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훈 (訓) 신하 臣 음 (音) 신 부수 (部首) 臣 (신하 신) 6획 획수 (劃數) 총 6획 자원 자세한 정보 갑골문자, 금문 ... 갑골문자 금문 죽백 소서 닫기 한국어 형태소 1. ‘신하’ 등을 뜻하는 합성어를 이루는 형태소의 한자 표기 臣僚/신료, 臣民/신민, 臣事/신사, 臣庶/신서, 臣子/신자, 臣妾/신첩, 臣下/신하, 奸臣/간신, 忠臣/충신 중국어 명사 1. 신하. 제갈량, 〈후출사표〉 先帝慮漢賊不兩立,王業不偏安,故託臣以討賊也。 선황제께옵서는 한나라와 위나라 역적은 양립할 수 없으며, 황업은 천하의 한귀통이로만 안주할 수 없다 하시어 신에게 역적의 토벌을 당부하셨나이다. 1145년, 김부식, 《삼국사기》, 〈권05 진덕왕 條〉 (漢文本) 臣之本國 僻在海隅 伏事天朝 積有歲年 신(臣)의 나라는 바다 모퉁이에 치우쳐 있으면서도 천조를 섬긴 지 이미 여러 해 되었습니다. 1145년, 김부식, 《삼국사기》, 〈권13 동명성왕 條〉 (漢文本) 王子及諸臣又謀殺之 왕자와 여러 신하들이 또다시 그를 죽이려고 꾀하였다. 2. 자기(自己)의 겸칭(謙稱) 臣固聞之 제가 원래 그것을 듣기로는... (따옴◄좌구명(左丘明)(기원전 6~5세기),《국어(國語)》〈권12 진어 육(晉語六)〉) 기원전 91년경, 사마천, 《사기(史記)》, 〈권115 조선열전(朝鮮列傳)〉 (漢文本) 願降,恐兩將詐殺臣 항복을 원하였으나, 두 장수께서 저를 갑자기 죽이실까 두려웠습니다.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