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AI tools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양-밀스 이론(영어: Yang–Mills theory)은 리 군 SU(n)을 기반으로 하는 게이지 이론이다. 표준 모형은 부분적으로 SU(3)과 SU(2)의 양-밀스 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양-밀스 이론은 1954년에 중국의 양전닝과 미국의 로버트 밀스(Robert L. Mills)가 도입하였다.[1] 역사적으로, 이는 최초의 비가환 게이지 이론이자 역사적으로 (전자기학 다음으로) 두 번째의 게이지 이론이었다. 양전닝과 밀스는 양자전기역학을 일반화하려고 시도하여, 양자전기역학이 바탕을 둔 U(1) 군을 SU(n)으로 치환하였다. 양전닝과 밀스는 이를 강한 상호작용의 아이소스핀을 설명하려고 도입하였으나, 이는 실험과 맞지 않았다. 양-밀스 이론은 이러한 결함 때문에 잊혀지고 있다가, 1960년에 자발 대칭 깨짐의 발견으로, 이러한 문제를 없앨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고, 곧 강한 상호작용의 색전하와 약한 상호작용의 설명에 도입돼, 표준 모형의 일부를 이루게 되었다.
양-밀스 이론의 게이지 장의 라그랑지언은 다음과 같다.
다른 입자에는 다음과 같은 공변미분을 정의하여 최소결합(minimal coupling)시킨다.
라그랑지안으로부터 고전적인 장방정식을 얻는다.
이로써 고전적인 이론을 정의한 다음, 일반적으로 파데예프-포포프 양자화를 사용하여 양자 이론을 정의한다.
물질을 포함한 게이지 군이 인 양-밀스 이론에서 임의의 방향 는 다음과 같은 상들을 가진다.[2]:7–9[3][4] 이들은 퍼텐셜 로 나타낼 수 있다.
전기-자기 이중성은 힉스 상과 윌슨 상을 관계짓는다. 즉, 전기 홀극이 진공 기댓값을 가지면 힉스 상이 되고, 반대로 자기 홀극이 진공 기댓값을 가지면 윌슨 상이 된다.
이들 상들은 윌슨 고리를 질서 변수(order parameter)로 갖는다. 마찬가지로, 이에 대응하는 엇호프트 고리(영어: ’t Hooft loop)는 혼돈 변수(disorder parameter)이다. 자이베르그 이중성에 따라, 힉스 상은 윌슨 상으로, 자유 전기 상은 자유 자기 상으로 대응된다. 쿨롱 상은 자이베르그 이중성에 대해 불변이다.
상 | 전기 퍼텐셜 | 자기 퍼텐셜 | 윌슨 고리 | 엇호프트 고리 |
---|---|---|---|---|
쿨롱 상 | ||||
자유 전기 상 | ||||
자유 자기 상 | ||||
가둠 상 | (상수) | 넓이 법칙 | 둘레 법칙 | |
힉스 상 | (상수) | 둘레 법칙 | 넓이 법칙 |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