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ngs About Jane
마룬 5의 음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Songs About Jane(《송스 어바웃 제인》[4], SAJ)은 2002년 6월 25일에 J 레코드와 옥톤 레코드를 통해 발매된 미국의 팝 록 밴드 마룬 5의 데뷔 음반이다. 전세계적으로 차트에서 성공한 "Harder To Breathe", "This Love"와 "She Will Be Loved" 등 다섯 개의 싱글이 히트를 쳤다. 2003년 8월 14일에 재발매되었으며, 2004년 말에 미국 빌보드 200의 10위권 안에 들었다. 이 음반은 전세계 여러 나라에서 멀티 플래티넘이라는 기록을 세웠다.[5]
《Songs About Jane》 | ||||
---|---|---|---|---|
![]() | ||||
마룬 5의 정규 음반 | ||||
발매일 | 미국 - 2002년 6월 25일 대한민국 - 2003년 9월 6일 | |||
녹음일 |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럼보 레코더(Rumbo Recorders) | |||
장르 | 팝 록,[1] 얼터너티브 록,[2] 블루아이드 소울[3] | |||
길이 | 46:06 | |||
레이블 | 미국 - J, 옥톤 대한민국 - 소니 뮤직 코리아, 유니버설 뮤직 코리아 | |||
프로듀서 | 맷 월리스(Matt Wallace), 마크 엔더트(Mark Endert) | |||
마룬 5 연표 | ||||
| ||||
《Songs About Jane》의 싱글 | ||||
|
2012년에는 음반 발매 10주년을 맞아, Songs About Jane: 10th Anniversary Edition(《송스 어바웃 제인: 10주년 기념반》)이 발매되었다.
2004년 말에 미국 내에서만 2,700,000장의 판매고를 올렸으며, 2014년 9월에는 미국 내 판매량 5,025,000장을 돌파하였다. 전 세계적으로 13,800,000장을 넘는 판매고를 올렸다.
배경
한 명을 제외한 모든 마룬 5의 구성원들은 과거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출신의 얼터너티브 록 밴드 카라스 플라워스의 구성원이었다. 카라스 플라워스는 리프라이즈 레코드와 1997년 중반에 데뷔 음반 The Fourth World를 발매한다. The Fourth World가 소규모의 성공을 거둔 후 1999년, 그들은 리프라이즈 레코드와의 관계를 정리하고, 2001년 기타리스트 제임스 밸런타인을 영입해 이름을 마룬 5로 바꾼다.
리드 보컬리스트이자 기타리스트인 애덤 리바인은 VH1과의 인터뷰에서 밴드의 새로운 음악 스타일에 대해서 밝혔다. "저는 뉴욕에 있을 때 로스앤젤레스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었던 어반과 힙합을 경험하게 되었다. 이는 제가 곡 쓸 때 새로운 방향을 잡게해주었죠."
그들은 뉴욕에 위치한 음악 레이블인 옥톤 레코드와 계약을 한 뒤, 프로듀서 맷 월리스(Matt Wallace)와 함께 로스앤젤레스에 위치한 럼보 레코더(Rumbo Recorders)에서 Songs About Jane의 녹음을 시작하였다.[6] 또한 마크 엔더트(Mark Endert)는 "This Love"의 믹싱과 추가적 프로듀싱을 담당하였다.
모든 음반 수록곡들은 애덤 리바인이 뉴욕에서 작사작곡하였거나, 다른 멤버들과 함께 썼다. 대부분의 가사들은 애덤 리바인과 그의 전 여자친구인 제인 허먼(Jane Herman)의 관계에서 감명을 받았다. 그가 말하길 모든 곡들에 그녀에 대한 이야기가 최소 한 줄 이상은 포함되어 있다고 한다.[7]
발매와 평가
이 음반은 일부 지역에서 카피 컨트롤 보호 시스템 아래 발매되었다. 마룬 5는 2002년 중반에 음반을 발매한 뒤 미셸 브랜치와 니카 코스타와 함께 투어를 하였고, 2003년에는 매치박스 트웬티, 슈가 레이와 함께 공연을 갖기도 하였다.
