疑 U+7591, 疑 CJK UNIFIED IDEOGRAPH-7591 ← 疐[U+7590] 한중일 통합 한자 疒 →[U+7592] 한자 훈 (訓) 의심하다 疑 음 (音) 의 부수 (部首) 疋 (짝 필) 5획 획수 (劃數) 총 14획 자원 자세한 정보 갑골문자, 금문 ... 갑골문자 금문 죽백 소서 닫기 동사 의심하다(疑心~). 3세기, 진수,《삼국지》, 〈권1 위서 무제기 卷一 魏書·武帝紀〉 諸君何疑?제군은 어찌 의심하는가? 1281, 일연, 《삼국유사》, 〈권제1 기이(紀異) 상편 위만조선 條〉 (漢文本) 使者及左將軍疑其爲變 사자와 좌장군은 변고가 있을지 의심하였다. 파생어: 疑懼, 疑問, 疑心, 疑訝, 疑妻, 半信半疑, 容疑, 質疑, 被疑, 嫌疑, 懷疑 2. 헛갈리다 3. 믿지 아니하다 4. 미혹되다(迷惑~), 미혹시키다(迷惑~) 5. 두려워하다 6. 머뭇거리다, 주저하다(躊躇~) 7. 괴이(怪異)하게 여기다. 王疑以為天子,令其母收取奴畜之,名東明,令牧牛馬。 왕은 천자(天子)가 아닐지 괴이하게 여기고는, 그 어미에게 거두어 그것을 기르게 하였으며, 이름을 동명이라 짓고, 소와 말을 기르라고 명하였다.[1] 8. 비기다(=擬) 9. 같다, 비슷하다 10. 견주다 11. 시샘하다 12. 헤아리다, 짐작하다(斟酌~) 13. 안정하다(安定~) (응) 14. 한데 뭉치다 (응) 15. 집결하다(集結~) (응) 16. 멈추다 (응) 명사 1. 의문(疑問) 부사 1. 아마도 以秘書丞李桂長爲東南海都部署使, 兼慶尙州道按察使, 疑慶尙道之名, 始於此。비서승(秘書丞) 이계장(李桂長)을 동남해도부서사(東南海都部署使) 겸 경상주도 안찰사(慶尙州道 按察使)로 삼았는데, 경상도의 명칭은 아마도 이때에 시작한 것이다. (따옴◄세종장헌대왕실록/지리지) 합성어 半信半疑 (bànxìn bànyí) 반신반의 猜疑 (cāiyí) 遲疑/迟疑 (chíyí) 存疑 (cúnyí) 多疑 (duōyí) 懷疑/怀疑 (huáiyí) 회의 狐疑 (húyí) 見疑/见疑 (jiànyí) 稽疑 (jīyí) 可疑 (kěyí) 의심스러운 闕疑/阙疑 (quēyí) 釋疑/释疑 (shìyí) 無疑/无疑 (wúyí) 의심하는 것이 아닌 毋庸置疑 (wúyōngzhìyí) 嫌疑 (xiányí) 혐의 析疑 (xīyí) 懸疑/悬疑 (xuányí) 疑兵 (yíbīng) 疑點/疑点 (yídiǎn) 疑犯 (yífàn) 疑古 (yígǔ) 疑惑 (yíhuò) 의혹 疑忌 (yíjì) 疑懼/疑惧 (yíjù) 의심하고 두려워하다 疑慮/疑虑 (yílǜ) 疑難雜症/疑难杂症 (yínán zázhèng) 疑難/疑难 (yínán) 해결하기에 곤란하다 疑似 (yísì) 疑團/疑团 (yítuán) 疑問/疑问 (yíwèn) 의문 疑心 (yíxīn) 의심 疑義/疑义 (yíyì) 猶疑/犹疑 (yóuyí) 憂疑/忧疑 (yōuyí) 置疑 (zhìyí) 質疑/质疑 (zhìyí) 질의 <발음 미확인> 不容置疑 不疑 不疑誣金/不疑诬金 不疑貳/不疑贰 不避嫌疑 九疑山 作疑 傳疑/传疑 兩無猜疑/两无猜疑 多聞闕疑/多闻阙疑 嫌疑分子 將信將疑/将信将疑 居之不疑 形跡可疑/形迹可疑 怪疑 恫疑虛喝/恫疑虚喝 恫疑虛猲/恫疑虚猲 投杼之疑 持疑不決/持疑不决 析疑匡謬/析疑匡谬 毫不遲疑/毫不迟疑 毫無疑義/毫无疑义 決疑/决疑 深信不疑 滿布疑雲/满布疑云 滿腹狐疑/满腹狐疑 無可置疑/无可置疑 無庸置疑/无庸置疑 然疑 犯疑 狐疑不決/狐疑不决 狐疑未決/狐疑未决 狼顧狐疑/狼顾狐疑 猶豫多疑/犹豫多疑 獻疑/献疑 生疑 疑丞 疑人疑鬼 疑人竊鈇/疑人窃𫓧 疑信參半/疑信参半 疑問代詞/疑问代词 疑問句/疑问句 疑問號/疑问号 疑塚 疑影 疑心疑鬼 疑心病 疑怪 疑情 疑抱 疑案 疑滯/疑滞 疑猜 疑獄/疑狱 疑神疑鬼 疑竇/疑窦 疑貳/疑贰 疑陣/疑阵 疑雲/疑云 疑鬼疑神 睽疑 祛疑 經典稽疑/经典稽疑 考古質疑/考古质疑 致疑 蓄疑 解疑釋結/解疑释结 設疑/设疑 賞奇析疑/赏奇析疑 質疑問難/质疑问难 起疑 遲疑不決/迟疑不决 遲疑未決/迟疑未决 錯疑/错疑 驚疑/惊疑 驚疑不定/惊疑不定 각주 [1]왕충(1세기),《논형》〈제9편〉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