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AI tools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측도론에서 시그마 대수(σ代數, 영어: sigma-algebra)는 가산 상한과 하한을 갖는 불 대수이다. 시그마 대수의 원소 위에 측도를 정의할 수 있다.
불 대수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불 대수를 (추상적) 시그마 대수(영어: (abstract) sigma-algebra)라고 한다.[1]:§2.3[2]:Definition 1
두 시그마 대수 , 사이의 시그마 대수 준동형(영어: sigma-algebra homomorphism) 은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함수이다.
시그마 대수와 시그마 대수 준동형은 구체적 범주 를 이룬다.
시그마 대수 의 시그마 아이디얼(영어: sigma-ideal)은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순서 아이디얼 이다.[1]:Definition 2.3.7
불 대수는 가환환을 이루며, 불 대수의 순서 아이디얼은 아이디얼을 이룬다. 따라서 몫 불 대수 를 정의할 수 있으며, 가 시그마 아이디얼이라면 이는 시그마 대수를 이룬다. 이를 몫 시그마 대수 라고 한다.[1]:Definition 2.3.7
다음과 같은 함의 관계가 성립한다.
시그마 대수 의 원소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2]:(1)
기수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3][4][5]
특히, 무한 시그마 대수의 크기는 항상 이상이며, 가산 무한 시그마 대수는 존재하지 않는다. (직접적으로, 이는 모든 무한 불 대수는 가산 무한 반사슬을 갖는데, 가산 완비성에 따라 이 반사슬의 부분 집합들의 상한(또는 하한)들의 수는 이기 때문이다.)
특히, 모든 유한 시그마 대수는 (유한 불 대수이므로) 그 크기가 2의 거듭제곱이며, 어떤 유한 집합 의 멱집합 와 동형이다.
루미스-시코르스키 표현 정리(Loomis-Sikorski表現定理, 영어: Loomis–Sikorski representation theorem)에 따르면, 임의의 (추상적) 시그마 대수 에 대하여,
가 되는
가 존재한다.[1]:2.3.10[6]:167, Theorem 5.8[7]:255, Theorem XI.3[8]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 아닐 수 있다. 즉, 멱집합의 부분 시그마 대수로 나타낼 수 없는 시그마 대수가 존재한다.
시그마 대수의 범주는 (가산 무한 개의 항을 가진 연산을 갖는) 대수 구조 다양체 범주이므로, 완비 범주이자 쌍대 완비 범주이며, 또한 자유 시그마 대수가 존재한다.
집합 의 멱집합은 완비 불 대수이므로 시그마 대수이다.
가측 공간 에서, 는 정의에 따라 의 부분 시그마 대수이다.
은 의 시그마 아이디얼을 이루며, 는 시그마 대수를 이룬다.
폐구간의 보렐 시그마 대수 에서, 르베그 측도가 0인 보렐 집합들의 족은 시그마 아이디얼 을 이룬다. 그 몫 시그마 대수 는 멱집합 시그마 대수의 부분 시그마 대수로 나타낼 수 없다.[1]:Proposition 2.3.9
"시그마 대수"라는 이름에서, 시그마(σ)는 "가산 무한"을 뜻한다.[9]:Remark 1.4.13 즉, 임의의 불 대수에서 유한 집합의 상한·하한이 존재하는 조건을 가산 집합으로 강화한 것이다.
루미스-시코르스키 표현 정리는 린 해럴드 루미스(영어: Lynn Harold Loomis, 1915~1994)[8]와 로만 시코르스키(폴란드어: Roman Sikorski, 1925~1983)[10]:256, Theorem 5.3가 증명하였다.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