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연합
아프리카 55개 국가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연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아프리카 연합(영어: African Union 아프리칸 유니언, AU[*], 프랑스어: Union africaine 위니옹 아프리켄, UA[*], 아랍어: الاتحاد الأفريقي 알이티하드 알이프리키[*], 포르투갈어: União Africana 우니앙 아프리카나[*], 스페인어: Unión Africana 우니온 아프리카나[*], 스와힐리어: Umoja wa Afrika 우모자 와 아프리카)은 55개 아프리카 국가로 구성된 국제 정부간 기구이다. 본부는 에티오피아의 아디스아바바에 두고 있다. 사무 언어는 영어, 프랑스어, 아랍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스와힐리어이다.
아프리카 연합 | |||
---|---|---|---|
| |||
표어 | A United and Strong Africa (영어: 통합된 강한 아프리카) | ||
국가 | 우리 모두 단합하고 함께 축하하자 | ||
![]() | |||
수도 | 아디스아바바 (사실상) 요하네스버그 (의회 소재) | ||
최대 도시 | 라고스 | ||
정치 | |||
집행위원장 이사회 의장 의회 의장 | 시릴 라마포사 무사 파키 로저 나카두 다그 | ||
역사 | |||
설립 | |||
• 아프리카 통일 기구 | 1963년 5월 25일 | ||
• 아프리카 경제 공동체 | 1991년 6월 3일 | ||
• 시르테 선언 | 1999년 9월 9일 | ||
• 정식 설립 | 2000년 7월 9일 | ||
지리 | |||
면적 | 29,865,860 km2 | ||
내수면 비율 | 40.9% | ||
인문 | |||
공용어 | 영어, 프랑스어, 아랍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스와힐리어 | ||
인구 | |||
2013년 어림 | 1,053,136,000명 | ||
인구 밀도 | 105.9명/km2 | ||
경제 | |||
GDP(PPP) | 2014년 어림값 | ||
• 전체 | $3.757억 원 | ||
GDP(명목) | 2014년 어림값 | ||
기타 | |||
도메인 | .africa |
역사
이 문단은 영어 위키백과의 African Union 문서를 번역하여 문서의 내용을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
그 기원은 1958년 4월 15일부터 22일까지 가나 아크라에서 열린 제1차 독립 아프리카 국가 회의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회의는 아프리카인들이 외세의 지배로부터 해방되고 아프리카를 통합하기 위한 해방 운동을 기념하는 아프리카의 날(Africa Day)을 제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 회의 이후 1963년 5월 25일 아디스아바바에서 32개의 아프리카 독립 국가들이 모여 아프리카 통일 기구(OAU)가 설립하였으며, 1981년에는 아프리카 경제 공동체(AEC)가 창설되었다. 그러나 OAU는 아프리카 시민들의 권리와 자유를 보호하는 데 있어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으며, 자체적인 군사력을 보유하지 않아 결정 사항을 강제할 수 없었고, 회원국의 내정에 간섭하지 않는 원칙으로 인해 효과적인 조치를 취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또 종종 "독재자들의 클럽(Dictators' Club)"이라는 별칭으로 불렸다.
아프리카 연합(AU)의 창설 아이디어는 1990년대 중반 리비아 국가 원수였던 무아마르 알 카다피의 주도하에 부활하였다. 1999년 9월 9일, OAU의 국가 원수 및 정부 수반들은 리비아 시르테에서 열린 아프리카 통일 기구(OAU) 특별 정상 회담 폐막 회의에서 채택된 시르테 선언(Sirte Declaration)을 발표하며 아프리카 연합의 설립을 공식적으로 제안했다. 이 선언 이후 2000년 로메 정상회의에서 AU의 설립 헌장(Constitutive Act)이 채택되었으며, 2001년 루사카 정상회의에서는 AU 실행 계획이 승인되었다. 같은 시기, 아프리카 개발을 위한 신 파트너십(NEPAD, New Partnership for Africa’s Development)도 추진되었다. 2002년 7월 9일에 아프리카 통일 기구(OAU)를 승계하여 설립되었다.
조직
아프리카 연합은 다음과 같은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 아프리카 연합 총회: 최고 결정 기관.
- 각료 집행 이사회: 회원국의 외무장관과 각료로 구성됨.
- 상주 대표자회: 회원국의 상주대표로 구성됨.
- 아프리카 연합 위원회: 위원장과 부위원장을 포함한 7명의 위원으로 구성됨.
- 전문 기술 위원회: 회원국 정부 부처의 장관으로 구성됨.
- 경제·사회·문화 이사회: 자문 기구.
- 범아프리카 의회: 회원국 출신 의원들로 구성됨.
- 평화·안전 보장 이사회: 아프리카 대륙의 평화와 안전 보장을 목적으로 함.
- 아프리카 인권 법원: 인권에 관한 아프리카 헌장의 법적 보장을 목적으로 함.
회원국
요약
관점
현재의 회원국
모로코는 1963년 5월 25일에 가입했지만 1984년 11월 12일에 아프리카 연합의 전신인 아프리카 통일 기구가 서사하라의 독립을 지지한 것을 문제삼아 탈퇴했다. 하지만 2016년 7월에 재가입 의사를 밝혔고 2017년 1월 30일에 재가입했다.
이전 회원국
옵서버
다음 국가들은 지리적으로 아프리카에 속해 있지 않으나 아프리카 연합에 옵서버 자격으로 참가하고 있다.
같이 보기
외부 링크
![]() |
이 글은 아프리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