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AI tools
모션 이미지에서 이벤트 및 연설의 텍스트 표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자막(字幕)은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영화 속 대화를 글로 표현한 것을 말하며 보통 화면의 맨 아래에 표시한다. 외국어로 된 대화의 번역일 수도 있고, 같은 언어의 대화를 그대로 문자로 표현한 것일 수도 있다. 또, 청각 장애가 있는 시청자들이 대화를 따라갈 수 있도록 고안된 정보가 추가되어 있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텔레비전의 문자 다중 방송의 자막은 시청자가 적절한 다중 방송 페이지 (p888)를 선택하거나 메뉴에서 따로 요청을 하지 않으면 표시되지 않으며 청각 장애가 있는 시청자들을 위한 추가적인 소리 표현을 전달하기도 한다. 다중문자 방송의 자막 언어는 원음을 따르지만 방송국이 여러 언어의 자막을 다중문자 방송 페이지에 추가해야 하는 다국어 사용 국가에서는 제외된다.
가끔, 특히 영화제와 같은 곳에서 자막은 화면 아래에 별도의 창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로써 영화 제작사가 방영을 위해 별도로 자막을 삽입한 영상을 내보내지 않아도 된다. 북아메리카에서 청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위한 텔레비전 자막은 폐쇄 자막(클로즈드 캡션)이라고 한다.
오늘날 전문 자막 제작가들은 영상을 하드 디스크에 디지털로 저장할 수 있고 이로써 각 영상 프레임에 바로 접근할 수 있는 특수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작업한다. 자막 제작가들은 자막 제작에 더불어 각 자막의 표시 여부에 대한 정확한 위치를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전달한다. 영화의 경우 이 작업은 전통적으로 별도의 기술직이 담당하였다. 최종 결과는 실제 자막이 포함된 자막 파일뿐 아니라 각 자막의 표시 여부를 가리키는 위치 마커를 포함한다. 이 마커는 텔레비전, 비디오, DVD와 같은 전자 매체에 쓰일 경우 보통 타임 코드를 기반으로 한다. 반면 전통 영화에 자막을 입힌 경우 영화 길이를 기반으로 한다.
완성된 자막 파일은 영상에 자막을 추가하는 데 쓰이거나 오픈 자막 기술을 이용하여 직접 영상에 주사하거나 수직 귀선 기간에 심어서 나중에 TV에 추가된 외부 변환기의 도움을 받아 최종 사용자가 영상에 자막을 겹쳐 보이게 만들 수 있다. DVD의 폐쇄 자막의 경우 tiff나 bmp 그래픽스로 변환하여 나중에 최종 사용자가 자막을 겹쳐 보이게 만들 수 있다.
자막은 또한 별도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개인이 자유롭게 만들 수 있으며 VS필터+버추얼덥과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영상 파일에 자막을 심을 수 있다. VS필터의 경우 수많은 미디어 플레이어의 자막 표시에도 쓰인다.
번역 과정을 거치지 않는 "동일 언어 자막"(이를테면 한국어로 전달하는 영화를 한국어 자막으로 보는 것)은 주로 청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돕기 위해 고안되었다. 대화로서의 동일 언어 자막은 이따금 사람의 눈이 읽기 쉽도록 편집한다.
폐쇄 자막은 클로즈드 자막을 위해 사용하는 북미식 용어로 청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위해 고안되었다. 번역용으로는 잘 사용하지 않으며 보통 "(한숨 쉬다)"(sigh), "(깨지는 소리)", "(잔잔한 음악이 흐른다)"와 같은 중대한 비대화식 소리의 내용을 포함한다.
