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김씨
한국의 성씨 중 하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경주 김씨(慶州 金氏)는 경상북도 경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혹칭 계림 김씨 또는 신라 김씨라 한다. 시조는 신라 대보공(大輔公) 김알지(金閼智)이다.
역사
《삼국사기》에 의하면, 탈해 이사금 9년(65년)에 왕이 금성 서쪽 시림속에서 닭이 우는 소리를 듣고 신하 호공을 보내 살펴보게 하니, 숲속 소나무에 금궤가 걸려 있고 궤에서 빛이 나오며 흰 닭이 나무 밑에서 울고 있었다. 왕이 친히 가서 금궤를 열어 보니 용모가 수려한 사내아이가 나왔다.
탈해왕은 이 아이를 길렀는데 금궤에서 나왔다고 해서 성을 김이라 했으며, 성장하면서 총명하고 지략이 뛰어나 알지라 불렀다고 한다.[1]
《삼국사기》〈미추왕조〉 세보에 의하면 알지가 세한을 낳고, 세한이 아도, 아도가 수류, 수류가 욱보, 욱보가 구도를 낳고, 구도는 미추를 낳았다고 하였다. 김알지의 7대손인 미추 이사금이 비로소 김씨 최초 왕에 즉위하였는데, 그가 신라 13대 왕이다. 이후 56대 경순왕까지 신라 왕조가 계속되었다.
본관
경주는 경상북도 남동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기원전 57년 6촌이 연합하여 고대국가를 형성하고 국호를 서라벌·사로·사라라 하고, 수도를 금성이라 하였다. 65년(탈해왕 9) 시림에서 김씨의 시조 김알지가 탄생하여 국호를 계림으로 삼았다가, 307년(기림왕 10)에 국호를 신라로 하였다.
935년(태조 18) 신라 마지막 왕인 경순왕이 고려 태조 왕건에 정권을 이양하자, 금성을 경주로 개칭하고 식읍으로 주어 사심관으로 봉했다. 이때 금성이 경주라는 명칭으로 바뀌었다.
987년(성종 6) 동경으로 개칭하고 1008년(목종 11) 낙랑군이라 개칭하다가 1030년(현종 21) 삼경의 제도가 실시되자 동경을 설치하였으며 1202년(신종 5) 경주 야별초의 항쟁으로 지경주사로 강등되었다가 1219년(고종 6) 동경으로 환원되었다. 1308년(충렬왕 10) 계림부로 개편하였다.
1413년(태종 13) 경주로 개칭하고, 1415년 병마절도사영을 두었다가 1417년 울산으로 이전하였다. 1637년(인조 15)에 속현인 자인현이 분리 독립하였다. 1895년(고종 32) 대구부 경주군이 되었다가, 1955년 경주읍과 내동면 전역, 천북면과 내남면 일부가 통합되어 경주시로 승격되었다.
분파
요약
관점
조선후기 들어와서 경순왕이 고려에 항복 후 맞아들인 고려 태조의 딸인 낙랑공주 왕씨 소생의 후손이라 주장하는 김씨들이 경주를 본관으로 하여 분파하였다. 이들은 후대로 내려오면서 수십 개의 지파로 나누어졌다.
삼한벽상공신 내사령공파
평장사공파
태사공파
- 파조 김인관(金仁琯)은 헌강왕의 후예로 고려 예종 때 검교태자태사를 역임했다.[4] 5세손 김자수는 안동출신으로 고려조에 문과에 급제하고 충청도 관찰사, 형조판서를 역임하였다.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에 은거하였는데 조선 태종이 형조 판서를 제배하며 출사를 종용하였으나 자진하여 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켰다. 호가 상촌이다. 안동 타양서원, 영동 초강서원, 음성 지천서원, 등 여러 서원에 배향되었다. 김자수의 현손 김세필은 문과 급제 후 이조 참판)이었으며 호당에 뽑혔다. 기묘년에 사화를 입어 관직을 종용하고, 음성에 은거하여 후학을 양성하였다. 시호가 문간이며, 지천서원에 배향되었다.
