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태극검(太極劍,Taijijian)은 1956년 및 1958년 중화인민공화국 체육운동위원회가 전국민의 보건등의 목적을 위해 기존의 전통적인 태극권을 간략화하여 보편화시켜 국가 차원에서 보급한 24식 동작의 '간화태극권'을 개발한후 계속해서 전국적이고 국제적인 경기 규칙및 도검류의 정식 경기를 위해 개발한 것으로 태극검의 현대적인 역사를 찾아볼 수 있다. 태극검은 태극권과 마찬가지로 명대와 청나라 시대에 즈음하여 널리 보급된 중국의 무술로 알려져있다.
현재 우슈 투로의 태극검은 태극권과 함께 아시안게임 정식종목이다.[1][2]
양날을 가진 검을 사용하며 기본적으로 검(칼)[3]을 밀고 당기는 원리에 기초한다. 이때 검을 밀고 당기는 방향에 더해 검신(劍身)의 자세와 이동하는 위치에 의해서 검의 사용방법이 여럿으로 다르게 나타난다.
![]() |
검끝을 사용한다[4] |
![]() |
검끝을 사용하여 검의 양날을 사용한다[5] |
![]() |
검의 한쪽 날(blade)만을 사용한다[6] |
![]() |
검의 한쪽날을 밑면으로 사용한다[7] |
![]() |
검의 한쪽날만을 사용한다 (칼끝과 칼자루의 이동거리가 같다)[8] |
![]() |
검의 한쪽날만을 사용하여 원심력을 이용한다 (칼끝과 칼자루의 이동거리가 반비례한다)[9] |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