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AI tools
미국 육군부의 군수 부문 주요사령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미국 육군물자사령부(United States Army Materiel Command (AMC))는 미국 육군부에 직접적으로 보고하는 미국 육군의 주요사령부(Major Command) 중에서 육군의 군수 업무를 전담하는 조직이다.
미국 육군물자사령부 | |
---|---|
United States Army Materiel Command | |
활동 기간 | 1962년 8월 1일 ~ 현재 |
국가 | 미국 |
소속 | 미국 육군 |
병과 | 군수분과 |
종류 | 육군사령부 |
역할 | 미국 육군의 군수품 개발, 병참 등의 군수 업무를 전담 |
명령 체계 | 미국 육군부 |
본부 | 앨라배마주 레드스톤 조병창 |
표어 | If a Soldier shoots it, drives it, flies it, wears it, communicates with it, or eats it – AMC provides it. |
색 | 빨강. 하양, 파랑 |
군가 | Arsenal for the Brave |
웹사이트 | www |
표장 | |
SSI |
1962년 4월 2일, 육군부에 "Materiel development and Logistics command→물자개발군수사령부" 연구를 제안한 Frank S. Beson Jr. 프랭크 S. 베슨 주니어[*] 중장이 조직을 설계하고 꾸려나갈 초대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육군물자사령부로 명명되어 5월 8일에 설립되고 8월 1일에 가동되었다.
1986년 골드워터 니콜스 법 국방부 재조직 계획에 따라 육군부에 연구개발획득차관 자리가 신설되고, 물자사령부의 47개 프로젝트 관리청이 차관 직속으로 넘겨졌다.
2005년 기지재배차폐쇄위원에서 물자사령부 본부를 버지니아주 포트 벨보어에서 일리노이주 레드스톤 조병창으로 이전할 것을 권고하였다. 직원들은 2011년 6월 중순부터 8월까지 새로 지어진 시설로 순차적으로 이사하였다.[2]
2003년 6월, 장병화생물학사령부 본부가 연구개발기술사령부와 병합되고, 10월 9일에 장병화생물학사령부에서 가디언 여단, 화학물자국(CMA), 장병체계원(SSC), 핵생화학방어(NBC) 프로젝트관리청(PM NBC)이 분리되었다.
2006년 9월 22일, 육군지원사령부가 창설되었다.
2008년 10월 1일, 육군계약사령부가 창설되었다.
2018년 6월, AMC 군악대가 마지막 공연을 마치고 해산하였다.
2019년 2월 3일 메릴랜드주 에버딘 실험장의 연구개발기술사령부 (RDECOM)가 전투적성개발사령부로 개명됨과 함께 미래사령부로 전속하였다.[3]
두 개의 육군부 직할보고부대가 육군물자사령부로 전속하였다. 텍사스주 포트 샘 휴스턴의 시설관리사령부는 3월 1일에 전속하였고, 3월 8일부로 예하 USAG 부대원들은 IMCOM이 아닌 AMCOM의 패치를 붙이게 된다.[4][5] 그리고 재무관리사령부가 10월 31일에 전속하였다.[6]
6월 1일, 의무연구물자사령부의 재조직화로 의무물자 기능이 분리되고, 의무연구개발사령수로 개명됨과 함께 미래사령부로 전속하였다. 그리고 분리된 의무물자 기능을 맡을 육군의무군수사령부가 메릴랜드주의 포트 데트릭에서 임시로 설립되었고, 준장 계급의 장관의 지휘를 받으며 육군과 합동군을 위한 의료물자의 적응성과 데이터 유지를 목적으로 10월 1일까지의 시범운영을 시작하였다.[7] 육군의무군수사령부의 예정된 시험운영 종료일이 연말보다 빨리 마쳐져 사령부는 9월 17일에 정식 조직으로 승격되었다.[8]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