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AI tools
별의 밝기를 측정하는 단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겉보기등급(영어: Apparent magnitude) 또는 실시등급(實視等級)은 별의 밝기를 측정하는 단위이다. 천문학자 히파르코스가 눈으로 보았을 때 가장 밝은 별을 1등급, 가장 어두운 별을 6등급으로 해서 구분한 것이 시초이다. 그리고 19세기에 이르러 영국의 노먼 포그슨이 빛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1등급 별의 밝기는 6등급 별의 밝기의 약 100배임을 밝혀냈다. 이를 근거로 현대 천문학에서는 6등급을 1등급보다 100배 어두운 별로 정의한다. 즉, 1등급 별보다 2등급 별은 1001/5 = 약 2.512배 어둡다.
절대등급은 항성의 본래의 밝기이며, 지구로부터 10파섹(약 32.6광년)의 거리에 두었다고 가정했을 때의 밝기이다. 겉보기등급이 가장 높은 천체는 태양인데, 태양의 경우 절대등급은 4.8등급이고, 겉보기등급은 -26.8등급이다.[1]
안시등급(眼視等級)은 맨 눈으로 보았을 때의 등급이며, 겉보기등급은 맨 눈, 망원경, 사진건판, 액티브 픽셀 센서, 전하결합소자 등을 포함하여 보았을 때 등급이다.[2]
지구로부터 파섹의 거리에 있는 천체의 겉보기 등급 와 절대등급 의 사이에는
의 관계가 있다.[6]
두 별의 밝기 차이에는
의 관계가 있다. 이 식을 상용로그로 바꾼 다면,
로 나타낼 수 있다. 식을 정리하면
로 나타낼 수 있다.
망원경 구경 (mm) |
한계등급 |
---|---|
35 | 11.3 |
60 | 12.3 |
102 | 13.3 |
152 | 14.1 |
203 | 14.7 |
305 | 15.4 |
406 | 15.7 |
508 | 16.4 |
태양은 보름달의 밝기의 몇 배 밝은 것인가?
태양(밝은 천체)의 겉보기 등급은 −26.74이다. 보름달(어두운 천체)의 평균 등급은 −12.74이다.
밝기 차이
밝기 양
태양은 보름달 보다 400000배 밝다.
나열된 규모 중 일부는 근사치다. 망원경 감도는 노출 시간, 빛의 통과 대역, 산란 및 대기광으로 인한 간섭광에 따라 달라진다.
밝기 | 천체 | 기준점 | 비고 |
---|---|---|---|
−67.57 | 감마선 폭발 GRB 080319B | 1 AU | 지구에서 볼 때 태양보다 2경 배 이상 밝을 것이다. |
−41.39 | 백조자리 OB2-12 | 1 AU | |
−40.67 | M33-013406.63 | 1 AU | |
–40.17 | 용골자리 에타 A | 1 AU | |
−40.07 | 전갈자리 제타1 | 1 AU | |
−39.66 | R136a1 | 1 AU | |
–39.47 | 백조자리 P | 1 AU | |
−38.00 | 리겔 | 1 AU | 35 ° 시지름의 커다랗고 밝은 청색의 원반으로 보일 것이다. |
−30.30 | 시리우스 A | 1 AU | |
−29.30 | 태양 | 근일점의 수성 | |
−27.40 | 태양 | 근일점의 금성 | |
−26.74 | 태양 | 지구[8] | 보름달 보다 400,000배 밝다. |
−25.60 | 태양 | 원일점의 화성 | |
−25.00 | 일반적인 눈에 약간의 통증을 일으키는 최소 밝기. | ||
−23.00 | 태양 | 원일점의 목성 | |
−21.70 | 태양 | 원일점의 토성 | |
−20.20 | 태양 | 원일점의 천왕성 | |
−19.30 | 태양 | 해왕성 | |
−18.20 | 태양 | 원일점의 명왕성 | |
−17.70 | 지구 | 달 | 달에서 지구조를 볼 때[9] |
−16.70 | 태양 | 원일점의 에리스 | |
−14.2 | 1 럭스의 밝기[10][11] | ||
−12.90 | 보름달 | 근일점의 지구 | 근지점+근일점 보름달의 최대 밝기 (평균 거리 등급은 −12.74다.[12] 시라이거 효과를 포함한다면, 등급이 0.18 더 밝아질것이다.) |
−12.40 | 베텔게우스 | 지구[13] | 초신성 폭발 시 |
−11.20 | 태양 | 원일점의 90377 세드나 | |
−10 | 이케야-세키 혜성 | 지구 | 지난 1천 년간 가장 밝은 크로이츠 혜성군에 속한다. (1965년)[14] |
−9.50 | 이리듐 인공위성 플레어 | 지구 | 최대 밝기 |
−9 ~ −10 | 포보스 | 화성 | 최대 밝기 |
−7.50 | 초신성 1006 | 지구 | 역사에 기록된 가장 밝은 초신성 폭발 사건. (7200 광년의 거리)[15] |
−6.80 |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A | 센타우루스자리 프록시마 b | [16] |