시사, 스포츠, 토크쇼, 정치, 특별 행사와 같은 프로그램들은 실시간이나 온라인 자막을 이용한다.[1] 생방송 자막에 흔히 쓰이며 실질적으로 모든 텔레비전 방송은 청각 장애인도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일부 프로그램은 방송 직전 몇 시간 동안 준비하지만 타임 코드 기반의 자막 파일을 준비하기에는 시간이 충분하지 않다. 미리 준비된 자막은 오프라인 자막과 매우 비슷해 보이지만 자막이 프로그램 타임 코드에 지정되어 동작하는 것이 아니므로 신호(cue)의 정확성이 조금 떨어질 수 있다.[1]
뉴스 편집실의 자막은 편집실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자동으로 자막 출력 장치에 자막을 전송한다. 동작은 하지만 순간 업데이트와 같은 목적에 적합하다.[1]
컴퓨터를 사용하여 속기를 쓰거나 벨로타이프 키보드를 사용하여 소리가 표현되기 2-3초 안에 자막을 입력해야 하는 CART(통신 접근 실시간 번역)의 속기사는 순전히 실시간으로 대본 없이 자막을 입력해야 한다.[1] 그러나 최근에 개발한 것들 가운데 음성 인식 소프트웨어와 대화와 소리 반향 기능이 있다. 음성 인식 기술은 영국에서 매우 빠르게 진보하여 생방송 자막의 약 50%가 2005년 기준으로 음성 인식을 사용하고 있다.[출처 필요] 실시간 자막은 사람이 말하는대로 문자열의 흐름을 표현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오프라인 자막에 비해 다르게 보인다.[1]
실시간 속기사들은 속기에 매우 훈련이 되어 있다. 속기는 소리 그대로 낱말을 표현하는 시스템을 말하며 여러개의 동음이의(there, their, they're)를 가진 영어의 경우 표현하기가 쉽지 않다. 법원과 조사 기관에서 일하는 속기사들은 대본을 전달하는 데 보통 24시간의 여유가 주어진다. 끝내 다양한 동음이의가 입력되지만 나중에 철자를 고치는 과정을 거친다. 실시간 속기사들은 대본을 정확하게 바로 바로 전달해야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속기사들은 동음이의를 다르게 입력하는 기술을 계발해야 하며, 즉각적인 주문형 방송에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데 압박을 받을 수 있지만 이에 흔들리지 않아야 한다.[1]
최근의 자막 관련 조사에 따르면 방송사들이 내보내는 스포츠 방송 자막에 대한 우려가 드러나 있다. 바깥 날씨 때문에 소리가 잘 들리지 않아서 속기사들이 자막을 입력하지 않음으로써 스포츠 방송 자막을 내보내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 Australian Caption Centre는 1998년 11월에 NWPC(National Working Party on Captioning)에 스포츠 방송 자막(테니스, 럭비 리그, 수영 프로그램)에 대한 세 가지 예시를 제시하였다.
NWPC는 그들이 받아들이는 표준은 온전히 해설에 접근하는 Comprehensive realtime 방식이라고 결론지었다. 또한, 모든 스포츠가 생방송이 아니며, 수많은 행사는 방송하기 몇 시간 전에 미리 녹화되므로 자막을 입력하는 사람이 오프라인 방식을 사용하여 자막을 입력할 수 있다.[1]
생방송 프로그램이 아닌 미리 녹화된 프로그램의 경우 텔레비전 프로그램 제공자들은 오프라인 자막을 사용한다. 자막을 입히는 사람들은 하이엔드 텔레비전 산업에 발맞추어 오프라인 자막을 준비함으로써 팝온 스타일 자막, 전문 화면 대체, 화자 증명, 글씨 기울임, 특수 문자, 효과음과 같은 맞춤식 자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2]
오프라인 자막은 대사 뿐 아니라 효과음 등을 모두 표현하기 때문에 청각 장애를 가진 시청자가 스토리라인을 따라가고 분위기를 파악하는 등 완전한 청각 체험을 즐길 수 있게 도와 준다.
