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설

절기 중 하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대설(大雪)은 24절기의 21번째로, 태양 황경이 255도가 되는 때를 말한다. 이 무렵 많은 눈이 내린다 하여 이런 이름이 붙었다. 그러나 이는 중국 화북 지방의 기후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한국의 경우 눈이 많이 오지 않고 넘어가는 경우도 잦다. 한국에서는 12월보다 오히려 1월이나 2월에 평균적으로 더 많은 눈이 내린다. 아무튼 한국에서는 이때 눈이 많이 오면 이듬해 풍년이 든다는 속설이 있는데, 이는 눈이 많이 덮인 보리밭에서는 보온이 잘 되어 보리 싹이 눈 아래에서 따뜻한 겨울을 날 수 있기 때문에 그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양력으로는 12월 7일 또는 12월 8일에 해당한다. 기간으로서의 의미도 있어, 이 날에서 다음 절기의 동지 전날까지이다.

계절

이 격렬하게 내리기 시작하는 무렵. 「역편람」에서는 「눈 드디어 내려 거듭하는 때에 되었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방어 등 겨울철 물고기 잡이가 활발하고, 동면에 들어가고, 남천의 열매가 붉게 물이 드는 무렵이다.

72후

폭설 기간의 72후는 이하대로.

초후
폐새성동(閉塞成冬): 천지의 기분이 차 겨울이 된다 (일본)
할단불명(鶡鴠不鳴): 할단새가 울지 않게 된다 (중국)
차후
웅칩혈(熊蟄穴): 이 동면을 위해 구멍에 숨는다 (일본)
호시교(虎始交): 호랑이가 교미를 시작한다 (중국)
말후
궐어군(鱖魚群): 연어가 모여 강을 오른다 (일본)
여정생(荔挺生): 타래붓꽃이 싹 트기 시작한다 (중국)

기타

각주

같이 보기

참고 문헌 및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