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AI tools
한국의 성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김해 허씨(金海 許氏)는 경상남도 김해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나라 | 한국 |
---|---|
관향 | 경상남도 김해시 |
시조 | 허염(許琰) |
집성촌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주북리 경상남도 진주시 지수면 승산리 경상남도 의령군 경상남도 고성군 마암면 장산리 경상남도 김해시 회현동 경상남도 김해시 삼문동 경상북도 고령군 개진면 구곡리 |
주요 인물 | 허유전, 허백기, 허위, 허만정, 허진, 허정, 허형식, 허정구, 허형구, 허정훈, 허삼수, 허대범, 허남훈, 허화평, 허삼수, 허문도, 허경구, 허동수, 허태열, 허성관, 허창수, 허남식, 허경영, 허범도, 허원제, 허준영, 허기도, 허성무, 허태웅, 허준우 |
인구(2015년) | 134,068명 |
가락국 수로왕의 왕비 허황옥(許黃玉)을 기원으로 한다. 허황옥은 원래 인도 아유타국(阿踰陀國)의 공주로서 서기 48년 16세 때 배를 타고 지금의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용원동에 있는 부인당(夫人唐)으로 들어와 정박을 했는데 수로왕이 의장(儀仗)을 갖추어 영접한 후 왕비로 맞이했다고 한다. 그 후 아들 10명을 낳았는데, 맏아들 거등(居登)은 김씨로 왕통을 잇게 하고, 두 아들은 허황후의 성(姓)을 따서 허씨(許氏)로 사성(賜姓)했으며, 나머지 일곱 아들은 불가에 귀의하여 하동칠불(河東七佛)로 성불하였다는 전설이 있다.
허황옥의 후손으로 공암현에서 부농으로 세거했던 허선문(許宣文)의 후손은 공암(孔巖), 허사문(許士文)의 후손은 태인(泰仁), 33세손 허강안(許康安)의 후손은 하양(河陽), 35세손 허염(許琰)의 후손은 김해(金海)로 분관(分貫)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왔다고 한다.
김해 허씨(金海 許氏)의 시조 허염(許琰)은 가락국 수로왕비인 허황옥(許黃玉)의 35세손으로 전하며, 둘째 왕자인 거칠군(居漆君)의 후손이다. 그는 고려 중엽 삼중대광(三重大匡)이며, 가락군(駕洛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그의 아들 허군언(許君彦)은 병부시랑(兵部侍郞)이고, 손자 허자(許資)는 병부상서(兵部尙書)이며, 허자가 세 아들을 두었으니 장자는 허송죽(許松竹)은 병부시랑, 둘째 허연(許延)은 밀직사사(密直司事), 셋째 허징(許澄)은 상경(上卿)이었다.
4세손 허송죽(許松竹) 후손인 허대현(許大賢)을 파조로 하는 상서공파(尙書公派), 4세손 휘 허연(許延)의 장자 허인전(許仁全)을 파조로 하는 가락군파와 4자 허유전(許有全)을 파조하는 시중(侍中)공파, 4세손 허징(許澄)을 파조로 하는 징(澄)파 등 4개 파로 크게 분파되었다.
김해 허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6명을 배출하였다.
김해(金海)는 경상남도 김해시의 지명이다. 낙동강(洛東江) 하구 남서쪽에 위치하여 가락국(駕洛國)의 중심지로 발전하여 왔다. 532년(신라 법흥왕 19) 신라에 병합되어 금관군(金官郡)이 되었다. 680년(문무왕 20)에 금관소경(金官小京)이 되었다가, 757년(경덕왕 16) 김해소경(金海小京)으로 바꾸어 양주(良州)의 관할로 두었다. 940년(고려 태조 23) 김해부(金海府)로 개칭되었고 임해현(臨海縣)으로 다시 강등되었다가 곧 임해군으로 승격되었다. 995년(성종 14)에 김해안동도호부(金海安東都護府)로 개칭하여 영동도(嶺東道)에 속하였다가 1012년(현종 4) 김해군방어사로 강등되었으나 1018년부터 의안군(義安郡: 昌原)·함안군(咸安郡)·칠원현(漆原縣: 漆原面)·웅신현(熊神縣: 鎭海)등을 영현으로 삼았다. 1270년(원종 11) 방어사(防禦使) 김훤이 인접지역인 밀성(密城)의 난을 평정하여 김녕도호부(金寧都護府)로 승격되었다가 1293년(충렬왕 19) 현으로 강등되었다. 1308년 금주목(金州牧)으로 승격하였으나 1310년(충선왕 2) 김해부(金海府)로 격하되었다. 1413년(태종 13) 김해도호부로 승격되어 세조 때 진(鎭)을 두었다. 1895년(고종 32) 김해군이 되었고, 1981년 김해읍이 김해시로 승격하여 분리되었으며, 1995년에는 김해군을 통합하였다.
