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미디어 프랜차이즈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스즈미야 하루히》(일본어: 涼宮ハルヒ)는 타니가와 나가루가 쓴 원작 라이트 노벨이다. 가도카와 스니커 문고에서 발매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대원씨아이의 NT 노벨로 발매되었다. 제8회 스니커 대상 수상작이며, 《더 스니커》에서 연재되고 있다. 스즈미야 하루히의 관측이라는 제목으로 해설집도 발매되었다.
![]() 涼宮ハルヒ | |
![]()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 북 커버. | |
장르 | 학원물 판타지 코미디 |
---|---|
소설 | |
저자 | 타니가와 나가루 |
삽화 | 이토 노이지 |
번역 | 이덕주 |
출판사 | 가도카와 쇼텐 대원씨아이 |
레이블 | 가도카와 스니커 문고 NT 노벨 |
연재 기간 | 2003년 6월 6일~연재중 |
권수 | 12권 |
만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 |
작가 | 타니가와 나가루 (원작) |
작화 | 미즈노 마코토 이토 노이지 (캐릭터 원안) |
출판사 | 가도카와 쇼텐 |
연재 잡지 | 월간 소년 에이스 |
레이블 | 가도카와 코믹 에이스 |
연재 기간 | 2004년 5월호~2004년 12월호 |
권수 | 1권 |
만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 |
작가 | 타니가와 나가루 (원작) |
작화 | 츠가노 가쿠 이토 노이지 (캐릭터 원안) |
출판사 | 가도카와 쇼텐 대원씨아이 |
연재 잡지 | 월간 소년 에이스 에이스 어썰트 |
레이블 | 가도카와 코믹 에이스 |
연재 기간 | 소년 에이스 : 2005년 9월 26일 11월호 ~ 에이스 어썰트 : 2007년 여름호~2013년 12월 26일 |
권수 | 20권 |
만화: 스즈미야 하루히 짱의 우울 涼宮ハルヒちゃんの憂鬱 | |
작가 | 타니가와 나가루 (원작) |
작화 | 뿌요 이토 노이지 (캐릭터 원안) |
출판사 | 월간 소년 에이스 더 스니커 대원씨아이 |
레이블 | 가도카와 코믹 에이스 DC Comics |
연재 기간 | 소년 에이스 : 2007년 9월호 ~ 더 스니커 : 2007년 10월호~ |
권수 | 6권 |
만화: 나가토 유키짱의 소실 | |
작가 | 타니가와 나가루 (원작) |
작화 | 뿌요 이토 노이지 (캐릭터 원안) |
출판사 | 월간 소년 에이스 더 스니커 대원씨아이 |
레이블 | 가도카와 코믹 에이스 영 코믹스 |
권수 | 3권 |
관련 작품 | |
| |
틀 - 토론 |
평범한 것을 싫어하는 여주인공인 스즈미야 하루히가 우주인이나 미래인, 초능력자와 이세계인을 찾아내어 함께 놀기 위해 설립한 SOS단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비일상적인 학원 스토리이다.
이야기는 주인공인 남자 고등학생 쿈의 1인칭 관찰자 시점으로 진행된다.
제1권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은 2003년 6월 첫 출판되었다. (저자의 문고 데뷔작인 학교를 나가자! 1권과 동시 발매되었다.) 전격소설대상》에 《학교를 나가자!의 원작이 되는 작품을 투고한 후, 그것의 실패를 참고로 3주 만에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을 써내어 카도카와 스니커 대상에 투고하여 대상을 수상한다. 동일 시리즈 11권의 작품으로 합계 1000만부(2011년 5월 현재)의 판매부수를 기록했다. 또한, 《이 라이트 노벨이 대단해!》 2005에서는 작품 부문 1위를 차지했다.
원작은 현재 총 11권(2011년 6월 현재)이 출간되었다. 단행본 표제는 '스즈미야 하루히의 ○○(두 글자 한자어)로 구성되어 있다. 잡지 더 스니커의 연재분을 묶어 내는 작품(장편)과, 한번에 출판하는 작품(단편)으로 나뉘어 있다.