자막은 외국 영상물을 시청하거나 청각 장애가 있어 시청자가 알아듣지 못할 때 주로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런 경우가 아니더라도 추가로 시청자에게 정보를 전달해야 할 경우가 있을 때 자막을 활용하기도 한다.[3][4] 대한민국에서는 1997년과 1998년, 1999년, 2000년대 이후부터 모든 방송사에 일부 예능 프로그램에서 명대사 오픈 자막 도입을 시작했지만, 2000년대에는 걸어서 세계속으로와 같은 교양 프로그램에서 내레이션의 설명과 더불어 부연 설명을 하기 위해(지역 풍습을 설명하거나 명승지에 대한 설명 등) 쓰기도 하며, SBS 인기가요 등 음악 프로그램에서 가수와 제목, 가사를 자막으로 표시하기도 한다. 예능 프로그램 등에선 출연자의 목소리가 작게 녹음되어 시청자가 놓칠 수 있는 대사 등을 표기하기도 하며 때론 웃음을 유발하기 위해 이를 사용하기도 한다. 무한도전이 웃음을 유발하기 위해 이런 효과를 극대화하여 방송하는 대표적인 방송으로 알려져 있다.[5] 2023년에 선보인 SBS에서 드라마 재방송의 일부 제공받고 있다.
이 문단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2년 4월) |
일부 국가나 종교 환경에서 거의 모든 외국어 TV 프로그램이 더빙을 거치지 않고 자막을 통해 방영한다:
동일 영상물의 동일 언어의 자막은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 분류로 나뉠 수 있다:
콘텐츠를 배포하는 측면에서 자막은 다음 3가지 가운데 하나를 사용한다:
다른 분류의 경우, 디지털 영상 자막이 단일 영상 파일 컨테이너에 영상/오디오 스트림을 따라 추가되어 있다면 내부 자막으로 불린다. 반면 각 파일을 수정하기 쉽지만 다루기 쉽지 않은 별도의 파일로 배포할 경우 이를 외부 자막으로 부른다.
이름 | 확장자 | 종류 | 문자열 스타일 | 메타데이터 | 타이밍 | 타이밍 정확도 |
---|---|---|---|---|---|---|
AQTitle | .aqt | 문자열 기반 | 프레임 | 프레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
JACOSub | .jss | 문자열 기반 | 지연 시간 | 10 밀리초 | ||
마이크로DVD | .sub | 문자열 기반 | 프레임 | 프레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
MPEG-4 시간 기반 텍스트 | .ttxt | XML | 지연 시간 | 1 밀리초 | ||
MPSub | .sub | 문자열 기반 | 시퀀스 시간 | 10 밀리초 | ||
Ogg Writ | 없음 (소리/영상 스트림과 혼합) | 문자열 기반 | 시퀀스 입자 | 비트스트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
피닉스 자막 | .pjs | 문자열 기반 | 프레임 | 프레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
PowerDivX | .psb | 문자열 기반 | 지연 시간 | 1 초 | ||
리얼텍스트 | .rt | HTML 기반 | 지연 시간 | 10 밀리초 | ||
SAMI | .smi | HTML 기반 | 프레임 | 프레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
구조 자막 포맷(SSF) | .ssf | XML | 지연 시간 | 1 밀리초 | ||
SubRip | .srt | 문자열 기반 | 지연 시간 | 1 밀리초 | ||
SubStation Alpha | .ssa 또는 .ass (고급) | 문자열 기반 | 지연 시간 | 10 밀리초 | ||
SubViewer | .sub | 문자열 기반 | 지연 시간 | 10 밀리초 | ||
유니버설 자막 포맷 | .usf | XML | 지연 시간 | 1 밀리초 | ||
VobSub | .sub + .idx | 이미지 기반 | 지연 시간 | 1 밀리초 | ||
XSUB | 없음 (.divx 컨테이너에 포함) | 이미지 기반 | 지연 시간 | 1 밀리초 |
이뿐 아니라 일반적으로 쓰이지 않는 수많은 포맷이 존재한다. 대부분이 문자열 기반이며 .txt 확장자를 가진다.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