판도판서공파
장군공파
계림군파
호장공파
상서공파
목사공파
판서공파
판서공파
직장공파
- 파조 김수구(金壽龜)는 상의원 직장을 역임했다.[14]
상호군파
지파
- 벽상공신내사령공파
- 두계공파(杜溪公派) - 평장사 김인경의 현손 김충유[16]
- 수은공파(樹隱公派) - 정숙공 김인경의 현손 김충한
- 시어사공파(侍御使公派) - 정숙공 김인경의 현손 김충보
- 참찬공파(參贊公派) - 정숙공 김인경의 현손 김충익
- 밀직공파(密直公派) - 정숙공 김인경의 현손 김충원
- 병판공파(兵判公派) - 정숙공 김인경의 현손 김남보
- 판삼사사공파(判三司事公派) - 정숙공 김인경의 현손 김남비
- 월성부원군파(月城府院君派) - 정숙공 김인경의 6세손 김천서
- 강릉공파(江陵公派) - 정숙공 김인경의 현손 김충하
- 부사공파(府使公派) - 정숙공 김인경의 현손 김상한
- 현감공파(縣監公派) - 정숙공 김인경의 현손 김정심
- 평장사공파
- 병판공파(兵判公派) - 평장사 김봉모의 후손 김덕재
- 백촌공파(白村公派) - 평장사 김봉모의 후손 김문기
- 익화군파(益和君派) - 평장사 김봉모의 후손 김인찬
- 충선공파(忠宣公派) - 평장사 김봉모의 후손 김혼
- 참판공파(參判公派) - 평장사 김봉모의 후손 김광재
- 태사공파(太師公派)
- 전서공파(典書公派) - 태사공 김인관의 9세손 김자정
- 상촌공파(桑村公派) - 태사공 김인관의 9세손 김자수
- 우재공파(愚齋公派) - 태사공 김인관의 10세손 김한
- 송재공파(松齋公派) - 태사공 김인관의 11세손 김수량
- 도사공파(都事公派) - 태사공 김인관의 후손 김초
- 감사공파(監司公派) - 태사공 김인관의 후손이자
- 판관공파(判官公派) - 태사공 김인관의 후손 김영년
- 좌랑공파(佐郞公派) - 태사공 김인관의 후손 김영원
- 사승공파(司丞公派) - 태사공 김인관의 후손 김영전
- 공평공파(恭平公派) - 태사공 김인관의 후손 김영유
- 남곡공파(南谷公派) - 태사공 김인관의 16세손 김의[17]
- 판도판서공파
- 판군기감사공파(判軍器監事公派) - 판서공 김장유의 손자 김을식
- 감사공파(監司公派) - 판서공 김장유의 손자 김을돈
- 직장공파(直長公派) - 판서공 김장유의 손자 김을당
- 공조판서공파(工曹判書公派) - 판서공 김장유의 손자 김을귀
- 이조판서공파(吏曹判書公派) - 판서공 김장유의 손자 김원기
- 호장공파
- 태사공파(太射公派) - 호장 김위영의 손자 김부일
- 중서령공파(中書令公派) - 호장 김위영의 손자 김부식
- 사공공파(司空公派) - 호장 김위영의 손자 김부의
집성촌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송동면 두신리 두곡마을
- 경기도 평택시 현덕면 운정리 구억촌
-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도웅리
-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오전리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금동리
-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창대리
- 경기도 이천시 신둔면 용면리
-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서화면 일원
-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현북면 하광정리
-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종곡리
- 충청북도 영동군 심천면 각계리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외천리
-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면 죽청리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대박리
-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나포면 장상리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송동면 장포리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무장면 옥산리
-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팔덕면 청계리
-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삼계면
-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평동
-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봉암리
- 전라남도 곡성군 석곡면 염곡리
- 전라남도 담양군 무정면 서흥리 용면 추성리
- 전라남도 보성군 조성면 용전리
-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신성리
-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덕재리
-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면 왕릉리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구련리
-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눌곡리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봉계리
- 경상북도 영천시 자양면 노항리