첫 번째 싱글 "Harder To Breathe"는 Songs About Jane 발매 한 달뒤에 발매되었으며, 서서히 에어플레이 차트에서 순위가 상승하며 음반 판매에 박차를 가하였다. 2004년 3월, 음반은 빌보드 200에서 20위 안에 들었으며, 연말 차트에서는 10위 안에 들었다. 또한 "Harder To Breathe"는 빌보드 핫 100에서 20위 안에 들었으며, 싱글이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에서 차트에 진입했을 때 Songs About Jane도 영국과 오스트레일리아의 음반 차트에서 각각 1위를 기록하였다. 두 번째 싱글 "This Love" 역시 미국에서 10위 안에 들었고, 2004년 3월 오스트레일리아에서도 10위 안에 들었다. MTV에서는 방영 금지를 막기 위해서 뮤직 비디오가 수정되었다.
Songs About Jane은 2004년 한 해 미국 내에서만 270만장 이상의 음반 판매고를 올리며 그 해 미국에서 일곱 번째로 가장 많이 팔린 음반이 되었다.[8] 또한 2012년 4월 기준으로 미국 내에서만 4,819,000장의 판매고를 올렸으며[9], 2014년 4월에는 5,000,000장을 돌파하였다.
싱글
- 음반 발매 한 달 후 발매된 첫 번째 싱글 "Harder To Breathe"는 서서히 에어플레이 차트에서 상승하며 음반 판매에 박차를 가하였고, 미국 빌보드 핫 100와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에서 20위권 안에 들었다.[10]
- 두 번째 싱글은 "This Love"로, 마룬 5는 이 곡으로 2006년 제 48회 그래미상에서 최우수 팝 보컬 퍼포먼스 듀오/그룹 부문을 수상한다. 대한민국의 가온 차트에서는 48위의 성적을 보여주었으며, 지드래곤과 이승기의 곡("This Love", "가면")이 이 곡을 표절했다는 논란이 있었다.
- 세 번째 싱글 "She Will Be Loved" 역시 좋은 차트 성적을 거두었다. 오스트레일리아와 벨기에의 차트에서 1위를 하였고, 미국에서는 5위를 기록하였다.[10] 대한민국의 가온 차트에서는 51위의 성적을 보여주었다.
- 네 번째 싱글 "Sunday Morning"은 좋은 평가를 받음에도 불구하고 전작들에 비해 높은 차트 성적을 보이지만 않았다. 이 곡은 옥톤 레코드의 임원 벤 버크맨(Ben Berkman)이 "천재적"이라고 극찬하며 마룬 5와 계약하게 된 계기가 된 곡이기도 하다.[11] 대한민국의 가온 차트에서는 27위의 성적을 보여주었으며, GM 쉐보레 말리부 광고에 쓰였다.
- 다섯 번째이자 마지막 싱글 "Must Get Out"은 미국에서는 차트 진입에 실패하였지만, 영국, 아일랜드, 뉴질랜드 등의 국가에서 30위권 안에 들었다.
그 외의 곡들
수록곡 목록
요약
관점
- 정규 발매반
# | 제목 | 재생 시간 |
---|---|---|
1. | 〈Harder To Breathe〉 | 2:56 |
2. | 〈This Love〉 | 3:27 |
3. | 〈Shiver〉 | 3:01 |
4. | 〈She Will Be Loved (리바인, 제임스 밸런타인)〉 | 4:18 |
5. | 〈Tangled (리바인)〉 | 3:19 |
6. | 〈The Sun (리바인)〉 | 4:10 |
7. | 〈Must Get Out〉 | 3:58 |
8. | 〈Sunday Morning〉 | 4:03 |
9. | 〈Secret〉 | 4:57 |
10. | 〈Through With You〉 | 3:03 |
11. | 〈Not Coming Home (카마이클, 라이언 두식, 리바인)〉 | 4:23 |
12. | 〈Sweetest Goodbye (리바인)〉 | 4:31 |
총 재생 시간 | 46:06 |
# | 제목 | 재생 시간 |
---|---|---|
1. | 〈Rag Doll〉 | 5:29 |
2. | 〈Harder To Breathe (어쿠스틱)〉 | 2:58 |
3. | 〈This Love (어쿠스틱)〉 | 4:02 |
4. | 〈This Love (카니예 웨스트 리믹스)〉 | 3:38 |
총 재생 시간 | 63:13 |
# | 제목 | 재생 시간 |
---|---|---|
