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여객운수(先進旅客運輸)는 신성교통의 자회사였던 서울특별시 은평구의 옛 시내버스 회사였다. 본사 및 차고지는 서울특별시 은평구 수색동 414-1번지였다. 옛 사명이었던 범양여객은 범양그룹, 부산광역시 남구의 마을버스 회사인 범양버스 등하고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간략 정보 창립, 산업 분야 ...선진여객운수 주식회사창립1970년산업 분야운수업해체2000년 9월 1일본사 소재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은평구 수색동 275번지제품시내버스모기업신성교통닫기 주요 연혁 1970년: 당시 신성교통(현 서울운수) 자회사로 범양여객자동차(汎洋旅客自動車)라는 상호로 회사를 자체적으로 설립하였다. 1971년: 범양여객자동차에서 범양여객운수(汎洋旅客運輸)로 개명하였다. 1984년: 신진운수(현 진화운수)에서 도시형버스 55-2번(현 지선버스 5517번), 73번(현 지선버스 7017번) 등을 인수받았다. 1986년: 화곡교통(이후 풍양운수, 현 양천운수)에서 도시형버스 129번(현 지선버스 5712번)을 인수받았다. 1987년 10월 3일: 도시형버스 55-2번을 한남운수에 매각하였다. 1988년 6월: 도시형버스 129번, 129-1번 등을 한남운수에 좌석버스 71번(동대문 ↔ 수색)을 신장운수에 각각 매각하였다. 1990년: 도시형버스 146번이 수색동에서 왕십리 구간은 146번으로 왕십리에서 풍납동 구간은 146-1번으로 분리운행과 동시에 146-1번을 우신운수에 매각하였다. 1997년 가을: 경영난으로 범양여객운수에서 선진여객운수(先進旅客運輸)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1997년 12월 1일: 도시형버스 73번 종점이 옥수동에서 종로2가로 단축되었다. 2000년 6월: 은평공영차고지 개장과 동시에 본사를 수색동 275번지에서 수색동 414-1번지 은평공영차고지 내로 이전하였다. 2000년 9월 1일: 당시 방계회사인 선진운수에 흡수합병되었다. 과거 운행노선 도시형버스 55-2번: 봉천동 ↔ 종로2가[1] 73번: 수색 ↔ 종로2가[2] 129번: 신정동 ↔ 종로2가[3] 145번: 갈현동 ↔ 숭실대학교[4] 146번: 수색동 ↔ 왕십리[5] 146-2번: 수색동 ↔ 홍은동[6] 좌석버스 71번: 수색 ↔ 동대문[7] 914번: 일산 가좌동 ↔ 영등포역[8] 각주 [1]1984년 신진운수(현 진화운수)에서 인수받았고, 1987년 한남운수에 매각되었다가 2004년 7월 1일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과 함께 노량진에서 종로2가 구간 단축 및 노량진에서 중앙대학교 구간으로 연장되어 지선버스 5517번으로 재편되었다. [2]개편 후 지선버스 7017번이고, 현재 보광교통에서 운행 중이다. [3]1986년 화곡교통(이후 풍양운수, 현 오케이버스)으로부터 인수받았고, 1988년 한남운수에 매각했다. 한남운수에 매각된 이후 1990년대 기점은 신정동에서 고척동으로 연장 및 종점은 종로2가에서 광화문으로 단축되었다가 2004년 7월 1일 서울시내버스 개편으로 기점을 고척동에서 가산동으로 연장 및 종점을 광화문에서 이대입구로 단축과 동시에 지선버스 5712번으로 재편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4]개편 이후 지선버스 7613번으로 현재 종점이 여의도까지 단축되어 운행 중이다. [5]선진운수에 흡수합병된 이후 계속 운행하다가 2004년 7월 1일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으로 폐선되었다. [6]개편 후 지선버스 7717번이었다가 2005년 지선버스 7025번에 통합되었다. [7]1988년 신장운수에 매각한 이후 신장운수에서 계속운행하다가 몇년 뒤에 폐선되었다. [8]개편 후 광역버스 9707번 같이 보기 선진운수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