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6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신라 6부(新羅 六部)는 신라에 있었던 6개의 부이다. 삼국사기에는 진한 6촌이 그 기원이라 전하며, 사로국을 이루었다 하여 사로 6촌이라고도 한다. 현재 한반도 동남쪽에 있었던 부족연맹체 진한에서 신라의 기반이 된 서라벌의 여섯 부락이며, 씨족 집단으로 육촌(六村) 또는 육부촌(六部村)이라고도 한다.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따르면, 고조선의 유민이 나뉘어 살며 생겨났다고 하였다.[1] 유리 이사금이 서기 32년에 각 촌(村)을 부(部)로 바꾸었다고 전한다.[2]
신라 6부는 이후 신라의 국정운영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했으며, 6부 바깥의 이들을 노인(奴人)이라 하기도 하였다. 6부소감전(六部小監典)이라는 관청이 설치되어 행정 업무를 맡았다.
개요
요약
관점
사로 6촌 | 알천 양산촌
<閼川 楊山村> |
돌산 고허촌
<突山 高墟村> |
취산 진지촌
<嘴山 珍支村> |
무산 대수촌
<茂山 大樹村> |
금산 가리촌
<金山 加利村> |
명활산 고야촌
<明活山 高耶村> |
---|---|---|---|---|---|---|
열거 순서
(삼국사기)[3] |
1 | 2 | 3 | 4 | 5 | 6 |
열거 순서
(삼국유사) |
1 | 2 | 4 | 3 | 5 | 6 |
6부 (문헌)[2] | (급)양부<(及)梁部> | 사량부<沙梁部> | 본피부<本彼部> | 모량부<牟梁部>
점량부<漸梁部> |
한기부<漢祇部> | 습비부<習比部> |
6부 (금석문) | 훼부<喙部> | 사훼부<沙喙部> | 본피부<本彼部>
본파훼(부)<本波喙> |
모훼부<牟喙部>
잠훼부<岑喙部> 모단벌훼(부)<牟旦伐喙> |
한지부<漢只部>
한지벌부<漢只伐部> |
사피부<斯彼部> |
성씨 (삼국사기) | 이<李> | 최<崔> | 정<鄭> | 손<孫> | 배<裵> | 설<薛> |
성씨 (삼국유사) | 이<李> | 정<鄭> | 최<崔> | 손<孫> | 배<裵> | 설<薛> |
촌장 | 알평<謁平> | 소벌도리<蘇伐都利> | 지백호<智伯虎> | 구례마<俱禮馬> | 지타<祗沱> | 호진<虎珍> |
강림 위치 | 표암봉<瓢嵓峰> | 형산<兄山> | 화산<花山> | 이산<伊山> | 명활산<明活山> | 금강산<金剛山> |
경주6부 | 중흥부<中興部> | 남산부<南山部> | 통선부<通仙部> | 장복부<長福部> | 가덕부<加德部> | 임천부<臨川部> |
삼국유사 기이 | 어머니 | 아버지 | 딸 |
일찍이 진한 땅에 골짜기마다 조선의 유민들이 흩어져 살았는데, 6촌이 있었다. 6촌의 촌장들이 모여 박혁거세를 맞아 '사로(斯盧)'의 왕으로 받들어 진한 12소국의 하나인 사로 6촌이 되고, 점차 신라 6부로 발전하였다. 이들이 나중에 그 공으로 각기의 성(姓)을 받아 신라 6성을 이루었다고 전하고 있다.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한 이후에는 경주 6부로 개편되었다.
사로 6촌의 촌장들은 처음 표암봉(瓢嵒峰)에 내려온 알천 양산촌장 알평(謁平), 형산(兄山)에 내려온 고허촌장 소벌도리[4](蘇伐都利), 화산(花山)에 내려온 진지촌장 지백호(智伯虎), 이산(伊山)에 내려온 대수촌장 구례마(俱禮馬), 명활산(明活山)에 내려온 가리촌장 지타(祉陀), 금강산(金剛山)에 내려온 고야촌장 호진(虎珍, 설거백)을 말한다.
사로 6촌
“ | 이보다 앞서 조선 유민들이 산곡 사이에 나뉘어 살아 6촌을 이루었으며 이것이 진한 6부가 되었다 | ” |
— 《삼국사기》 〈신라본기〉 |
알천 양산촌
알천[5] 양산촌의 남쪽은 고려시대의 담엄사이다. 고려시대의 파잠(波潛)·동산(東山)·피상(彼上)·동촌(東村)이 여기에 속한다.[6]
- 경주시 동방(東方), 인왕(仁旺), 구황(九黃), 노동(路東), 노서(路西), 동부(東部), 성동(城東), 성건동(城乾洞) 일대.