2004년 5월부터 12월까지 동명의 만화를 미즈노 마코토가 월간 소년 에이스를 통해 연재하였고, 2005년 9월에는 츠가노 가쿠가 다시 같은 곳에서 연재하기 시작하였다. 2006년 4월에는 TV 애니메이션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이 방송되었다. 그 후 2009년 4월 다른 에피소드를 중간에 추가하는 형식으로《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가 다시 방영되었다.
"히가시 중학 출신 스즈미야 하루히. (중략) 평범한 인간에겐 관심 없습니다. 이중에 우주인, 미래에서 온 사람, 초능력자가 있다면 제게 오십시오. 이상."[1]
현립 고등학교에 입학하자마자, 이런 자기소개를 한 스즈미야 하루히. 얼핏 보기에는 미소녀였지만, 그 성격은 유아독존, 방약무인, 저돌맹진이었던지라, 반에서 고립되어 있었다. 그런 와중에 호기심으로 그런 하루히에게 말을 건 "일반인"인 쿈이라는 특이한 별명의 같은 반 학생은 하루히와 말을 나눌 수 있게 되었다.
골든 위크도 지난 어느날, 학교에 자신이 좋아하는 부서가 없다는 사실에 한탄하던 하루히는 쿈의 발언에 영감을 얻어 자신만의 새로운 부활동을 만들기로 한다. 쿈을 끌고가 문예부실을 점령한 후, 유일한 문예부원이었던 나가토 유키를 끼워넣고, 부의 마스코트로 삼기 위해 2학년인 아사히나 미쿠루를 이른바 "임의동행"이라며 납치해온다. 그리고 하루히가 말하는 "수수께끼의 전학생"인 코이즈미 이츠키까지 가입시켜, '우주인이나 미래인, 초능력자를 찾아내서 같이 노는 것'을 목적으로 한 클럽 "SOS단"을 발족시킨다.
그런데, 하루히가 대충 모은 부원들인 나가토 유키, 아사히나 미쿠루, 코이즈미 이츠키의 정체는 각각 우주인, 미래인, 초능력자였으며, 각자 소속된 조직에서 보내어진 인물들이었다. 그들의 목적은 하루히가 자각없이 가지고 있는 능력(세상을 마음대로 개변하며, 원하는 일을 일어나게 할 수 있는 능력)을 관찰, 감시하는 것이었다. 나가토 유키의 말에 따르면 쿈은 하루히에게 선택된 인물이며, 하루히의 '열쇠'라고 한다.
쿈은 처음에 이 난데없이 찾아온 만화같은 일상을 믿지 못했지만, 쿈과 SOS단 주변에 일어나는 이상한 일들 속에서 여러 체험을 하며 그 세 사람의 말을 믿을 수밖에 없게 되었다. 하루히만이 자각하지 못한 채, 쿈과 SOS단 구성원들은 이상 현상의 처리나 하루히를 심심하지 않게 하기 위해 분주한 나날을 보내게 된다.
스즈미야 하루히에게는 자신이 원하는 것은 뭐든지 실현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다. 하루히의 능력이 나타난 몇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스즈미야 하루히의 정체에 대해서는 나가토 유키(정보 통합 사념체)와 코이즈미 이츠키가 소속된 '기관', 아사히나 미쿠루의 해석은 각기 다른 해석을 가진다. 나가토 유키(정보 통합 사념체)는 스즈미야 하루히를 진화의 가능성으로, 코이즈미 이츠키가 소속된 '기관'에서는 신적 존재로, 아사히나 미쿠루는 시간의 왜곡으로 보고 있다. 공통적인 견해가 있다면 스즈미야 하루히가 평범한 사람이 아니라는 점이다. 스즈미야 하루히의 능력에 관해서도 대립된 의견을 보여주는데, 코이즈미 이츠키는 하루히가 '창조'능력을 가지고 있다 해석하지만, 아사히나 미쿠루는 하루히의 능력은 '창조'가 아닌 이미 만들어져 있는 것을 '발견'해 내는 것일거라고 주장한다.
