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중 분대
- 최수종 : 이현중 중사 역 - 1분대 분대장,
일등중사 > 이등상사 (아역 김범중)
- 김뢰하 : 박일권 중사 역 - 전 2분대 분대장, 현 1분대원,
이등중사 > 일등중사
- 임원희 : 김준범 하사 역 - 1분대원, 무전병,
하사 > 이등중사
- 박상욱 : 백승진 하사 역 - 전 2분대원, 현 1분대원, 중화기,
하사 > 이등중사
- 남성진 : 염하진 일병 역 - 전 2분대원, 현 1분대원, 저격수,
일등병 > 하사
- 홍경인 : 양상길 일병 역 - 전 2분대원, 현 1분대원, 소총수,
일등병 > 하사
- 류상욱 : 박주용 일병 역 - 1분대원, 위생병,
일등병 > 하사
- 이승효 : 정택수 일병 역 - 1분대원, 소총수,
일등병 > 하사
- 안용준 : 김범우 이병 역 - 전 2분대원, 현 1분대원, 부사수,
이등병 > 일등병
국군
- 이덕화 : 박웅 장군 역 - 육군 제 13 보병사단 사단장,
준장
- 이주석 : 김중산 역 - 2소대 소대장, 현중의 직속상관,
소위
- 이채영 : 최단영 일병 역 - 국군 해병대원
- 이원발 : 참모장교 역 - 제 13 보병사단 참모장교, 대령
- 강신조 : 통신장교 역 - 제 13 보병사단 통신장교,
대위 > 소령
- 고정민 : 최선영 일병 역 - 국군 해병대원. 단영의 언니
- 유다인 : 정숙 역 - 육군병원 종군 간호사
- 고인범 : 특무대장 역 - 원주 특무부대 대장, 소령
- 배성우 : 특무대원 1 역 - 원주 특무대 대원,
대위
- 유형관 : 특무대원 2 역 - 원주 특무대 대원,
대위
- 신준영 : 특무대원 3 역 - 원주 특무대 대원,
대위
- 손선근 : 특무대원 4 역 - 원주 특무대 대원,
대위
- 정유찬 : 특무대원 5 역 - 원주 특무대 대원,
대위
- 조성규 : 대대장 1 역 - 국군 대대장,
소령
- 이정성 : 대대장 2 역 - 국군 대대장,
소령
- 전현 : 최현수 소령 역 - 3수용소 국군 포로
- 전헌태 : 강철중 중사 역[1] - 3수용소 국군 포로
- 조창근 : 유지원 중사 역 - 3수용소 국군 포로
- 김주호 : 3수용소 국군 포로 역
- 김일권 : 3수용소 국군 포로 역
- 문혁 : 3수용소 자치대원 1 역
- 위양호 : 3수용소 자치대원 2 역
- 이태림 : 3수용소 자치대원 3 역
- 최동엽 : 군단 헌병 장교 역 - 소령
- 박정우 : 해병 대위 역 - 국군 해병대 대위
- 송승용 : 분대장 역 - 국군 분대장
- 오희준 : 통신병 역 - 13사단 통신병
- 한성용 : 한성용 이병 역 - 국군 병사
- 백민 : 제 13 보병사단 헌병대장, 소령
- 공재원 : 육군 군의관 역
인민군
- 이태란 : 이수경 역 - 인민군 대위 및 저격단장
- 김명수 : 천용택 역 - 인민군 특무상사
- 정태우 : 천성일 - 인민군 하전사, 전 국군 1분대 분대원
- 정희태 : 원철 역 - 인민군 상급병사
- 김혜진 : 윤정임 역 - 신흥 제 3수용소 포로교관 정치부장
- 박철호 : 인민군 경비단장 역 - 제 7특수경비단장, 신임 신흥 제 3수용소장
- 이용진 : 인민군 수용소장 역 - 신흥 제 3수용소장
- 유태웅 : 경비대장 역 - 신흥 제 3수용소 경비대장
- 이정용 : 인민군 탈영병 역 - 신흥 제 3수용소 인민군 수용자
- 조재완 : 경비대원 역 - 신흥 제 3수용소 경비대원
- 오용 : 오 중사 역 - 보위부 함남총국 요원
- 유종근 : 중공군 대장 역 : 병참기지 중공군 지휘관
- 김민승 : 이진구 역 - 정임의 후임 포로교관 및 정치부원
- 맹세창 : 권오성 역 - 인민군 소년병 및 범우 새친구
- 김영준 : 한경수 역 - 인민군 병사. 주용의 친구
- 전익령 : 2호 저격대원 역 - 이수경 소속 저격대원
- 이우석 : 이학수 역 - 인민군 제 1사단 총좌
- 한창현 : 인민군 장교 역
- 이창호 : 인민군 군의관 역
- 김민진 : 인민군 병사 1 역
- 구중림 : 인민군 병사 2 역
풍산유격대
- 이인혜 : 정화 역 - 유격대원, 태식의 며느리
- 허재호 : 강칠 역 - 유격대원
- 이대로 : 태식 역 - 풍산유격대장
- 강성하 : 천유 역 - 유격대원
- 최건호 : 유격대원
- 류성훈 : 유격대원
건군 초기 군 계급체계
건군 초기 대한민국 국군의 계급 체계는 지금과 많이 달랐으며, 계급장의 경우 장교, 준사관은 옷깃에, 이등병부터 특무상사까지의 병, 부사관은 군복 상의 왼쪽 중앙에 있는 주머니에 부착하였다. 그리고 1970년대의 국군 부사관 계급장은 지금과 달리 병장 계급장 위에 있었으며, 부사관 권익신장이라는 명목하에 부사관 계급장 부착 위치가 장교와 동일하게 변경되었다.