1. | 〈Take What You Want〉 | 2:24 |
2. | 〈That's Not Enough〉 | 2:37 |
3. | 〈Wasted Years (라이브)〉 | 5:23 |
4. | 〈Woman (스파이더맨 2 사운드트랙 수록)〉 | 5:08 |
5. | 〈Don't Look Back In Anger (라이브; 오아시스 커버)〉 | |
6. | 〈Hello (라이브; 오아시스 커버)〉 | 4:28 |
10주년 기념반
2012년 마룬 5의 네 번째 정규 음반 Overexposed의 발매와 함께 10주년을 맞은 Songs About Jane의 10주년 기념반이 발매되었다.[12][13][14] CD 1에 수록된 "She Will Be Loved"는 라디오 믹스 버전이며, 보너스 CD를 컴퓨터에 넣은 후 Songs About Jane 10주년 기념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데뷔 초반의 미공개 동영상들을 볼 수 있다.[15]
# | 제목 | 재생 시간 |
---|---|---|
1. | 〈Harder To Breathe (데모)〉 | 2:17 |
2. | 〈This Love (데모)〉 | 3:21 |
3. | 〈Shiver (데모)〉 | 3:08 |
4. | 〈She Will Be Loved (데모)〉 | 3:08 |
5. | 〈Tangled (데모)〉 | 2:44 |
6. | 〈The Sun (데모)〉 | 3:22 |
7. | 〈Must Get Out (데모)〉 | 3:17 |
8. | 〈Sunday Morning (데모)〉 | 4:12 |
9. | 〈Secret (데모)〉 | 4:09 |
10. | 〈Through With You (데모)〉 | 3:20 |
11. | 〈Not Coming Home (데모)〉 | 3:51 |
12. | 〈Sweetest Goodbye (데모)〉 | 3:30 |
13. | 〈Take What You Want (데모)〉 | 2:25 |
14. | 〈Ragdoll (오리지널 데모/비 LP 인터내셔널 B-사이드)〉 | 5:28 |
15. | 〈Woman (데모)〉 | 4:06 |
16. | 〈Chilly Winter (데모)〉 | 2:25 |
17. | 〈The Sun (얼터네이트 믹스)〉 | 4:16 |
총 재생 시간 | 1:06:35 |
제작
Songs About Jane의 제작 크레딧은 올뮤직과 음반 부클릿에서 발췌하였다.[16]
|
|
차트 성적
주간 차트
차트 (2002년) | 최고 순위 |
---|---|
오스트레일리아 앨범 (ARIA)[17] | 1 |
오스트리아 앨범 (Ö3 오스트리아)[18] | 7 |
벨기에 앨범 (울트라탑 플랑드르)[19] | 8 |
벨기에 앨범 (울트라탑 왈로니아)[20] | 22 |
캐나디안 앨범 (빌보드)[21] | 3 |
덴마크 앨범 (히트리스트)[22] | 2 |
유럽 음반 차트[23] | 4 |
핀란드 앨범 (수오멘 비랄리넨 리스타)[24] | 2 |
프랑스 앨범 (SNEP)[25] | 1 |
독일 앨범 (미디어 컨트롤)[26] | 5 |
그리스 음반 차트[27] | 2 |
헝가리 앨범 (MAHASZ)[28] | 36 |
아일랜드 앨범 (IRMA)[29] | 1 |
이탈리아 앨범 (FIMI)[30] | 10 |
네덜란드 앨범 (메하하르츠)[31] | 2 |
뉴질랜드 앨범 (레코디드 뮤직 NZ)[32] | 1 |
노르웨이 앨범 (VG-리스타)[33] | 3 |
폴란드 앨범 (ZPAV)[34] | 4 |
포르투갈 앨범 (AFP)[35] | 5 |
스페인 앨범 (PROMUSICAE)[36] | 9 |
스웨덴 앨범 (스베리예토프리스탄)[37] | 4 |
스위스 앨범 (슈바이처 히트파라데)[38] | 12 |
영국 음반 (OCC)[39] | 1 |
미국 빌보드 200[40] | 6 |
미국 디지털 앨범 (빌보드)[41] | 3 |
미국 탑 카탈로그 앨범 (빌보드)[42] | 1 |
미국 탑 히트시커스 앨범 (빌보드)[43] | 1 |
연말 차트
인증
국가 | 인증 | 판매량/출하량 |
---|---|---|
아르헨티나 (CAPIF)[46] | 플래티넘 | 40,000^ |
아르헨티나 (CAPIF)[46] Re-release |
2× 플래티넘 | 80,000^ |