무대는 작가인 타니가와의 출신지 및 현 주소인 효고현 니시노미야시인 것으로 보인다. 하루히와 쿈이 다니는 현립고등학교(北高 기타고[*])도, 산의 긴 오르막길을 올라가야 한다는 등의 위치묘사로 보아 역시 타니가와의 모교인 효고현립 니시노미야 북고등학교(兵庫県立西宮北高等学校)가 그 모델로 보이며, 그 외 풍경 등도 니시노미야 시를 중심으로 한 한신 등지의 풍경을 배경으로 그려져 있기 때문에, 이 장소를 찾는 팬도 많다. (흔히 오타쿠의 성지 순례라 불린다.)
그러나, 원작에 실제 지명이 사용되지는 않았다. 지리묘사가 니시노미야 시 주변의 지리와 일치한다는 것 외에는 특정 지역을 의식한 묘사는 없다. 자리바꾸기를 위해 제비를 넣은 깡통도, 관서지방에서는 익숙지 않은 하토사브레(과자의 일종) 통이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고베 풍월당의 과자통으로 변경되었다). 작가의 의도를 따른 애니메이션에서는, 고요엔 역(甲陽園駅)을 본뜬 역 고요엔 역(光陽園駅)이나 니시노미야 기타구치 역을 본뜬 기타구치 역, 한큐 전철을 본뜬 열차, 슈쿠가와의 벚꽃 길, 철길 등이 심심치 않게 등장한다.
2011년 6월 현재 총 11권의 시리즈가 출판되었다.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는 원작도 시간의 진행과 실제 작품 간행 순서가 다르다. 주요 작품 제목을 일어난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학년은 작품내 스즈미야 하루히의 학년을 기준으로 한다.
학년 | 시기 | 제목 | 수록 권 |
---|---|---|---|
중학교 1학년 |
7월 | 조릿대잎 랩소디 (시간 역행) | 3권 《무료》 |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 (시간 역행) | 4권 《소실》 | ||
중학교 3학년 |
3월 | 편집장★일직선! (쿈의 소설) | 8권 《분개》 |
고등학교 1학년 |
4 ~ 5월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 1권 《우울》 |
6월 | 스즈미야 하루히의 무료 | 3권 《무료》 | |
7월 | 노잉 미, 노잉 유 (Knowing me, Knowing you) |
만화 3권 (만화 원작) | |
조릿대잎 랩소디 | 3권《무료》 | ||
미스테릭 사인 (Mystérique Sign) | |||
고도 증후군 | |||
8월 | 미스테릭 사인 또다시 | 만화 4권 (만화 원작) | |
엔들리스 에이트 (Endless Eight) |
5권 《폭주》 | ||
들고양이 샤미센의 인생관 | 만화 5권 (만화 원작) | ||
10월 | 겟 인 더 링 (Get in the Ring) | ||
11월 | 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 | 2권 《한숨》 | |
스즈미야 하루히의 약속 | PSP 게임 《약속》 (게임 원작) | ||
아사히나 미쿠루의 모험 Episode 00 | 6권 《동요》 | ||
라이브 얼라이브 (Live Alive) | |||
사운드 어라운드 (Sound Around) |
드라마 CD 《사운드 어라운드》 | ||
사수자리의 날 | 5권 《폭주》 | ||
섬데이 인 더 레인 (Someday in the Rain) |
애니메이션 원작 | ||
12월 |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 | 4권 《소실》 | |
첫눈에 반한 LOVER | 6권 《동요》 | ||
설산증후군 | 5권 《폭주》 | ||
고양이는 어디로 갔지? | 6권 《동요》 | ||
1월 | 아사히나 미쿠루의 우울 | ||
2월 | 스즈미야 하루히의 음모 | 7권 《음모》 | |
3월 | 편집장★일직선! | 8권《분개》 | |
원더링 섀도 (Wandering Shadow) | |||
고등학교 2학년 |
4월 | 스즈미야 하루히의 분열 | 9권 《분열》 |
불명 | 10권 《경악》 | ||
번외편 | 불명 | 스즈미야 하루히 극장 | 미수록 |
돌아온 스즈미야 하루히 극장 | |||
스즈미야 하루히의 당황 | PS2 게임 《당황》 (게임 원작) | ||
이 애니메이션은 특이한 구성으로 인해 화제가 되었는데, 방영 순서와 실제 내용상 순서가 서로 다른 방식을 취하고 있다. 실제로 다음편 예고에서 쿈과 하루히가 말하는 편 번호가 서로 다른데, 쿈이 말한 것은 방영 순서를 기준으로 한 것이고 하루히가 말한 것은 내용상 SOS단이 겪은 순서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이렇게 연대기적인 순서와 방영된 순서가 뒤섞여있게 된 이유는 제작진이, '작중 주인공인 스즈미야 하루히가 애니메이션의 제작을 맡는다면 어떤 일을 할까?'를 고민한 결과로, 방영순서를 섞기로 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애니메이션의 오프닝 스탭롤에는, 초감독 스즈미야 하루히라는 이름이 올라와 있다. 그러나 TV 방영 순서와는 별개로 발매된 DVD의 챕터 구분은 실제 내용상 순서를 지키고 있으며, 차회예고 또한 나가토 유키의 중얼거림으로 변경되었다.