- 최저 시청률과 최고 시청률은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정보 회차, 방송일 ...
2010년 |
회차 |
방송일 |
TNmS 시청률[17] |
AGB 시청률[18] |
대한민국(전국) |
서울(수도권) |
대한민국(전국) |
서울(수도권) |
제1회 |
6월 19일 |
16.7% |
16.4% |
16.1% |
16.1% |
제2회 |
6월 20일 |
16.9% |
16.1% |
15.6% |
15.0% |
제3회 |
6월 26일 |
17.0% |
15.8% |
17.4% |
16.9% |
제4회 |
6월 27일 |
15.1% |
14.0% |
14.8% |
14.2% |
제5회 |
7월 3일 |
12.7% |
12.1% |
12.9% |
12.1% |
제6회 |
7월 4일 |
14.4% |
14.0% |
13.4% |
12.9% |
제7회 |
7월 10일 |
13.2% |
13.1% |
12.0% |
10.5% |
제8회 |
7월 11일 |
15.0% |
14.3% |
14.2% |
12.8% |
제9회 |
7월 17일 |
13.9% |
13.6% |
13.1% |
11.5% |
제10회 |
7월 18일 |
15.4% |
15.6% |
13.6% |
12.7% |
제11회 |
7월 24일 |
14.3% |
13.2% |
13.8% |
12.7% |
제12회 |
7월 25일 |
15.1% |
13.8% |
14.2% |
13.3% |
제13회 |
7월 31일 |
13.2% |
12.6% |
12.1% |
12.0% |
제14회 |
8월 1일 |
14.3% |
13.9% |
14.0% |
13.7% |
제15회 |
8월 7일 |
14.5% |
14.2% |
13.9% |
13.4% |
제16회 |
8월 8일 |
16.1% |
15.1% |
16.2% |
15.6% |
제17회 |
8월 14일 |
15.6% |
14.7% |
14.0% |
13.2% |
제18회 |
8월 15일 |
17.9% |
17.2% |
16.8% |
15.5% |
제19회 |
8월 21일 |
14.3% |
14.0% |
12.4% |
11.0% |
제20회 |
8월 22일 |
16.2% |
16.0% |
14.4% |
13.4% |
평균 시청률 |
15.1% |
14.5% |
14.3% |
13.4% |
닫기
- KBS 2TV 수목 드라마 《신데렐라 언니》 후속으로 기획되었으나 같은 소재로 MBC 수목 드라마 《로드 넘버원》이 수목 드라마로 편성되자 해당 시간대를 피해 KBS 1TV 주말 특별 기획 드라마 《거상 김만덕》 후속으로 자리를 옮겼다.[19]
- 당초 이훈이 백승진 역으로 낙점되었으나 개인 사정 때문에 고사했다.[20]
- 포스터를 영화 《라이언 일병 구하기》와 표절했다.
- 전체적으로 보자면 졸작에 해당된다는 평가가 있다.[21] 심지어 총소리를 KBS 1TV 대하 드라마 《불멸의 이순신》에서 사용했던 화살 소리로 재탕해서 굉장히 어색하다.
