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여천역
한국철도공사 전라선의 철도역 중 하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여천역(Yeocheon station, 麗川驛)은 전라남도 여수시 여천동에 있는 전라선의 철도역이다.
Remove ads
Remove ads
개요
본래 쌍봉면에 속하여 쌍봉역이라 했으나, 1986년에 여천시로 승격되면서 여천역으로 역명을 변경하였다. 하루 1왕복 KTX 열차를 제외한 전라선의 모든 열차가 정차한다. 구 역사는 승강장이 역사보다 높이 있었고, 1면 1선의 단선 승강장으로 운영되었다.
역 이름에 여수가 들어간 여수엑스포역보다 이 역이 여수시의 중심과 더 가까우며 역명판에 (여수)라고 병기되어 있다.
이용객이 여수엑스포역보다 많다고 여러 곳에 기술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나 이는 사실과는 다르다. 여천역은 여객 운행 취급 이래 여수엑스포역보다 연간 이용객수가 많은 적이 한 번도 없다. 2009년 여천역의 이용객 수는 40만여명, 여수엑스포역이 58만여명으로 여수엑스포역이 압도적으로 이용객이 많다.
이는 구 여수 지역이 통합 당시 압도적인 인구를 보였고 삼려 통합 당시 구 여천시의 대중교통보다는 구 여수시의 대중교통이 약간 더 편리했던 점, 여수엑스포역을 오갔던 과거 2번 버스의 배차가 상당히 많았던 점 등이 원인이 되어 구 여수민들이 여수엑스포역을 이용하는 관성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표적인 여수 관광지인 오동도와 향일암, 거문도 등이 여수엑스포역에서 접근성이 편리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 외 신설 여천역 부근의 버스터미널 이전에 관한 일부 논의가 있었으나, 이전에 관한 공식적인 입장은 별도로 나타나 있지 않다.
전라선 복선 전철화 사업 완료로 석창사거리 인근으로 이전되었다.
Remove ads
연혁
- 1930년 12월 25일 : 쌍봉역(雙鳳驛,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 개시[1]
- 1944년 6월 15일 : 폐지[2]
- 1947년 2월 1일 : 역원무배치간이역으로 부활[3]
- 1952년 12월 20일 : 역원배치간이역으로 승격[4]
- 1972년 2월 20일 : 을종위탁발매소로 격하
- 1985년 12월 26일 : 보통역으로 승격과 여천역으로 역명 변경[5]
- 1988년 7월 1일 : 여객승강장 연장(250m)
- 2006년 5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6]
- 2011년 4월 5일 : 순천~여수엑스포 구간 선로 이설로 역사를 여천동으로 이전[7]
- 2011년 10월 5일 : KTX 운행 개시
- 2013년 9월 27일 : 남도해양열차 정차 개시
- 2014년 6월 1일 : 남도해양열차 취급 중단, ITX-새마을 운행 개시
- 2016년 12월 9일 : 누리로 운행개시
- 2018년 6월 30일 : 누리로 운행 종료
- 2018년 7월 1일 : 충북선 누리로 재운행으로 전라선 1501,1512열차는 무궁화호로 변경 운행 개시
- 2023년 9월 1일 : ITX-마음 운행 개시
- 2023년 9월 1일 : SRT 정차 개시
Remove ads
역 구조
승강장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용된다.
승강장
↑순천 |
12 | | 34 | |
여수엑스포↓ |
1 | 전라선 | 사용하지 않음 |
---|---|---|
2 | KTX · SRT 용산 · 수서 · 오송 · 서대전 · 익산 · 순천 · 전주 · 남원 방면 | |
3 | KTX · SRT 여수엑스포 방면 | |
4 | 사용하지 않음 |
사진
- 여천역 구 역사(전경)
인접한 역
Remove ads
특이 사항
- 구 역사의 역전이 TV 드라마 촬영지로 사용되었다. SBS 수목 미니시리즈 《대물》 2회 2010년 10월 7일에 나왔다.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