카와 아시아보다 덩굴나무를 먹어치울 큰 동물이 적기 때문이다; 덩굴이 무성하기 때문에 활강능력보다는 잡는꼬리가 더 실용적일 것이다.[4] 신기하게도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에는 잡는꼬리가 달린 포유류도, 활강할 수 있는 포유류도 많다; 사실 호주에 서식하는 모든 활강할 수 있는 포유류는 잡는꼬리가 나있다.
꼬리는 주로 척추동물의 특징이다; 하지만 전갈같은 몇몇 무척추동물도 꼬리와 비슷한 부속지(en:appendage)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척추동물만이 잡는꼬리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있다. 대부분의 잡는꼬리가 달린 포유류는 잡기 위한 맨살 부위가 있는데, 이를 '마찰판(friction pad)'이라고 부른다.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