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올해의 여성영화인상은 영화제작 관련 다양한 분야에서 창의성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국영화의 질적 성장에 기여하고 있는 여성영화인들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 |
---|---|
주최 | 여성영화인모임 |
나라 | 대한민국 |
첫 시상 | 2000년 ~ |
웹사이트 | 여성영화인모임 홈페이지 |
영화계 전반과 영화제작 현장에서 함께 활동하고 있는 동료 여성영화인들이 선정하고 수여하는 상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부문 | 수상자 | 작품 |
---|---|---|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 오정완 | 영화사 '봄' 대표, 《반칙왕》제작 |
부문 | 수상자 | 작품 | 비고 |
---|---|---|---|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 임순례 |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 | 감독 |
제작/프로듀서 부문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 김수진 | 《추격자》 | 영화사 '비단길' 대표 |
홍보마케팅 부문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 정금자, 조정화, 김미정, 조지은, 최아람 |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 | |
연출/시나리오 부문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 이경미 | 《미쓰 홍당무》 | |
기술 부문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 이은주 | 《세븐데이즈》, 《싸이보그지만 괜찮아》 | 동시녹음 |
다큐멘터리 부문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 연분홍치마 | 《3xFTM》 | 기획 |
공로상 | 이미례 | 《수렁에서 건진 내 딸》 | 감독 |
연기상 | 공효진 | 《미쓰 홍당무》 | |
부문 | 수상자 | 작품 | |
---|---|---|---|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 김동현 | 서울독립영화제 집행위원장 | |
연기상 | 예수정 | 배우 | 《69세》 |
제작자상 | 박은경 | 프로듀서 | 《삼진그룹 영어토익반》 |
감독상 | 임선애 | 감독 | 《69세》 |
신인연기상 | 강말금 | 배우 | 《찬실이는 복도 많지》 |
각본상 | 윤단비 | 감독 | 《남매의 여름밤》 |
다큐멘터리상 | 강유가람 | 감독 | 《이태원》 |
기술상 | 배정윤 | 미술감독 | 《삼진그룹 영어토익반》 |
홍보마케팅상 | 머리꽃 | 《결백》 | |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