- 드라마 《전우》 (1975년)
- 드라마 《전우》 (1983년)
건군 초기 대한민국 국군 장성 계급장은 미군의 장성 계급장과 같은 별 형태(1946년 장성급 계급장 제정 당시에는 지금의 무궁화 받침 마크가 없었다.)로 지정했으며, 건군 초기에는 장성 계급으로 임관한 사람이 있었다. 1948년에 국군 준장으로 임관한 김홍일 장군이 대표적인데 일반적으로 장교는 소위로 임관하여 군생활을 시작하지만 김홍일 장군의 경우는 중국 국민혁명군 중장(중국군의 경우 준장 계급이 없기 때문에 2성 장군을 중장으로 호칭한다.) 경력이 인정되어서 이승만 대통령의 특별 지시를 받아 대한민국 국군 준장으로 임관하였다. 이 드라마에 나오는 사단장 박웅 장군은 바로 김홍일 장군의 국민혁명군 시절 이름인 왕웅을 모티브로 설정했으며, 군 경력자가 아닌 이상 초임 계급이 장성인 경우는 북한 같은 매우 특수한 국가를 제외하면 현대에는 없다.
대원수는 대한민국에 아직까지 없지만 비공식으로 존재하는 계급이다.
이 계급부터는 군인사법 제 17조 2항에 의거 국가에 대한 공적이 현저한 대장 중에서 임명이 가능하고, 국방부장관의 추천과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친 후 국회의 동의를 받아 대통령이 직접 진급심사를 시행한다. 현재 원수는 대한민국 국군 장성 계급 상 존재하지만 실제로 임명된 사례가 없으며, 백선엽 장군이 원수 진급심사를 시도했으나, 일본군이 대한독립군을 괴멸시킬 목적으로 창설한 간도 특설대에서 한인 장교로 복무한 친일 행적으로 인해 무산되어서 예비역 육군 대장으로 전역하였다.
장성의 다른 계급(준장, 소장, 중장)과는 달리 대장부터는 진급 조건이 매우 까다로우며, 소위로 임관하면 중장까지 소대장이나 그와 상응하는 지휘보직을 모두 이수해야 한다. 소대장, 중대장, 대위급 참모, 소령급 참모, 대대장, 중령급 참모, 연대장, 여단 참모장, 여단장, 사단 참모장, 사단장(병과가 기갑일 경우 기계화보병사단장직을 반드시 역임해야만 한다. 현재로서는 박찬주가 유일하게 기갑 출신 대장이다.), 군단 참모장, 군단장직을 반드시 역임해야 하며, 육군의 경우 보병병과에 한해서 특전사에서 복무한 경력이 있어야 대장으로 진급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이 성립된다고 한다. 현재 대한민국 육군에 소속된 장성급 장교 중 현역 대장으로 복무 중인 장군의 이력을 살펴보면 주로 지휘 보직이 적은 소령 시절에 특전사에서 복무한 경력이 있었기 때문에 중장에서 대장으로 진급할 수 있었고, 대한민국 역대 합참의장 중 이순진 장군이 특전사 복무 경력이 없음에도 육군 3사관학교(이하 非육사) 출신 최초로 대장 진급하여 제 2 작전사령관직과 합동참모의장직을 역임하고 예비역으로 명예 전역하였다.
건군 초기에는 미국 군정청 국방사령부 군무국의 비숍 대령이 미군 준위 계급장을 모방한 형식으로 고안한 것을 정식 장교 계급장으로 지정하였는데, 건군 초기 대한민국의 영관은 놋쇠 판에 태극 문양을 계급으로 표시하고 현재 명칭으로 불렀다.
대한민국 국군의 경우 이 계급부터 군의 고위관료로 분류되며, 준장 진급에 실패하고 예비역으로 전역하더라도 대령 연합회에 정회원으로 가입하여 국방 현안에 관여할 수 있다.
건군 초기에는 미국 군정청 국방사령부 군무국의 비숍 대령이 미군 준위 계급장을 모방한 형식으로 고안한 것을 정식 장교 계급장으로 지정하였는데, 건군 초기 대한민국의 위관은 놋쇠 판에 은색 각형을 계급으로 표시하고 현재 명칭으로 불렀다.
건군 초기 대한민국 국군 준사관은 놋쇠 판만 계급장으로 사용했다. 그리고 북한의 군대 계급에는 준사관이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의 하사에 대응되는 계급으로 이등중사와 등급이 같으며, 건군 초기 부사관은 을종간부후보생 과정을 이수하면 이 계급으로 임관하여 군 복무를 시작하였다.
현재의 하사에 대응되는 계급으로 일등중사와 등급이 같으며, 건군 초기에는 이등중사부터 부사관으로 분류되었다.
1946년 남조선 국방경비대 창설 당시 병 계급을 이등병, 일등병으로 지정한 것이 현재에도 통칭되고 있다.
자세한 정보 KBS 1TV 주말 특별 기획 드라마, 이전 작품 ...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