오스트레일리아 (ARIA)[47] | 5× 플래티넘 | 350,000^ |
오스트리아 (IFPI 오스트리아)[48] | 골드 | 15,000* |
벨기에 (BEA)[49] | 골드 | 25,000* |
브라질 (Pro-Música Brasil)[50] | 골드 | 50,000* |
캐나다 (뮤직 캐나다)[51] | 3× 플래티넘 | 300,000^ |
덴마크 (IFPI Danmark)[52] | 플래티넘 | 40,000^ |
핀란드 (Musiikkituottajat)[53] | 골드 | 19,571[53] |
프랑스 (SNEP)[54] | 2× 골드 | 200,000* |
독일 (BVMI)[55] | 플래티넘 | 200,000^ |
그리스 (IFPI 그리스)[56] | 골드 | 10,000^ |
아일랜드 (IRMA)[57] | 2× 플래티넘 | 30,000^ |
이탈리아 (FIMI)[58] | 골드 | 50,000* |
일본 (RIAJ)[59] | 2× 플래티넘 | 500,000^ |
멕시코 (AMPROFON)[60] | 플래티넘+골드 | 150,000^ |
네덜란드 (NVPI)[61] | 플래티넘 | 80,000^ |
뉴질랜드 (RMNZ)[62] | 5× 플래티넘 | 75,000^ |
노르웨이 (IFPI 노르웨이)[63] | 골드 | 20,000* |
포르투갈 (AFP)[64] | 골드 | 20,000^ |
러시아 (NFPF)[65] | 플래티넘 | 20,000* |
스페인 (PROMUSICAE)[66] | 골드 | 50,000^ |
싱가포르 (RIAS)[67] | 골드 | 5,000* |
스웨덴 (GLF)[68] | 골드 | 30,000^ |
스위스 (IFPI 스위스)[69] | 골드 | 20,000^ |
영국 (BPI)[70] | 7× 플래티넘 | 2,081,000[71] |
미국 (RIAA)[72] | 4× 플래티넘 | 5,100,000[73] |
요약 | ||
유럽 (IFPI)[74] | 2× 플래티넘 | 2,000,000* |
*판매량을 기반으로 한 인증 ^출하량을 기반으로 한 인증 |
투어
마룬 5는 데뷔 음반 Songs About Jane의 발매 후, 2002년부터 2004년까지 전 세계 5개 대륙 17개 국가를 돌며 첫 번째 월드 투어를 하였다.
이 투어는 마룬 5의 첫 번째 월드 투어이며, 존 메이어, 제이슨 므라즈, 롤링 스톤즈 등의 음악가들과도 함께 공연을 하기도 하였다.
발매일
발매반 | 국가 | 발매일 | 레이블 | 포맷 |
---|---|---|---|---|
Songs About Jane | ![]() |
2002년 6월 25일 |
||
![]() |
2002년 |
메이카 뮤직(Meika Music) | ||
![]() |
2003년 9월 6일 |
|||
![]() |
2003년 |
옥톤, J | ||
유럽[79][80] | 옥톤 | |||
Songs About Jane (복사 방지 포함) | 옥톤, J | |||
Songs About Jane (재발매반) | ![]() |
옥톤, J | ||
Songs About Jane | 유럽, ![]() |
옥톤 |
||
Songs About Jane (리패키지반) | ![]() |
2004년 3월 19일 |
소니 뮤직 코리아 |
CD |
Songs About Jane (스페셜 리패키지반) | 2004년 7월 26일 | |||
Songs About Jane (스페셜 아시아반) | ![]() |
2004년 |
옥톤 | |
Songs About Jane (스페셜 투어반) | ![]() | |||
Songs About Jane | ![]() |
옥톤, J | ||
Songs About Jane (스페셜반) | ![]() |
|||
Songs About Jane (재발매반) | ![]() |
2007년 |
||
![]() |
2007년 6월 12일 |
유니버설 뮤직 코리아 | ||
Songs About Jane/It Won't Be Soon Before Long | 2010년 5월 20일 | |||
Songs About Jane (10주년 기념반) | 전 세계[93][94] | 2012년 6월 |
A&M/옥톤, 유니버설 뮤직 |
2 CD, 디지털 다운로드 |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