1 허염 許琰 | |||||||||||||||||||||||||||||||||||||||||||||||||||||||||||||||||||||||||
2 허군언 許君彦 | |||||||||||||||||||||||||||||||||||||||||||||||||||||||||||||||||||||||||
3 허자 許資 | |||||||||||||||||||||||||||||||||||||||||||||||||||||||||||||||||||||||||
4 허송죽 許松竹 | 4 허연 許延 | 4 허징 許澂 | |||||||||||||||||||||||||||||||||||||||||||||||||||||||||||||||||||||||
5 허각보 許恪保 | 5 허인전 許仁全 가락군파 (駕洛君派) | 5 허유전 許有全 시중공파 (侍中公派) | 5 허평 許枰 | 5 허상 許相 상서공파 (尙書公派) | |||||||||||||||||||||||||||||||||||||||||||||||||||||||||||||||||||||
6 허대현 許大賢 상서공파 (尙書公派) | 6 허영 許榮 | 6 허화 許華 | 6 허창 許敞 | 6 허증 許增 | |||||||||||||||||||||||||||||||||||||||||||||||||||||||||||||||||||||
7 허기 許麒 호은공파 (湖隱公派) | 7 허린 許麟 중승공파 (中承公派) | 7 허인부 許仁副 전직공파 (典直公派) | 7 허구년 許龜年 증성군파 (甑城君派) | 7 허언룡 許彦龍 판서공파 (判書公派) |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42세 | 43세 | 44세 | 45세 | 46세 | 47세 |
---|---|---|---|---|---|---|---|---|---|---|---|---|---|---|---|---|---|---|---|---|---|
우(遇) 만(萬) | 구(九) 량(亮) | 필(弼) 남(南) | 행(行) 녕(寧) | 성(成) 성(盛) | 기(紀) 범(範) | 용(庸) 강(康) | 신(新) 재(宰) | 정(廷) 병(秉) | 발(發) 규(揆) | 돈(敦) 학(學) | 건(建) 숙(肅) | 인(寅) 연(演) | 경(卿) 흔(欣) | 진(震) 근(根) | 용(龍) 완(琬) | 보(寶) 성(性) | 업(業) 수(洙) | 동(東) 중(重) | 유(猷) 준(遵) | 국(國) 기(璣) | 현(鉉) 옹(甕) |
구분 | 인물 | 소재지 |
---|---|---|
두산재(斗山齋) | 허유전(許有全) | 인천 강화군 불은면 두운리 297 |
도연서원(道淵書院) | 허기(許麒) | 경남 고성군 마암면 도전리 543 |
고망재(高望齋) | 허원보(許元輔) | 경남 의령군 의령읍 동동리 337 |
구곡재(九谷齋) | 허시(許施) | 경북 고령군 개진면 구곡리 |
모원재(慕遠齋) | 허구년(許龜年) | 경기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주북리 910 |
금산서원(琴山書院) | 허진수(許進壽) | 경북 포항시 남구 장기면 신창길191번길 25-12 |
용강서원(龍岡書院) | 허득량(許得良), 허복량(許復良) | 대구 달서구 이곡동 1343-1 |
구천서원(龜川書院) | 허경윤(許景胤) | 경남 김해시 상동면 우계리 811 |
연정(蓮亭) | 허동립(許東岦) | 경남 진주시 지수면 승산리 233 |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