−6.50 | 밤하늘의 전체 통합 등급 | 지구 | |
−6.00 | 초신성 1054 | 지구 | 6500 광년의 거리[17] |
−5.9 | 국제우주정거장 | 근지점의 지구 | 완전히 태양에 의해 반사 될 경우[18] |
−4.92 | 금성 | 지구 | 초승달 모양의 금성일 경우 (최대 밝기)[19] |
−4.14 | 금성 | 지구 | 평균 밝기[19] |
−4.00 | 낮 시간 중 맨눈으로 간신히 보이는 별 | ||
−3.99 | 아다라 | 지구 | 역사상 가장 밝은 별인 약 470만 년 전 최대 밝기. 앞으로 500만 년안에 더 밝은 별은 지구 근처에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지구와 34광년 거리) |
−2.98 | 금성 | 지구 | 합 일 경우, 최소 밝기[19] |
−2.94 | 목성 | 지구 | 최대 밝기[19] |
−2.94 | 화성 | 지구 | 최대 밝기[19] |
−2.50 | 태양이 지평선보다 10 ° 아래에 있을 때 육안으로 보이는 희미한 천체 | ||
−2.50 | 신월 | 지구 | 최소 밝기 |
−2.48 | 수성 | 지구 | 외합 일 경우, 최대 밝기[19] |
−2.20 | 목성 | 지구 | 평균 밝기[19] |
−1.66 | 목성 | 지구 | 최소 밝기[19] |
−1.47 | 시리우스 | 지구 | 가시광선으로 본 태양을 제외하고 가장 밝은 별.[20] |
−0.83 | 용골자리 에타 | 지구 | 1843년 3월 11일, 14일 당시 |
−0.72 | 카노푸스 | 지구 | 두번째로 밝은 별.[21] |
−0.55 | 토성 | 지구 | 고리가 전부 펼쳐지고, 충과 근일점의 최대 밝기 (2003년) |
−0.3 | 핼리 혜성 | 지구 | 2061년 근접할 시, 예측 |
−0.27 |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AB | 지구 | 항성계이며, 전체 밝기 (세번째로 밝은 별) |
−0.04 | 아크투루스 | 지구 | 네번째로 밝은 별[22] |
−0.01 |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A | 지구 | 망원경으로 봤을 경우, 네번째로 밝은 개개의 별 |
+0.03 | 베가 | 지구 | 밝기의 기준[23] |
+0.23 | 수성 | 지구 | 평균 밝기[19] |
+0.46 | 토성 | 지구 | 평균 밝기[19] |
+0.46 | 태양 |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 |
+0.71 | 화성 | 지구 | 평균 밝기[19] |
+0.90 | 달 | 화성 | 최대 밝기 |
1.17 | 토성 | 지구 | 최소 밝기[19] |
1.33 |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B | 지구 | |
1.86 | 화성 | 지구 | 최소 밝기[19] |
1.98 | 폴라리스 | 지구 | 평균 밝기[24] |
3.03 | 초신성 1987A | 지구 | |
3 ~ 4 | 육안으로 도시 인근에서 간신히 보이는 별 | ||
3.44 | 안드로메다 은하 | 지구 | M31[25] |
4 | 오리온 성운 | 지구 | M42 |
4.38 | 가니메데 | 지구 | 최대 밝기[26] |
4.50 | 메시에 41 | 지구 | [27] |
4.5 | 궁수자리 왜소타원은하 | 지구 | 최대 밝기 |
5.20 | 4 베스타 | 지구 | 최대 밝기 |
5.38 | 천왕성 | 지구 | 최대 밝기[19] |
5.68 | 천왕성 | 지구 | 평균 밝기[19] |
5.72 | 삼각형자리 은하 | 지구 | 광공해가 없는 매우 어두운 하늘 일 경우 볼 수 있다.[28][29] |
5.8 | 감마선 폭발 GRB 080319B | 지구 | 2008년 3월 19일의 최대 밝기, 75억 광년 거리 (the "Clarke Event") |
6.03 | 천왕성 | 지구 | 최소 밝기[19] |
6.49 | 2 팔라스 | 지구 | 최대 밝기 |
6.50 | 매우 좋은 환경에서 평균적으로 맨 눈의 관찰자가 볼 수 있는 별의 한계. 6.5등급까지 약 9,500개의 별이 있다.[3] | ||
6.64 | 세레스 | 지구 | 최대 밝기 |
6.75 | 7 이리스 | 지구 | 최대 밝기 |
6.90 | 보데 은하 | 지구 |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극한의 한계와 보틀 등급의 한계다.[30] |
7.25 | 수성 | 지구 | 최소 밝기[19] |
7.67 | 해왕성 | 지구 | 최대 밝기[19] |
