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칭대명사
인칭대명사(문화어: 사람대명사)는 사람을 가리키는 대명사이다.
- 제1인칭대명사: 말하는 사람, 즉 화자를 가리킬 때 주로 쓰이는 대명사로, 나, 저, 우리, 저희 등이 있다.
- 제2인칭대명사: 듣는 사람, 즉 청자를 가리킬 때 주로 쓰이는 대명사로, 너, 너희, 당신, 그대 등이 있다.
- 제3인칭대명사: 화자도 청자도 아닌 제 3자나 앞의 나온 사람을 받을 때 쓰이는 대명사로, 그, 그들, 이들, 저들 등이 있다.
- 재귀대명사: 앞에 나온 대명사의 되풀이를 피할 때 쓰이는 대명사로, 자기, 저, 당신 등이 있다.
- 미지칭대명사: 모르는 사람을 가리킬 때 주로 쓰이는 대명사로, 누구 등이 있다.
- 부정칭대명사: 정해지지 않은 사람을 가리킬 때 주로 쓰이는 대명사로, 누구, 아무 등이 있다.
지시대명사
지시대명사(문화어: 가리킴대명사)는 사물이나 방향, 장소 등을 가리키는 대명사로, 화자와 청자와의 거리에 따라 근칭, 중칭, 원칭으로 나뉜다.
- 근칭대명사: 주로 ‘이’가 붙은 이것, 여기, 이리 등으로 화자에게 가깝거나 화자의 관심대상을 가리킨다.
- 원칭대명사: 주로 ‘저’가 붙은 저것, 저기, 저리 등으로 청자와 화자 둘 다에게 멀거나, 청자의 관심 밖 대상을 가리킨다.
- 중칭대명사: ‘그’가 붙은 그것, 거기, 그리, 그 등으로 청자의 관심에 있거나, 청자에게 가까운 대상을 가리킨다.
가리키는 대상에 따라 나누면 다음과 같다.
- 사물대명사: 주로 사물을 가리키는 대명사로 이것, 저것, 그것, 무엇 등이 있다.
- 장소대명사: 주로 장소를 가리키는 대명사로 여기, 저기, 거기, 어디 등이 있다.
- 방향대명사: 주로 방향을 가리키는 대명사로 이리, 저리, 그리 등으로 설정하나, ‘이리가’, ‘저리를’처럼 격조사가 붙기 어려운 성격 때문에 대명사보다는 부사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 미지 지시대명사: 모르는 사물, 장소, 방향을 가리키는 대명사로 무엇, 어디 등이 있다.
- 부정 지시대명사: 정해지지 않은 사물, 장소, 방향을 가리키는 대명사로 아무것, 아무데 등이 있다.
한국어의 대명사의 특징
- 한국어의 인칭 대명사는 영어 등 서양 언어의 인칭 대명사에 비해 자주 사용되지 않으며, 높임법의 발달에 따라 높임의 대명사가 따로 존재한다는 점이 특이하다.
- 1인칭, 2인칭, 3인칭 대명사의 복수형은 단수형에 복수 접미사 ‘-들’이 항상 결합되어 형성되지는 않는다.
- 한국어 대명사 중에는 조사가 융합되어 있어 분리가 쉽지 않은 예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