돌산 고허촌
고려시대의 구량벌(仇良伐) · 마등오(麻等烏) · 도북(道北)· 회덕(廻德) 등 남촌(南村)이 여기에 속한다.[7]
- 경주시 배동(拜洞), 내남면 덕천리, 울주군 두서(斗西), 두동면(斗東面) 일대.
취산 진지촌
진지(또는 빈지, 빈자, 영지)촌이다. 고려시대의 시파 등 동남촌이 여기에 속한다.[8]
- 경주시 진현동(進峴洞), 외동읍(外東邑) 일대.
무산 대수촌
무산[9] 대수촌[10]은 고려시대의 박곡촌(朴谷村) 등 서촌(西村)[11]이 여기에 속한다.[12]
- 경주시 현곡면(見谷面) 일대.
금산 가리촌
고려시대의 금강산 백률사의 북쪽 산이다. 고려시대의 상ㆍ하서지(上下西知) · 내아(乃兒) 등 동촌(東村)이 여기에 속한다.[13]
- 경주시 감포읍(甘浦邑) 양남(陽南). 양북면(陽北面) 일대.
명활산 고야촌
고려시대의 물이촌(勿伊村) ·잉구미촌(仍仇旀村) · 궐곡(閼谷, 또는 갈곡(葛谷)) 등 동북촌(東北村)이 여기에 속한다.[14]
- 경주시 천북면(川北面) 화산(花山), 물천(勿川) 동산리(東山里) 일대.
신라 6부
사로가 신라로 발전하면서 6촌은 6부로 자리잡았다.
- 양산촌은 급량부(及梁部, 또는 양부(梁部)),
- 고허촌은 사량부(沙梁部, 또는 사탁부(沙啄部)),
- 진지촌은 본피부(本彼部),
- 대수촌은 점량부(漸梁部, 또는 모량[16](牟良, 牟梁)),
- 가리촌은 한기부(漢歧部, 또는 한지부(漢祗部)),
- 고야촌은 습비부(習比部)로 자리잡아 신라의 6부로 발전했다.
양산촌, 고허촌, 진지촌은 왕경 내에 있었고, 대수촌, 가리촌, 고야촌은 외곽 지역에 있었던 것으로 비정된다. 왕경 내의 양산촌, 고허촌, 진지촌이 세력이 컸을 것이고, 그 중에서도 초기에는 양산촌이 중추로 있다가 6부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양산촌인 양부와 고허촌인 사량부와 진지촌인 본피부가 핵심적 역할을 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18][19]
금석문에 나타나는 6부명과 그에 대한 대응은 이렇다. 1차사료인 금석문에서 훼(喙) 글자가 고려시대에 편찬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는 량(梁)이라 적혔다.
- 훼부<喙部> = 양부<梁部>
- 사훼부<沙喙部> = 사량부<沙梁部>
- 본피부<本彼部>, 본파훼<本波喙> = 본피부<本彼部>
- 잠훼부<岑喙部>, 모훼부<牟喙部>, 모단벌훼<牟旦伐喙> = 모량부<牟梁部>, 점량부<漸梁部>
- 한지부<漢只部>, 한지벌부<漢只伐部> = 한기부<漢祇部>
- 사피부<斯彼部> = 습비부<習比部>
신라 6성
서기 32년(유리왕 9) 6부의 후손들이 알평은 이씨(李氏), 소벌도리는 최씨(崔氏), 지백호는 정씨(鄭氏), 구례마는 손씨(孫氏), 지타는 배씨(裵氏), 호진은 설씨(薛氏)를 성씨(姓氏)로 받아[20] 각 성씨의 시조가 되었고, 뒤에 후손들이 모두 계림(鷄林, 경주)을 본관으로 삼았다고 한다.[21]
경주 6부
고려가 통일한 뒤인 940년(고려태조 23)에 '경주'(慶州)라는 이름과 함께 급량부는 중흥부(中興府), 사량부는 남산부(南山部), 본피부는 통선부(通仙部), 점량부는 장복부(長福部), 한기부는 가덕부(加德部), 습비부는 임천부(臨川部)로 개편되었다.
각주
같이 보기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