애니메이션에 나오는 모든 에피소드는 실제로 소설에 수록되어 있지만 오직 유일하게 방영 순서로 9화, 일어난 순서로 14화에 해당하는 Someday in the Rain 만은 어느 소설에도 수록되지 않은 애니메이션만의 독자 에피소드다. (물론 이 내용 또한 원작자인 타니가와 나가루가 직접 작성하였다.) 이는 소설이 쿈의 해설로 진행된다는 점 때문에 소설에서는 표현할 수 없는 "쿈이 없을 때의 SOS단의 모습"을 애니메이션으로 보여준 것이라고 한다.
2009년 4월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여 재방영이 시작되었으며 현재 조릿대잎 랩소디, 엔들리스 에이트 A, B, C, D, E, F, G, H, 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 I, II, III, IV, V가 추가적으로 방영되었다.
2009년 재방영 스태프
애니메이션의 인기에 힘입어 2010년 2월 6일 일본에서 제4권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이 영화화되었다. 국내에서는 2010년 11월 11일 개봉되었다.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涼宮ハルヒの憂鬱)이라는 제목으로 미즈노 마코토판과 츠가노 가쿠판이, 《스즈미야 하루히짱의 우울》(涼宮ハルヒちゃんの憂鬱)이라는 제목으로 뿌요판이 존재한다.
《월간 소년 에이스》 2004년 4월호부터 연재되기 시작했으나 12월호에서 중단되었다. 9월호 연재분까지는 단행본이 되었지만 나머지는 발행되지 않았다고 미즈노 본인이 블로그로 밝혔다. 중단 이유에 대해서는 카도카와 쇼텐측에서 공식발표가 없었기 때문에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원작 팬들 사이에서는 《월간 소년 에이스》에서 연재하고 있던 도중 미즈노가 본작을 소재로 한 동인지를 무단으로 발행한 것이 원인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전 1권. 중단 후 츠가노 가쿠판이 연재중이며 카도카와 쇼텐의 홈페이지에는 미즈노 마코토판에 관한 정보가 전혀 없기 때문에 공식적인 발표는 없는 절판으로 추정된다.
미즈노가 만화화한 부분을 포함하여 완전히 처음부터 《월간 소년 에이스》 2005년 12월호부터 연재를 개시했다. 원작과 애니메이션과는 달리 거의 사건이 일어난 시간 순서대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만화 자체 에피소드도 포함되어있다.
공식 패러디 네컷 만화. 《월간 소년 에이스》2007년 9월호에 연재 개시. 《더 스니커》에서도 2007년 10월호부터 연재개시. 2008년 5월에 단행본 1권이 발매되었다. 한국어판은 12월 8일 대원씨아이에서 발매.
뇨롱 츄루야씨와 함께 애니메이션화되어 유튜브에서 2009년 2월 13일부터 스트리밍중이다. 2월 13일 하루히 짱 1화 대신에 완성되지 않았다는 내용의 동영상이 대신 스트리밍 되었다. 하지만 2월 14일에 공개된 하루히 짱 1화의 인코딩 날짜가 2009년 2월 13일 새벽이라는 점 등에서 고의적으로 미완성이란 내용의 영상을 스트리밍 했다는 설도 있다. 원래는 매주 금요일 스트리밍하기로 되어있지만, 요일에 상관없이 무작위로 스트리밍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나가토 유키짱의 소실 문서를 참조.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