7.78 | 해왕성 | 지구 | 평균 밝기[19] |
8.00 | 해왕성 | 지구 | 최소 밝기[19] |
8 |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극한의 한계 등급, 보틀 등급의 1급, 완전 검은 하늘의 지구[31] | ||
8.10 | 타이탄 | 지구 | 최대 밝기[32][33], 평균 충 등급은 8.4다[34] |
8.29 | 방패자리 UY | 지구 | 최대 밝기, 반지름의 가장 큰 별로 알려짐 |
8.94 | 10 히기에이아 | 지구 | 최대 밝기[35] |
9.50 | 일반적인 조건에서 보통의 7 × 50 쌍안경을 사용하여 보이는 가장 희미한 천체[36] | ||
10.20 | 이아페투스 | 지구 | 최대 밝기[33], (토성의 서쪽의 있을 때 가장 밝다.) |
11.05 | 센타우루스자리 프록시마 | 지구 | 두번째로 가까운 별 |
11.8 | 포보스 | 지구 | 최대 밝기, 화성의 위성 |
12.23 | R136a1 | 지구 | 가장 밝은 별과 무거운 별로 알려짐 |
12.89 | 데이모스 | 지구 | 최대 밝기, 화성의 위성 |
12.91 | 퀘이사 3C 273 | 지구 | 밝은 퀘이사 |
13.42 | 트리톤 | 지구 | 최대 밝기[34] |
13.65 | 명왕성 | 지구 | 최대 밝기[37], 6.5등급보다 725배 희미하다 |
13.9 | 티타니아 | 지구 | 가장 뜨거운 별 |
14.1 | WR 102 | 지구 | 최대 밝기, 천왕성에서 가장 밝은 위성 |
15.40 | 2060 키론 | 지구 | 최대 밝기[38] |
15.55 | 카론 | 지구 | 최대 밝기 |
16.80 | 마케마케 | 지구 | 현재 충 밝기[39] |
17.27 | 하우메아 | 지구 | 현재 충 밝기[40] |
18.70 | 에리스 | 지구 | 현재 충 밝기 |
19.5 | 카탈리나 천체 탐사 0.7미터 망원경을 30초간 노출하여 볼 수 있는 가장 희미한 천체[41], 소행성 지상충돌 최종 경보 시스템의 대략적인 극한의 등급이다. | ||
20.70 | 칼리로에 | 지구 | 목성의 ~ 8km 작은 위성[34] |
22.00 | CCD 검출기를 사용하여 24 인치 (600mm) 리치-크레티앙 망원경으로 가시광선을 볼 수 있는 가장 희미한 천체. 그 천체는 30분을 (각각 300 초에 6 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누적한 사진이다.[42] | ||
22.8 | 루만 16 | 지구 | 가장 가까운 갈색왜성 (루만 16A=23.25, 루만 16B=24.07)[43] |
22.91 | 히드라 | 지구 | 최대 밝기 |
23.38 | 닉스 | 지구 | 최대 밝기 |
24.00 | 판-스타스 1.8미터 망원경을 60초간 노출하여 볼 수 있는 가장 희미한 천체[44] | ||
25.00 | 펜리르 | 지구 | 토성의 ~ 4km 작은 위성[45] |
25.3 | TNO 2018 AG37 | 지구 | 태양계 안에서 태양을 기준으로 가장 멀리 알려져 있는 관측 가능 천체, 132 AU 거리 |
26.2 | TNO 2015 TH367 | 지구 | 태양계 안에서 태양을 기준으로 90 AU에 있는 천체, 맨 눈으로 보는 것보다 7500만 배 희미하다. |
27.70 | 스바루 망원경같이 8 미터 지름의 지상 망원경과 10시간 노출하여 볼 수 있는 가장 희미한 천체[46] | ||
28.20 | 핼리 혜성 | 지구 | 태양으로부터 28 AU 거리, 2003년[47] |
28.4 | 소행성 2003 BH91 | 지구 | 2003년에 허블 우주망원경이 발견한 카이퍼 대 ≈15 킬로미터의 가장 희미한 소행성 |
29.4 | JADES-GS-z13-0 | 지구 |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발견함. 가장 멀리 발견된 물체 중 하나.[48] |
31.50 | 허블 우주망원경의 10년 동안 수집 되고, 총 23일 노출하여 얻은 허블 익스트림 딥 필드를 통해 가시광선으로 본 가장 희미한 천체[49] | ||
34 |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가시광선으로 본 가장 희미한 천체[50] | ||
35.00 | 이름 미정의 소행성 | 지구 | 가장 희미한 소행성으로 예상, 2009년에 허블 우주망원경이 발견한 카이퍼 벨트의 950 미터의 엄폐한 소행성[51] |
35.00 | LBV 1806-20 | 지구 | 이 별과 지구 사이 우주 공간에 있는 성간매질이 가시광선을 차단하기 때문에 등급이 낮다. |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