-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벌지리
- 경상남도 진주시 명석면 남성리 남성마을
-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초음리
- 경상남도 함안군 대산면 구혜리
- 평안북도 운산군 위연면 답상하동
- 평안북도 영변군 봉산면 귀산동
- 함경남도 정평군 신상면 복흥동
-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작촌리
항렬자
- 영분공파, 대안군파(파조로 1세)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42세 | 43세 | 44세 | 45세 | 46세 | 47세 | 48세 | 49세 | 50세 | 51세 | 52세 | 53세 | 54세 | 55세 | 56세 | 57세 | 58세 | 59세 | 60세 |
---|---|---|---|---|---|---|---|---|---|---|---|---|---|---|---|---|---|---|---|---|---|---|---|---|---|---|---|---|---|
호(鎬) 전(銓) | 口수(洙) 口영(永) | 동(東) 병(柄) | 口렬(烈) 口걸(杰) | 규(奎) 효(孝) | 口현(鉉) 口흠(欽) | 홍(洪) 영(泳) | 口식(植) 口수(秀) | 훈(勳) 병(炳) | 口중(重) 口곤(坤) | 종(鍾) 건(鍵) | 口락(洛) 口태(泰) | 주(株) 권(權) | 口혁(赫) 口엽(燁) | 재(在) 교(敎) | 口옥(鈺) 口석(錫) | 철(澈) 하(河) | 口근(根) 口영(榮) | 희(熙) 경(炅) | 口기(基) 口채(埰) | 용(鎔) 진(鎭) | 口준(浚) 口호(浩) | 상(相) 동(東) | 口환(煥) 口섭(燮) | 성(聲) 재(載) | 口수(銖) 口탁(鐸) | 해(海) 제(濟) | 口집(集) 口표(杓) | 현(炫) 형(炯) | 口희(禧) 口철(喆) |
- 태사공파 상촌공파(파조로 1세)
13세 21세 | 14세 22세 | 15세 23세 | 16세 24세 | 17세 25세 | 18세 26세 | 19세 27세 | 20세 28세 | 21세 29세 | 22세 30세 | 23세 31세 | 24세 32세 | 25세 33세 | 26세 34세 | 27세 35세 | 28세 36세 | 29세 37세 | 30세 38세 | 31세 39세 | 32세 40세 | 33세 41세 |
---|---|---|---|---|---|---|---|---|---|---|---|---|---|---|---|---|---|---|---|---|
한(漢) | 口주(柱) | 노(魯) | 口재(載) 口희(喜) 수(秀) | 상(商) 용(容) | 口제(濟) 口호(浩) 교(敎) | 동(東) 口원(元) 口호(鎬) | 口환(煥) 口열(烈) 口익(翼) 홍(鴻) | 기(基) 주(周) 口집(執) 口식(植) | 口호(鎬) 口종(鍾) 병(炳) | 연(淵) 택(澤) 口규(圭) | 口직(稙) 口목(穆) | 병(丙) 창(昌) 口준(浚) | 口규(奎) 춘(椿) | 선(善) 진(鎭) | 口구(求) 口세(世) | 인(寅) 영(營) | 口하(夏) 口연(然) | 정(廷) 준(埈) | 口석(錫) 口현(鉉) | 용(溶) 태(泰) |
- 평장사공파 예의판서공파(파조로 1세)
20세 | 21세 | 22세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
口선(善) 상(相) | 口병(炳) 口노(魯) 口섭(燮) | 규(奎) 규(圭) 헌(憲) | 口진(晉) 口조(釣) 口진(鎭) | 영(泳) 낙(洛) 철(澈) | 口락(樂) 口동(東) 口식(植) | 희(熙) 병(炳) 환(煥) | 口채(埰) 口주(周) 口기(基) | 석(錫) 현(鉉) | 口준(準) 口식(湜) 口한(漢) | 주(柱) 모(模) | 口훈(勳) 口찬(燦) | 철(喆) 재(在) | 口종(鍾) 口용(鎔) | 하(河) 제(濟) | 口근(根) 口림(林) | 돈(焞) 형(炯) | 식(埴) 준(埈) | 정(鉦) 호(鎬) |
- 장군공파 계림군파(파조로 1세)
16세 | 17세 | 18세 | 19세 | 20세 | 21세 | 22세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
口집(集) | 口희(熙) 口원(遠) | 교(敎) 口상(商) | 정(正) | 口식(植) 口경(經) | 학(學) 지(知) | 口기(基) 口식(式) | 진(鎭) 시(是) | 口수(洙) 口우(友) | 상(相) 주(胄) | 口환(煥) | 규(奎) | 口현(鉉) | 해(海) | 口표(杓) | 병(炳) | 口배(培) | 석(錫) | 口한(漢) | 주(柱) | 口변(變) 口섭(燮) | 길(吉) | 口옥(鈺) | 윤(潤) |
- 판도판서공파(파조로 1세)
16세 | 17세 | 18세 | 19세 | 20세 | 21세 | 22세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
상(商) | 口태(泰) 口정(鼎) | 수(秀) | 口희(熙) | 기(基) 재(在) | 口구(九) 口호(鎬) 口현(鉉) | 홍(洪) 영(永) 한(漢) | 口식(植) 口환(桓) 口모(模) | 응(應) 병(炳) | 口규(圭) | 진(鎭) | 口호(浩) | 동(東) | 口렬(烈) | 재(載) | 口석(錫) | 낙(洛) | 口근(根) | 용(容) | 口균(均) | 종(鍾) | 口한(漢) | 영(榮) | 口환(煥) |
왕실과의 인척 관계
고려
조선
인구
- 1985년 361,189가구 1,523,469명
- 2000년 542,018가구 1,736,798명
- 2015년 경주 김씨 1,800,853명 + 월성 김씨 87,268명 = 1,888,121명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