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찬가(영어: Olympic Anthem, 그리스어: Ολυμπιακός Ύμνος 올림피아코스 임노스[*])는 그리스의 시인이자 작가인 코스티스 팔라마스(Kostis Palamas)가 쓴 시에서 딴 가사에, 그리스의 작곡가 스피로스 사마라스(Spyros Samaras)가 곡을 붙인 작품이다. 이 음악은 1896년 아테네 하계 올림픽에서 처음 연주되었으며, 1958년에 공식 올림픽 찬가로 공표되었다. 1960년 로마 하계 올림픽 때부터 개막식에서 연주되고 있으며, 폐막식에서도 연주되고 있다. 또한 이 곡은 IOC 총회에서 차기 올림픽 개최 도시를 발표하기 전마다 부르기도 한다.[1]
가사
그리스어 가사 | 한국어 번역 |
---|---|
|
|
영어 Sung version 가사 | 한국어 번역 가사 |
|
|
역대 올림픽 대회 속 찬가
올림픽 찬가는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고 연주되었지만, 대회에서는 일반적으로 그 대회를 개최하는 나라의 언어로 번역되었다. IOC는 되도록 찬가를 영어나 그리스어로 부르도록 권고하고 있다.[2]
올림픽 | 개최도시 | 언어 | 주석 |
---|---|---|---|
1960년 동계 | 스쿼밸리 | 영어 | |
1960년 하계 | 로마 | 이탈리아어 | |
1964년 동계 | 인스부르크 | 독일어 | |
1964년 하계 | 도쿄 | 일본어 | |
1968년 동계 | 그르노블 | 프랑스어 | |
1968년 하계 | 멕시코시티 | 스페인어 | |
1972년 동계 | 삿포로 | 일본어 | |
1972년 하계 | 뮌헨 | 기악곡으로 대신함 | 올림픽 찬가의 기악곡은 각각 개막식과 폐막식 동안 사용되었다.[3][4] |
1976년 동계 | 인스부르크 | 그리스어 (개막식)
기악곡 (폐막식) |
|
1976년 하계 | 몬트리올 | 그리스어 | |
1980년 동계 | 레이크플래시드 | 영어 | |
1980년 하계 | 모스크바 | 러시아어 (개막식)
그리스어 (폐막식) |
개막식에는 러시아어로 번역되어 불렸지만, 폐막식에는 그리스어로 불렸다.[5] |
1984년 동계 | 사라예보 | 세르보크로아티아어 | |
1984년 하계 | 로스앤젤레스 | 영어 | |
1988년 동계 | 캘거리 | 그리스어 | 이 대회에서는 그리스어로 부르도록 결정되었다.[6][7] |
1988년 하계 | 서울 | 한국어 | |
1992년 동계 | 알베르빌 | 프랑스어 | |
1992년 하계 | 바르셀로나 | 카탈루냐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개막식)
스페인어 & 영어 (폐막식) |
개막식에서 알프레도 크라우스가 1절을 카탈루냐어로 불렀고, 나머지 절은 스페인어와 프랑스어로 불렀다.[8] 폐막식에서는 플라시도 도밍고가 가사 스페인어와 영어로 불렀다.[9] |
1994년 동계 | 릴레함메르 | 노르웨이어 | |
1996년 하계 | 애틀랜타 | 영어 | |
1998년 동계 | 나가노 | 일본어 | |
2000년 하계 | 시드니 | 그리스어 (개막식)
영어 (폐막식) |
이번 대회는 비공식적으로 IOC의 권고에 의해 찬가를 두 언어로 연주되었던 유일한 대회였다.[2] 개막식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에 거주하고 있는 그리스 주민들의 의견에 의해 찬가가 그리스어로 기록되고, 오스트레일리아 그리스 정교회 교회의 밀레니엄 합창단과 시드니 심포니 오케스트라에 의해 연주되었다. 폐막식에서는 영어로 연주되었다. |
2002년 동계 | 솔트레이크 시티 | 영어 | |
2004년 하계 | 아테네 | 그리스어 | 이 대회에서는 존 프사타스가 연주를 맡았다. |
2006년 동계 | 토리노 | 기악곡/노래 단축 | 이번 대회에서의 개막식과 폐막식에서는 노래를 단축한 찬가 기악곡이 연주되었다.[10] |
2008년 하계 | 베이징 | 그리스어 | 이번 대회에서는 개막식과 폐막식에 그리스어가 언어로 사용되기로 결정되었다.[11] |
2010년 동계 | 밴쿠버 | 영어 & 프랑스어 | 이번 대회는 공식적으로 두 언어를 한꺼번에 부른 유일한 대회였다. 이 두 언어는 캐나다에서 사용되는 두 언어이다.[2] 메샤 브루거고스맨은 개막식에, 벤 헤프너는 폐막식에서 불렀으며, 처음 두 절과 넷째, 여섯째 절은 영어로 불렀고 나머지는 프랑스어로 불렀다.[12] |
2010년 하계 청소년 | 싱가포르 | 그리스어 | 그리스어로 찬가가 불리면서, 경기장 화면에는 그리스어와 동시에 영어, 프랑스어 가사를 보여주었다.[13] |
2012년 동계 청소년 | 인스부르크 | 기악곡 | |
2012년 하계 | 런던 | 기악곡 (개막식) 영어 (폐막식) | |
2014년 동계 | 소치 | 러시아어 (개막식) 기악곡 (폐막식) | |
2014년 하계 청소년 | 난징 | 기악곡 | 2012년 하계 올림픽 개막식에서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가 연주한 버전으로 등장하였으며 개막식과 폐막식 모두 그림소프 콜리어리 밴드가 쓰였다. |
2016년 동계 청소년 | 릴레함메르 | 노르웨이어 | 개막식과 폐막식 모두 성악가들이 불렀으며, 노르웨이어 가사는 1994년 동계 올림픽에서 쓰인 것과 같았다.[14] |
2016년 하계 | 리우데자네이루 | 영어 | 개막식과 폐막식 모두 영어로 불렸다. |
2018년 동계 | 평창 | 그리스어 (개막식) 영어 (폐막식) | 개막식은 전통 그리스어 가사로 소프라노 황수미 Archived 2018년 2월 28일 - 웨이백 머신가 불렀고,[15] 폐막식은 그리스어 가사와 내용이 다른, 개사된 영어 가사(Sung Version)로 오연준 Archived 2018년 2월 28일 - 웨이백 머신이 불렀다.[16] |
2018년 하계 청소년 | 부에노스아이레스 | 영어 | |
2020년 동계 청소년 | 로잔 | 영어 & 프랑스어 (개막식)
기악곡 (폐막식) |
2020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 개막식 때 영어와 프랑스어로 번역되어 올림픽 찬가로 불렀으나 2010년 벤쿠버 올림픽와 비슷하여 특이하다. |
2020년 하계 | 도쿄 | 영어 | |
2022년 동계 | 베이징 | 그리스어 | 이번 대회에서도 개막식과 폐막식에 그리스어가 언어로 사용되기로 결정되었다. |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in your browser!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