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종세간(三種世間, 영어: three types of worlds) · 3세간(三世間) · 3가지의 세간 또는 3종세계(三種世界) · 3가지의 세계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1][2][3]
- 세간(世間)에 대한 2종세간(二種世間) · 3종세간(三種世間) · 5종세간(五種世間) 등의 여러 분류체계 가운데 하나이다.
- 2종세간은 중생(衆生) · 비중생(非衆生)의 2종세간 또는 유정세간(有情世間) · 기세간(器世間)의 2종세간을 말하며, 부파불교와 대승불교 모두에서 설하는 분류체계이다.
- 3종세간은 대승불교와 남방 상좌부불교, 그리고 힌두철학의 수론학파(數論學派) 즉 삼키아 학파에서 설하는 분류체계이다.
- 2종세간 · 3종세간은 여래10호 가운데 하나인 세간해(世間解)에 대한 설명, 108삼매(百八三昧) 가운데 하나인 능조일체세간삼매(能照一切世間三昧)에 대한 설명, 또는 5온과 '나[神, 아트만, 정신]'에 대한 설명의 문맥에서 주로 언급되거나 설해진다. 화엄종의 경우 《60화엄》의 〈제33품 이세간품(離世間品)〉의 문맥에서 언급되고 설해진다. 〈제33품 이세간품(離世間品)〉 다음에 〈제34품 입법계품(入法界品)〉이 설해진다.
개요
보다 자세히 열거하면, 3종세간(三種世間, 영어: three types of worlds)으로는 다음의 것들이 있다.
- 3종세간은 대승불교의 중관학파의 개조 용수(150?~250?)의 《대지도론》 제47권과 제70권에 설하는 중생세간(衆生世間) · 국토세간(國土世間) · 5중세간(五衆世間)을 말한다.[9][10][11][12][13] 중생세간은 가명세간(假名世間)이라고도 한다. 국토세간은 주처세간(住處世間)이라고도 하며 기세간(器世間)이라고도 한다. 5중세간은 5음세간(五陰世間) 또는 5온세간(五蘊世間)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5중(五衆)이 5음(五陰)의 동의어이며, 5중과 5음은 모두 5온(五蘊)의 구역어이기 때문이다.
- 3종세간은 천태종의 담연(711~782)의 《지관보행전홍결》 제5권 등에서 설하는 중생세간(衆生世間) · 국토세간(國土世間) · 오음세간(五蘊世間)을 말한다. 5음(五陰)은 천태종의 논서들에서 사용한 5온(五蘊)의 구역어이다. 따라서, 《대지도론》의 3종세간과 동일하다.[14]
- 3종세간은 남방 상좌부불교의 부다고사(5세기)의 《선견율비바사》 제4권에서 설하는 행세간(行世間) · 중생세간(衆生世間) · 처세간(處世間)을 말한다.[15][16]
- 3종세간은 화엄종의 의상(625~702) · 법장(643~712) 등의 논서에서 설하는 기세간(器世間) · 중생세간(衆生世間) · 지정각세간(智正覺世間)를 말한다. 지정각세간은 지정세간(智正世間)이라고도 한다.[17]
3종세간(三種世間)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3가지 유형 또는 종류의 세간'으로 하나의 세간 즉 세계를 세 측면에서 구분한 것이다. 대승불교의 3종세간은 동일한 하나의 세계를 3가지 관점에서 바라보아 세 유형으로 나눈 것이다. 세간(世間)은 무위이자 무루인 출세간(出世間)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유루 · 무루의 유위의 세계를 말한다.[1] 교학적인 면에서 보면, 출세간은 무위의 세계를, 세간은 유위의 세계를 말한다. 실천적인 면에서 보면, 출세간은 무루를, 세간은 유루를 말한다.[18] 다만 화엄종의 3종세간에서 지정각세간 또는 지정세간은 부처들의 세계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출세간에 해당한다.[5] 힌두철학의 수론학파의 3종세간은 동일한 하나의 세계를 중생 즉 유정의 유형에 따라 구분한 것으로, 불교의 5취 또는 6도의 구분과 맥락을 같이 한다.
불교의 3종세간 가운데 중생세간(衆生世間)은 동일한 하나의 세계를 중생 즉 유정이라는 관점에서 나눈 것으로 5취 또는 6도에 해당하고, 기세간 또는 국토세간은 동일한 하나의 세계를 유정이 거주하는 산하대지 등의 물질적 · 자연적 시스템 즉 물리적 우주공간이라는 관점에서 나눈 것으로 3계에 해당하고, 5온세간 또는 지정각세간(智正覺世間)은 동일한 하나의 세계를 5온이 공하다는 무아의 이치를 깨닫는다는 관점 즉 '깨달음에 들어가는[入法界]' 길[離世間]의 관점에서 나눈 것으로 4향4과 · 9지 · 10지 · 42현성 · 52위 등의 수행계위에 해당한다.[19][20]
대지도론·천태종의 3종세간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상좌부불교의 3종세간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화엄종의 3종세간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수론학파의 3종세간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같이 보기
참고 문헌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용수 지음, 구마라습 한역, 김성구 번역 (K.549, T.1509). 《대지도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49(14-493), T.1509(25-57).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영어) DDB.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電子佛教辭典)》. Edited by A. Charles Muller.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담연 술 (T.1912). 《지관보행전홍결(止觀輔行傳弘決)》. 대정신수대장경. T46, No. 1912,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용수 조, 구마라습 한역 (T.1509). 《대지도론(大智度論)》. 대정신수대장경. T25, No. 1509,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의상 조 (T.1887A).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 대정신수대장경. T45, No. 1887A,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大乘義章)》. 대정신수대장경. T44, No. 1851,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
Wikiwand in your browser!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