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타-3 아드레날린 수용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베타-3 아드레날린 수용체

베타-3 아드레날린 수용체3 아드레날린 수용체)는 ADRB3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의 일종으로 이를 인코딩하는 인간 유전자를 지칭하기도 한다.[5]

간략 정보 ADRB3, 사용 가능한 구조 ...
ADRB3
사용 가능한 구조
PDB동원체 검색: PDBe RCSB
식별자
다른 이름ADRB3, BETA3AR, adrenoceptor beta 3
외부 IDOMIM: 109691 MGI: 87939 HomoloGene: 37250 GeneCards: ADRB3
RNA 발현 패턴
Bgee
인간(동원체)
최상위 발현
최상위 발현
추가 참조 발현 데이터
BioGPS


추가 참조 발현 데이터
위키데이터
인간 보기/편집쥐 보기/편집
닫기

작용

β 3 수용체의 작용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주로 지방 조직에 위치하며 지방 분해 및 열 발생 조절에 관여한다. 일부 β 3 작용제항 스트레스 효과가 동물 실험에서 밝혀졌는데, 이는 중추 신경계 (CNS)에서도 역할을 한다는 점을 암시한다. β 3 수용체는 담낭, 방광 및 갈색 지방 조직에서 발견된다. 담낭 생리학에서 그들의 역할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갈색 지방에서 지방 분해 및 열 발생에 역할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방광에서는 방광의 이완과 배뇨 방지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

작용 메커니즘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는 Gs 유형의 G 단백질의 작용을 통하여 에피네프린 또는 노르에피네프린에 의하여 유도되는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의 활성화에 관련되어 있다.[5]

리간드

작용제

  • Amibegron (SR-58611A)[9][10]
  • BRL-37344[11]
  • CL-316,243[12]
  • L-742,791[13]
  • L-796,568[14]
  • LY-368,842
  • Mirabegron (YM-178),[15] 일본, 미국, 영국, 캐나다, 중국 및 인도에서 과민성 방광 치료로 승인됨.
  • Nebivolol[16] 선택적 베타 (1) 차단제 및 베타 (3) 작용제.
  • Ro40-2148
  • 솔라베그론 (GW-427,353)[17]
  • Vibegron (MK-4618)[18]

길항제

  • L-748,328[13]
  • L-748,337[13]
  • SR 59230A는 원래 선택적 β 3 길항제로 생각되었는데,[19] 그 후, α1 수용체의 길항제인 것으로 밝혀졌다.[20]

상호 작용

베타-3 아드레날린 수용체는 Src와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21]

같이 보기

각주

추가 자료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